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정지용 전집 1  시

정지용 전집 1 시

  • 최동호 (엮음)
  • |
  • 서정시학
  • |
  • 2015-05-15 출간
  • |
  • 716페이지
  • |
  • ISBN 9788998845964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34,000원

즉시할인가

30,6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0,6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머리말 / 19
일러두기 / 21


제1부 정지용의 시
1926년 25세
카페―?프란스 ………… 37
슬픈印像畵 ………… 39
爬?類動物 ………… 41
?마음의 日記?에서 ………… 43
서?한울 ………… 45
? ………… 46
감나무 ………… 47
한울혼자보고 ………… 48
?레(人形)와아주머니 ………… 49
굴뚝새 ………… 50
그리워 ………… 51
넘어가는해 ………… 52
겨울ㅅ밤 ………… 53
내안해 내누이 내나라 ………… 54
Dahlia ………… 57
紅椿 ………… 58
산에ㅅ 색시, 들녁사내 ………… 59
산에서온새 ………… 60

1927년 26세
?니약이 구절 ………… 62
甲板우 ………… 64
바다 ………… 66
湖 面 ………… 68
샛?안機關車 ………… 69
내맘에맛는이 ………… 70
무어래요? ………… 71
숨?내기 ………… 72
비들기 ………… 73
이른봄아츰 ………… 74
종달새 ………… 76
산소 ………… 77
鄕 愁 ………… 78
바다 ………… 80
?榴 ………… 82
?나무열매 ………… 83
엽서에쓴글 ………… 84
슬픈汽車 ………… 85
할아버지 ………… 87
산넘어저쪽 ………… 88
산에서온새 ………… 89
해바락이씨 ………… 90
五月消息 ………… 91
幌馬車 ………… 92
船醉 ………… 94
鴨川 ………… 95
發熱 ………… 96
말 ………… 97
風浪夢 ………… 98
太極扇에날니는? ………… 100
말 ………… 102

1928년 27세
三月삼질날 ………… 104
산에서온새 ………… 105
해바락이씨 ………… 106
바람 ………… 107
우리나라여인들은 ………… 108
갈매기 ………… 110

1930년 29세
겨울 ………… 111
琉璃窓 ………… 112
일은봄아츰 ………… 113
Dahlia ………… 115
京都鴨川 ………… 116
船醉 ………… 117
바다 ………… 118
피리 ………… 120
저녁 햇살 ………… 121
甲板우 ………… 122
紅椿 ………… 124
湖水 ………… 125
湖水 ………… 126
아츰 ………… 127
바다 1 ………… 128
바다 2 ………… 129
絶頂 ………… 130
별??? ………… 131

1931년 30세
琉璃窓 2 ………… 132
셩부활주일 ………… 133
無題 ………… 135
?榴 ………… 136
뻣나무열매 ………… 137
바람은부옵는데 ………… 138
촉불과손 ………… 139
아츰 ………… 140

1932년 31세
無題 ……… 141
옵바가시고 ……… 142
蘭草 ……… 143
밤 ……… 144
바람 ……… 145
봄 ……… 146
바다 ……… 147
石臭 ……… 148
달 ……… 149
조약돌 ……… 150
汽車 ……… 151
故鄕 ……… 152
뉘우침 ……… 153

1933년 32세
海峽의午前二時 ……… 154
毘盧峯 ……… 155
臨終 ……… 156
별 ……… 157
恩惠 ……… 158
갈닐네아바다 ……… 159
時計를죽임 ……… 160
歸路 ……… 161

1934년 33세
다른한울 ……… 162
?하나다른太陽 ……… 163
不死鳥 ……… 164
나무 ……… 165
卷雲層 우에서 ……… 166
勝利者金안드레아 ……… 167

1935년 34세
갈매기 ……… 171
紅疫 ……… 172
悲劇 ……… 173
다른한울 ……… 174
또 하나 다른太陽 ……… 175
다시 海峽 ……… 176
地圖 ……… 178
바다 ……… 179

1936년 35세
流線哀傷 ……… 181
明眸 ……… 183
瀑布 ……… 185

1937년 36세
毘盧峯 ……… 187
九城洞 ……… 189
玉流洞 ……… 190

1938년 37세
슬픈偶像 ……… 192
삽사리 ……… 197
溫井 ……… 198
明水臺 진달래 ……… 199
毘盧峯 ……… 201
九城洞 ……… 203

1939년 38세
長壽山 ……… 204
長壽山?2 ……… 205
春雪 ……… 206
白鹿潭 ……… 207
해바라기씨 ……… 210

1940년 39세
天主堂 ……… 211
지는해 ……… 212

1941년 40세
朝餐 ……… 213
비 ……… 214
忍冬茶 ……… 215
붉은 손 ……… 216
꽃과벗 ……… 217
盜掘 ……… 219
禮裝 ……… 220
나? ……… 221
호랑나? ……… 222
진달레 ……… 223

1942년 41세
窓 ……… 224
異土 ……… 225

1945년 44세
산넘어저쪽 ……… 226

1946년 45세
愛國의노래 ……… 227
그대들 돌아오시니 ……… 229
追悼歌 ……… 231
꽃 없는 봄 ……… 233

1950년 49세
倚子 ……… 234
妻 ……… 237
女弟子 ……… 238
碌磻里 ……… 239
내 마흔아홉이 벅차겠구나 ……… 240
曲馬團 ……… 241
늙은 범 ……… 244
네 몸매 ……… 245
꽃분 ……… 246
山달 ……… 247
나비 ……… 248

