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강악안면외과 영역의 치과 질환자들은 자신의 질환에 대한 통증과 치과치료에 대한 공포심 그리고 전신질환과의 연관성 때문에 다양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어 치과의사는 물론 치과위생사를 포함한 모든 진료진이 이에 충분한 지식으로 대비를 할 수 있어야 합니다. 다른 치과진료도 마찬가지이지만 특히 구강악안면외과 진료는 엄격한 멸균과 소독, 수술 과정 그리고 전신 평가 등을 진료 구성원들이 잘 알아야만 수술이나 시술 경과에 문제가 없이 잘 치료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배경에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가 치과위생사를 위한 구강악안면외과학 교과...
더보기
구강악안면외과 영역의 치과 질환자들은 자신의 질환에 대한 통증과 치과치료에 대한 공포심 그리고 전신질환과의 연관성 때문에 다양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어 치과의사는 물론 치과위생사를 포함한 모든 진료진이 이에 충분한 지식으로 대비를 할 수 있어야 합니다. 다른 치과진료도 마찬가지이지만 특히 구강악안면외과 진료는 엄격한 멸균과 소독, 수술 과정 그리고 전신 평가 등을 진료 구성원들이 잘 알아야만 수술이나 시술 경과에 문제가 없이 잘 치료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배경에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가 치과위생사를 위한 구강악안면외과학 교과서를 발간하게 된 것은 매우 의미가 크다고 생각됩니다. 저는 구강악안면외과 임상진료를 하면서 개인적으로 치과위생사 교육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번에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일원으로서 이 중요한 작업에 참여하게 된 것을 보람되고 감사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새롭게 만들어지는 책인 만큼 그 구성도 매우 알차게 하려고 노력하였고, 원고 집필진들도 그 어느 때보다 더 열심히 정성을 다 하였습니다. 구강악안면외과학에 관련된 지식이 총망라되어 있으며, 이론과 임상 양면에 모두 중점을 두고 최근 비약적인 발전을 이룩한 최신 구강악안면외과학을 기술하고자 노력하였습니다. 학생들이 각 단원의 전체적인 내용 파악이 용이하도록 학습목적과 구체적인 학습목표를 분명히 하였으며, 내용 전개 시 내용파악의 혼란을 방지하고 삽입된 그림은 가능한 새로 도안하였으며 참고문헌 역시 최신문헌을 많이 인용하도록 노력하였습니다.
이러한 집필진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날로 발전하는 구강악안면외과학의 내용을 한정된 지면에 적절히 분배하여 기술한다는 것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어서 책을 완성하고 나서도 스스로 부족함을 느끼지만, 우리나라 임상증례 사진과 우리가 그린 그림으로 설명된 책을 편찬케 되었음에 이 책을 읽으시는 모든 분들이 저자들의 뜻이 담긴 내용을 토대로 구강악안면외과에 대한 기본 지식을 다질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비록 이 책 한권으로 구강악안면외과 영역에 대하여 모두 알 수는 없다 하더라도 기본적인 지식들과 더불어 최신 경향을 정확하게 설명함으로써 전반적인 이해의 폭이 넓어지고 앞으로의 나아갈 길을 제공하는데 보탬이 될 것으로 확신합니다.
이 책을 통해서 환자에 대한 치과의사와 치과위생사의 진료가 한층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라며, 끝으로 훌륭한 교과서를 만들겠다는 강한 의지를 가지고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여서 집필하신 본 학회 교과서편찬위원장이신 단국대학교 이재훈교수님을 위시한 모든 교수님들과 편찬 실무를 담당하여 오랜 기간 심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