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건강간호현장은 우리에게 비판적 사고를 학습하고 훈련해야 함을 강조한다. 그 이유는 비판적 사고기술과 태도를 여성건강간호과정에 적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간호과정은 대상자의 간호문제해결을 위해 가장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간호실무로서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비판적 사고의 도구로 사용된다.
비판적 사고란 우리가 일상으로 생각하는 무비판적 사고와는 다르다. 비판적 사고는 신중하고 목적이 있고 사실을 근거로 한 조직적인 인지과정이며 실제적 과정으로 일련의 통합된 능력과 태도를 포함한다.
간호사나...
더보기
여성건강간호현장은 우리에게 비판적 사고를 학습하고 훈련해야 함을 강조한다. 그 이유는 비판적 사고기술과 태도를 여성건강간호과정에 적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간호과정은 대상자의 간호문제해결을 위해 가장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간호실무로서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비판적 사고의 도구로 사용된다.
비판적 사고란 우리가 일상으로 생각하는 무비판적 사고와는 다르다. 비판적 사고는 신중하고 목적이 있고 사실을 근거로 한 조직적인 인지과정이며 실제적 과정으로 일련의 통합된 능력과 태도를 포함한다.
간호사나 간호학생들이 여성건강간호현장에서 간호과정을 적용할 때에 숙련된 비판적 사고와 자기 성찰적 태도를 갖춘다면 대상자의 문제해결을 위한 간호는 훨씬 효율적일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는 두 개의 굴러가는 바퀴처럼 상호조화 및 상호동력이 되어 간호교육의 발전과 간호실무의 향상을 위해서 또는 새로운 이슈나 동향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것이다.
최근 간호사 국가시험은 간호실무역량 지표인 지식, 기술 및 태도를 정확하게 평가하기위해서 다양한 임상상황을 제시하고 비판적 사고에 의해 답을 선택하는 문제해결형 문제로 대거 전환하고 있다. 이는 기억에 의존하는 교과서형 간호사보다는 다양한 상황에서 우선순위별로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해 나갈 수 있는 유능한 간호사를 선택하겠다는 의도이다. 이에 여성건강 간호교육과정도 자기주도적 학습, 시뮬레이션 실습, 임상실습에서의 실무역량이 강화되면서 여기에 비판적 사고를 통합하려는 의지와 능력의 개발을 요구하고 있다.
본 책은 2010년 초판으로 발행된 이래 여러 저자들이 미비한 부분들을 일부 보완하면서 특히 국가시험을 대비하기위해 문제해결형 예시 문제들과 질문에 대한 해답을 삽입한 개정판이다.
본 책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급격하게 변화하는 임상상황에서 여성건강간호의 쟁점, 임신기와 임부간호, 출산기와 산부간호, 산욕기와 산모간호에 대한 비판적 사고능력을 확장할 수 있도록 Key point(핵심 개념)과 간호실무를 제시하였다.
2. 비판적 사고 훈련 영역은 자기주도적 학습, 시뮬레이션 실습, 또는 임상실습에서 문제확인과 문제해결을 위한 비판적 사고를 적용할 수 있도록 여성건강문제 상황을 제시하였고 질문에 답하도록 시도하였다.
3. 비판적 사고중심 학습 영역은 개념적 측면을 그리고 비판적 사고중심 간호실무 영역은 개념적 측면과 실무적 측면을 통합적으로 다루었다.
4. 간호실무능력 평가 영역에서는 여성건강간호 주제 별로 제시한 문제들을 풀어보면서 간호실무역량을 확인하고 평가하도록 하였다.
5. 주제별 관련정보 영역은 재미있고 명료성이 높은 그림을 사용하여 Key point(핵심개념)에 대한 이해와 명료성을 높였고 다양한 정보를 습득함으로써 제시한 문제해결을 위한 비판적 사고능력을 확장시켰다.
앞으로 본 책이 간호학생뿐만 아니라 새로운 정보를 필요로 하는 간호사의 계속교육을 위해서나 안내책자로 활용되어지길 기대한다. 여러 가지 미비한 점이 많을 것이라 사료되며 계속적으로 보완하도록 할 것이다. 본 책이 출간 될 수 있도록 도와주신 군자출판사의 임직원 여러분께 깊은 감사를 드린다.
2015년 2월
김계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