제2부 일본어 창작시
新羅の?榴 ……… 250
신라의 석류 ……… 251
まひる ……… 252

도서소개

이 책은 『정지용 사전』(2003)과 『정지용 시와 비평의 고고학』(2013)의 토대 위에 멀리는 10년 이상 가까이는 5년여의 세월 동안 발로 뛰고 손으로 모으고 자료를 찾아 이루어진 것이다. 지난 40여 년의 땀과 노력이 여기에 결집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원문 자료의 발굴은 지용시의 생생한 현장을 알려 줄 것이며 정지용이 동지사대학 예과 시절에 일본어로 쓴 다량의 자료는 지용의 초기 시편을 연구할 수 있는 새로운 계기를 마련한다.
정지용 시를 읽기 시작한 것은 1970년대 중반부터이다. 지용의 시가 공식적으로 해금된 1988년부터 본격적으로 세상에 알려졌으나 당시로서는 금서에 해당되는 지용시집을 인사동 고서점에서 구입하여 눈 내린 밤이 깊어지는 것도 모르고 읽었다.
(……) 초기 김학동 교수의 작업은 정지용 연구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그러나 정밀한 자료 고증을 통해 정지용전집이 새로 출간되어야 한다는 것을 ?개편되어야 할 정지용전집?(2002,10)을 쓸 무렵 구상했지만 구체적으로 추진하지는 못했다.
이 책은 『정지용 사전』(2003)과 『정지용 시와 비평의 고고학』(2013)의 토대 위에 멀리는 10년 이상 가까이는 5년여의 세월 동안 발로 뛰고 손으로 모으고 자료를 찾아 이루어진 것이다. 지난 40여 년의 땀과 노력이 여기에 결집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원문 자료의 발굴은 지용시의 생생한 현장을 알려 줄 것이며 정지용이 동지사대학 예과 시절에 일본어로 쓴 다량의 자료는 지용의 초기 시편을 연구할 수 있는 새로운 계기를 마련해 줄 것으로 확신한다.

머리말에서

정지용 연구에 첫 발을 디뎠을 때 가장 어려운 일이 자료 수집이었다. 원본 자료를 얻어 보기 위해 많은 발품을 팔아야 했고 복사가 안 되어 서툰 손으로 필사를 해야 했다. 오래 전 작품 전집이 나와 연구자들의 수고를 덜어 주었는데, 편리를 제공한 뒷면에 혼란을 일으킨 부분도 있어 못내 아쉬웠다. 이제 정지용의 시와 산문을 가장 많이, 그리고 정확히 수록한 전집이 간행되어 기쁘고 감격스럽다. 한국전쟁의 풍랑 속에 시인이 언제 어디서 세상을 떠났는지도 모르는 상태지만 정성을 다해 흩어진 작품을 고스란히 모았으니 피안의 시인도 조선 황국(黃菊)을 대하듯 기뻐하실 것 같다. 이 책의 출간으로 새로운 연구를 알리는 메아리 소리 쩌르렁 울리는 듯해서 내 마음은 설레고 들뜬다.
이숭원(문학평론가. 서울여대 교수)

정지용 약력
1902년 충북 옥천 출생.
1918년 휘문고보에 입학했으며 재학시절 박팔양 등과 『요람』 동인으로 활동하며 동시, 시조 등을 창작했으며, 1919년 휘문고보 2년 때 『서광』 창간호에 소설 ?삼인?을 발표했다. 이 시기에 대표작 ?향수? 등의 초고를 썼다.
1923년 휘문고보를 졸업하고 동지사대학 예과에 입학했다.
1925년 동지사대학 동인지 『가(街)』, 『동지사대학예과학생회지(同志社大學豫科學生會誌)』, 『자유시인(自由詩人)』에 ?신라의 석류?, ?카페?프랑스? 등 14편의 일본어 시작품을 발표했다.
1926년 『학조』 창간호에 ?카페?프랑스? 등의 시를 발표했다.
1929년 동지사대학을 졸업하고 휘문고보 영어교사로 취임하다.
1930년 『시문학』이 창간되자 박용철, 김영랑과 더불어 시문학파의 중심인물이 되었다.
1935년 『정지용 시집』을 발간하여 문단을 대표하는 시인이 되었다.
1939년 『문장』에 박두진, 박목월, 조지훈 청록파 시인을 추천했다.
1941년 시집 『백록담』을 발간하여 동양적 전통의 뿌리박은 정신세계를 탐구했다.
1946년 『지용시선?을 간행했으며 이화여자대학교 교수가 되었다.
1947년 『경향신문』 주간이 되었다. 1948년부터 녹번리 칩거 중 1950년 6월 납북되어 9월에 사망한 것으로 되어 있으나 분명하지는 않다.
1988년 3월 납?월북 작가들이 해금되어 정지용의 시가 다시 읽히기 시작했으며 1989년부터 충북 옥천에서 ‘지용제’가 개최되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