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품상세정보
ISBN |
9788962788372(8962788373) |
쪽수 |
310쪽 |
크기 |
188 * 257 mm 판형알림 |
이 책의 원서 |
口から食べる : 嚥下障害Q&A. 第4版/藤島一郞 |
책소개
이 책이 속한 분야
『입으로 먹을 수 있다』는 일본 섭식연하장애의학계에서 가장 유명한 뇌신경외과 전문의이자 재활의학과 전문의인 후지시마 이치로 선생이 쓴 책으로 섭식, 연하장애에 관한 책이다. 기본적인 해부학적 지식으로부터 섭식, 연하장애의 질환적 특성, 검사 및 진단법, 치료 및 케어에 대한 지침 및 대처법, 관련 식품 및 요리법, 치과적 처치 그리고 집에서도 할 수 있는 훈련법까지 총망라하여 초보자라도 충분히 잘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저자소개
목차
chapter 01 연하장애
Q 01 연하장애라는 것은 무엇입니까?
Q 02 연하의 기전을 쉽게 설명해 주세요.
Q 03 구마비, 가성구마비라는 단어를 들었는데, 차이에 대해 알려주세요.
Q 04 나이를 먹으면 먹는 기능도 저하되나요?
Q 05 약으로 연하장애를 낫게 할 수는 없나요?
Q 06 연하장애 수술에 대해 알려주세요.
Q 07 연하장애라고 진단되었습니다. 식사는 중지합니까?
Q 08 사레들었다면 식사는 중지합니까? 3
Q 09 연하장애가 있는 것처럼 생각되는데, 어디에 가서 누구에게 보이면 좋겠습니까?
Q 10 팀 어프로치에 대해 알려주세요.
chapter 02 오연성 폐렴
Q 11 오연성 폐렴에 대해 알려주세요.
Q 12 먹지 않는데도 오연성 폐렴이 되는 사람이 있습니까? 왜 그런걸까요?
Q 13 오연성 폐렴은 예방할 수 있습니까?
Q 14 오연성 폐렴의 징조와 발현 양상에 대해 가르쳐 주세요.
Q 15 사레들지 않는 오연으로는 무엇이 있습니까?
Q 16 오연성 폐렴의 예방에 폐렴구균 백신은 효과가 있습니까?
Q 17 양념과 후추가 연하장애를 치료해서 폐렴예방 효과가 있다고 신문에 쓰여 있었는데 정말인가요?
Chapter 03 검사·진단의 포인트
Q 18 어떠한 증상에서 연하장애가 있는지를 의심합니까?
Q 19 연하장애라고 진단하는 포인트를 가르쳐 주세요.
Q 20 오연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방법을 가르쳐 주세요.
Q 21 연하조영이라는 것은 무엇입니까?
Q 22 연하조영을 할 수 없을 때는 어떻게 하면 좋습니까?
Q 23 연하조영(VF)과 연하내시경(VE)는 같은 연하검사입니까? 양쪽 다 할 필요가 있을까요?
Q 24 인두통과에 문제가 있다고 하는 것은, 어떠한 상태라고 할 수 있을까요?
Q 25 식도 통과장애는 어떤 증상으로 알 수 있습니까?
Q 26 수분, 영양이 충분히 공급되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는 포인트를 가르쳐 주세요.
Q 27 환자의 평가(중증도)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Chapter 04 케어의 기본 : 체위와 식품
Q 28 고령자에게 해 드릴 식사지도의 포인트를 가르쳐 주세요.
Q 29 먹을 때는 어떤 체위를 취하면 좋을까요?
Q 30 한쪽一側 연하라는 것은 어떤 방법입니까?
Q 31 식후나 수면시의 자세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Q 32 한입에 먹을 양의 목표와 숟가락의 크기를 가르쳐 주세요.
Q 33 먹기 쉬운 음식과 먹기 힘든 음식을 가르쳐 주세요.
Q 34 연하(조정)식은 고령자 식사와 같다고 생각해도 좋을까요?
Q 35 먹기 쉬운 음식의 온도는 어느 정도입니까?
Q 36 집에서 연하(조정)식을 만드는 것이 어렵습니다.
Q 37 병원에 연하(조정)식이 없는데,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Q 38 잘게 썬 음식은 좋지 않다고 들었습니다.
Q 39 증점제는 ‘맛이 없다’고 해서 사용하기 싫어하는 환자가 있습니다.
Q 40 연하(조정)식은 언제까지 계속하면 좋을까요?
Q 41 저염식이라서 ‘맛을 알 수 없다’고 하면서 먹지 않습니다.
