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WM(움직임을 통한 모빌리제이션 : mobilization with movement)을 도수치료의 새로운 형태(new form of manual theraloy)로 종합적이고 최신의 과학적인 근거에 의한 유일한 설명서로 이 책을 출간하게 되었다. 브라이언 멀리건은 1984년에 처음으로 MWM에 대하여 설명한 유일한 증거의 기초는 그의 임상전문의견과 소수의 사례보고서였다.
임상 경험에 근거를 둔 과도기에서 점차 무작위 통제 실험과 체계적 문헌고찰등의 연구가 꾸준히 증가했다. 또한 MWM의 생물학적 이해는 멀리간의 “위치결함 가설‘...
더보기
MWM(움직임을 통한 모빌리제이션 : mobilization with movement)을 도수치료의 새로운 형태(new form of manual theraloy)로 종합적이고 최신의 과학적인 근거에 의한 유일한 설명서로 이 책을 출간하게 되었다. 브라이언 멀리건은 1984년에 처음으로 MWM에 대하여 설명한 유일한 증거의 기초는 그의 임상전문의견과 소수의 사례보고서였다.
임상 경험에 근거를 둔 과도기에서 점차 무작위 통제 실험과 체계적 문헌고찰등의 연구가 꾸준히 증가했다. 또한 MWM의 생물학적 이해는 멀리간의 “위치결함 가설‘이라는 단순한 자기-인정에서부터 MRI와 통제된 실험실 조건을 포함한 정밀한 연구를 통한 과학적인 가설 검사로 발전시켰다. 따라서 지난 25년간의 MWM의 모든 형태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검토하고 제시하는 것은 지금이 적절한 시점이다(척추의 지속적인 자연 관절 활주를 포함). MWM의 과학적 기반 뿐 만 아니라 본문에서는 성공적인 치료를 위한 “치료기술(the art)”을 설명한다. 기본원칙을 설명하고 임상적용과 도수물리치료 전문가의 견해, 치료 정황지침(guidcline on dosage)과 문제해결(Trousle shooting)을 포함했다. 가장 중요한 MWM의 임상 실체치료술을 실제 생활에서 나타나는 여러 임상 사례들을 통해 보여준다. 임상 근거에 의한 추론을 통해 효율적인 임상적용방법 즉, 선택된 치료술의 자세한 설명과 집에서 할 수 있는 운동처방(home exercise)을 포함하여 과학적 근거에 의한 추론을 통해 묘사한다. 이러한 생생한 사례들은 과학과 분리된 여러가지 치료술을 통합해주는 가교 역할을 도수치료에서 한다. 책의 중요한 초점은 MWM 이지만, 그 내용은 일반적으로 수기치료에 적용된다. 특히 이 장에서 수기치료의 임상적 이점을 설명하는 현대 이론에 대한 요약을 제공하여 잠재적인 원리의 최신 이해를 설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