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개정판은 좀 더 현실에 맞는 내용으로 개편되었습니다. 간략하게 소개하면 기초 치의학부문은 관계있는 장들을 묶어 보다 집중적인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였고, 많은 양을 차지하던 전신마취학 부분은 우리 치과 임상 현실로 보아 전신마취 하의 수술을 하는 구강악안면외과의사가 아니면 자주 접하지는 않는다는 점을 감안하여 대폭 축소하면서도 일반 치과의사들에게 꼭 필요한 내용은 남겨 치과 임상에서 전신마취가 필요한 환자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치과마취의 근간을 이루는 국소마취학 부분은 그 내용을 유지하면서도, 아직은 임상 적용...
더보기
이번 개정판은 좀 더 현실에 맞는 내용으로 개편되었습니다. 간략하게 소개하면 기초 치의학부문은 관계있는 장들을 묶어 보다 집중적인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였고, 많은 양을 차지하던 전신마취학 부분은 우리 치과 임상 현실로 보아 전신마취 하의 수술을 하는 구강악안면외과의사가 아니면 자주 접하지는 않는다는 점을 감안하여 대폭 축소하면서도 일반 치과의사들에게 꼭 필요한 내용은 남겨 치과 임상에서 전신마취가 필요한 환자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치과마취의 근간을 이루는 국소마취학 부분은 그 내용을 유지하면서도, 아직은 임상 적용에는 이른 감이 있지만 정보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나날이 발전하고 있는 국소마취의 무통 주입법과 컴퓨터 제어 국소마취 주사법(Computer controlled local anesthetic delivery system) 을 추가로 소개하였습니다.
특히 이번 3판에서는 전신마취 부분에서 다루던 환자 평가와 회복 관리 등을 진정법과 연관하여 배치하고 그 내용도 진정법에 맞도록 수정, 보완하여 치과임상에서 진정법을 시행하여 환자를 관리하는 데에 보다 합리적인 내용으로 구성되었습니다.
두경부 통증을 중심으로 하는 통증의학과 치과 환경에서의 응급 상황에 대한 응급의학을 이번 교과서에서도 중요하게 다루어 전체적인 구성에 만전을 기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