Q 42 씹으면 위험하다고 들었는데 씹는 것은 좋은 것 아닐까요?
Q 43 물을 자유롭게 마시게 하고 있는 시설이 있다고 들었는데 괜찮을까요?
Chapter 05 다양한 증상과 대처법
Q 44 약을 능숙하게 먹이는 방법에 대해 가르쳐 주세요.
Q 45 연하장애가 있는 사람에게는 무서워서 손댈 수 없습니다. 어떠한 위험 대책을 세우면 좋을까요?
Q 46 의식이 없는 사람에게 무언가 해주고 싶습니다.
Q 47 두리번두리번 거리면서 식사에 집중하지 못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Q 48 먹이려고 해도 입을 열지 않습니다.
Q 49 흘리는 침이 많아서 난감합니다.
Q 50 타액을 삼키지 않고 퉤퉤 뱉는 사람이 있는데 왜 그럴까요?
Q 51 입에서 줄줄 흘려버립니다.
Q 52 입에서 흘리는 것이 많은 사람은 어떤 식기를 고려하면 좋을까요?
Q 53 딱딱한 것을 먹을 수 없습니다.
Q 54 푸석푸석한 음식을 남기게 됩니다.
Q 55 뺨 안쪽을 씹어 버려 아파서 먹을 수 없습니다.
Q 56 입에 음식을 둔 채로 삼킬 수 없습니다.
Q 57 삼키는 것을 촉진하는 방법이 있습니까?
Q 58 젤리는 부셔서 먹게 하는 편이 좋다고 생각합니까?
Q 59 삼킬 때 위쪽을 향하지 않으면 삼키지 못하는 사람이 있습니다만 그대로 두어도 될까요?
Q 60 수분을 섭취하라고 했지만 사레들고 본인도 마시고 싶어하지 않습니다.
Q 61 흡인을 하는 판단기준을 가르쳐 주세요.
Q 62 흡인할 때의 주의사항을 가르쳐 주세요.
Q 63 식사 중이나 식후에 목소리가 바뀝니다. 목에 무언가가 남아 있는 것 같은 기분이 듭니다.
Q 64 식사 도중이나 식후에 기침이 나옵니다.
Q 65 삼킨 것이 목으로 역류해 옵니다.
Q 66 통째로 삼켜서 바로 식사가 끝나 버리는 사람이 있습니다.
Q 67 식사에 시간이 걸리는 사람이 있습니다.
Q 68 실어증으로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없습니다. 연하훈련은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Q 69 식사보조를 하는 쪽이 좋을지 스스로 먹게 하는 쪽이 좋을지 어떻게 판단하면 좋겠습니까?
Q 70 인지증으로 연하장애가 있는 분에게는 어떻게 대처하면 좋을까요?
Q 71 왼쪽의 음식을 남깁니다.
Q 72 식사 도중에 잠들어 버려 먹을 수 없는 사람이 있습니다.
Q 73 식후에 혈압이 떨어지고 현기증이 납니다.
Q 74 식후 지쳐서 잠들어 버립니다.
Chapter 06 기초훈련과 섭식훈련
Q 75 섭식, 연하장애가 있는 사람들에게 어떤 훈련 방법이 있습니까?
Q 76 훈련을 해도 먹을 수 없는 경우에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Q 77 연하체조를 가르쳐 주세요.
Q 78 목의 얼음마사지에 대해 가르쳐 주세요.
Q 79 얼음마사지나 먹기 전 준비체조는 언제까지 계속하면 좋을까요?
Q 80 연하를 강화시켜 주는 좋은 방법 1 : 두부거상 훈련
Q 81 연하를 강화시켜 주는 좋은 방법 2 : 설근 훈련
Q 82 목에 남은 잔류물을 제거하는 방법을 가르쳐 주세요(공연하와 교대연하).
Q 83 횡향?向き 연하와 끄덕うなずき 연하에 대해 가르쳐 주세요
Q 84 기침과 호흡 훈련이 효과가 있다고 들었는데 의의意義와 방법에 대해 가르쳐 주세요.
Q 85 언제나 시행하는 기침 훈련에는 어떤 방법이 있습니까?
Q 86 풍선을 이용하는 훈련법에 대해서 가르쳐 주세요.
Q 87 혀 접촉 보조장치를 이용한 훈련법이라는 것은 무엇인가요?
Q 88 힘을 실어 강하게 연하하는 방법이 좋다고 들었습니다.
Q 89 Mendelsohn 수기手技라는 것은 어떤 것입니까?
Q 90 컵의 물을 빨대로 보글보글 부는 훈련법이 연하에 좋다고 들었는데 정말일까요?
