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배출권 거래제의 개념을 소개하고 우리나라 배출권 거래제의 할당, 상쇄, 거래 방식 등에 대한 배출권거래제의 정책 내용과 특징을 친절하게 설명해 기업 실무담당자가 쉽게 정책을 이해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배출권 거래제 실무 준비에서는 핵심 사례와 의사결정과정 단계를 중심으로 배출권 거래제에 대응하는 기업의 이정표로서 가이드라인과 방향을 정확하게 제시한다. 특히 도서 구매자에 한해 제공하는 “실무 활용 서식”은 실무 담당자들의 업무 효율 향상에 큰 도움을 준다.
배출권거래제는 기본적으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환경규제이지만, 그 작동원리는 경제학적인 접근을 기반으로 탄생한 제도이다. 다시 말하면 배출권거래제는 환경과 경제가 유기적으로 연결된 융합제도인 것이다. 이러한 배출권거래제의 특징 때문에 기업에서 업무를 수행하는 실무자들에게는 상당히 막연하고 복잡한 제도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그동안 목표관리제 업무를 주로 수행해온 환경·에너지부서 담당자들이 많은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이 책은 다년간 국내 기업 현장에서 목표관리제 및 배출권거래제도 대응 업무를 실제로 경험하고 해외 선진사례 분석 및 정부의 배출권 거래제도 설계 연구에 참여한 저자들의 경험에 기반을 두고 구성했다. 배출권 거래제의 이해부터 대응을 위한 분석 기법까지, 기업 현장에서 느끼는 실무적인 어려움 해결에 도움을 주기 위한 내용들로 구성했다. 또 기업 실무자들을 위해 “실무 활용 서식”을 제공하여 업무 효율 향상에 도움을 준다.
출판사 리뷰
배출권은 총량과 부문별.사업장별 할당이 끝난 후에는 하나의 “상품”으로 인식된다. 저렴하게 생산하여 비싸게 팔든, 비싼 것을 저렴하게 사오든 모두 직접적인 이익을 창출하는 현실적인 대상이다. 그러나 우리는 이 상품이 얼마나 저렴한지, 또 얼마나 저렴하게 생산할 수 있는지 잘 알지 못한다. 배출권 거래도 마찬가지이다. 다양한 상황을 고려해야하기 때문에 배출권 거래에 관한 의사 결정은 기업 전체에 걸친 종합적인 정보가 필요하다.
이 책은 배출권거래제 시행을 앞두고 기업 실무자들이 꼭 알아야 할 배출권 거래의 기본 성격과 실무적인 내용들로 구성되어 있다. 저자는 온실가스 검증과 컨설팅 분야의 이론과 실무에 정통한, 다년간의 경험을 보유한 전문가이다. 이 책이 배출권 거래의 이해와 관련 의사결정을 지원하여 많은 기업들이 배출권 거래를 통한 경제적 이익을 놓치지 않도록 도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