Chapter 07 구강관리
Q 91 식후에 입안이 더럽습니다.
Q 92 입 안이 더러운 사람은 연하장애와 관련이 있습니까?
Q 93 Isodine?으로 구강관리하는 것을 싫어하는 환자가 있는데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Q 94 구강관리는 연하의 훈련도 될 수 있습니까?
Q 95 틀니를 하고 있는 분에게는 어떤 주의를 하면 좋을 지 가르쳐 주세요.
Q 96 입을 벌려주지 않는 환자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Chapter 08 경관 영양하는 환자에 대해서
Q 97 코를 통해 관으로 영양을 섭취하고 있는 환자 중 먹을 수 있게 되는 사람은 없습니까?
Q 98 코를 통해 관으로 영양을 섭취하고 있는 환자에게 먹게 하는 순서를 가르쳐 주세요.
Q 99 관을 스스로 뽑아버리는 환자는 입으로 먹을 수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는데 정말인가요?
Q 100 코에 넣는 튜브는 연하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나요?
Q 101 연하훈련 중 영양 확보에는 어떠한 방법이 있는지 상세하게 가르쳐 주세요.
Q 102 입을 통해 관을 넣어서 영양을 공급하는 방법을 가르쳐 주세요.
Q 103 기관 cannula가 들어가 있어도 먹을 수 있습니까?
Q 104 기관절개 cannula로 오연을 예방할 수 있습니까?
Q 105 위식도 역류 방지에 효과적인 방법을 가르쳐 주세요.
증례
부록
INDEX
출판사 서평
소개서문
모든 사람은 나이가 들면서 장애가 필연적으로 하나 둘 생기게 되고 그중에서도 누구나 나이가 들면 겪게 될 섭식, 연하장애는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를 크게 좌절시키는 장애가 아닐까 생각한다.
대한장애인치과학회에서 홍보이사를 맡은 역자는 우리나라에도 섭식, 연하장애로 고통받는 분들은 많지만 이외로 적절한 교육이나 참고할만한 책이 많지 않음을 알게 되었다. 이후 국제이사를 수년간 맡아오면서 일본장애자치과학회의 학술대회를 계속 방문할 기회가 있었는데, 놀랍게도 이 학회가 일본의 치과관련 학회 중 가장 회원수가 많고 활발한 학...
더보기
소개서문
모든 사람은 나이가 들면서 장애가 필연적으로 하나 둘 생기게 되고 그중에서도 누구나 나이가 들면 겪게 될 섭식, 연하장애는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를 크게 좌절시키는 장애가 아닐까 생각한다.
대한장애인치과학회에서 홍보이사를 맡은 역자는 우리나라에도 섭식, 연하장애로 고통받는 분들은 많지만 이외로 적절한 교육이나 참고할만한 책이 많지 않음을 알게 되었다. 이후 국제이사를 수년간 맡아오면서 일본장애자치과학회의 학술대회를 계속 방문할 기회가 있었는데, 놀랍게도 이 학회가 일본의 치과관련 학회 중 가장 회원수가 많고 활발한 학회 중의 하나라는 것을 알게 되었고, 학술대회 내용 중 상당 부분이 섭식, 연하와 관련된 것이라는 점에 또 한 번 놀라게 되었다. 이미 일본은 수많은 교육 매체와 연구, 세미나가 이루어지고 관련 식품산업이 발달한 것을 보고 감탄을 금치 못하였으며 또 한편으로는 부럽기도 하였는데 우리나라도 앞으로 이러한 관심이 많아질 수 밖에 없고 필연적인 과정이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특히 세계에서 가장 학구열이 높고 똑똑한 우리 국민들과 의료진들에게 올바르고 알기 쉬운 정보를 서둘러 제공하여야 하겠다는 생각으로 소개에 적절한 책을 고르고 또 골라 보았는데, 결국 이 책 ‘口から食べる-嚥下障害Q&A’가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이 책은 일본 섭식연하장애의학계에서 가장 유명한 뇌신경외과 전문의이자 재활의학과 전문의인 후지시마 이치로 선생이 쓴 책으로 1995년에 초판이 출판된 이래, 2011년에 개정 4판까지 나온 일본에서 가장 널리 읽혀온 섭식, 연하장애에 관한 매우 인기 있는 책이다. 기본적인 해부학적 지식으로부터 섭식, 연하장애의 질환적 특성, 검사 및 진단법, 치료 및 케어에 대한 지침 및 대처법, 관련 식품 및 요리법, 치과적 처치 그리고 집에서도 할 수 있는 훈련법까지 총 망라하여 초보자라도 충분히 잘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