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재료학은 치과재료에 관한 기초적인 이론과 임상적인 응용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학문이다. 이 책에서는 치과임상에서 사용되는 직접 및 간접 수복재료와 수복물의 제작과정에서 사용되는 보조재료의 조성, 물리적 성질, 생체적합성, 그리고 조작방법에 대하여 포괄적으로 다루고 있다. 치과임상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재료는 완제품이라기보다 반제품 상태로 공급되므로 최적의 특성이 발휘되기 위해서는 술자가 재료의 성질과 작방법에 대해서 충분히 이해하고 습득하여야 한다.
본서의 저자들은 치의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의 지식 습득에 도움이 됨은 물...
더보기
치과재료학은 치과재료에 관한 기초적인 이론과 임상적인 응용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학문이다. 이 책에서는 치과임상에서 사용되는 직접 및 간접 수복재료와 수복물의 제작과정에서 사용되는 보조재료의 조성, 물리적 성질, 생체적합성, 그리고 조작방법에 대하여 포괄적으로 다루고 있다. 치과임상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재료는 완제품이라기보다 반제품 상태로 공급되므로 최적의 특성이 발휘되기 위해서는 술자가 재료의 성질과 작방법에 대해서 충분히 이해하고 습득하여야 한다.
본서의 저자들은 치의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의 지식 습득에 도움이 됨은 물론 임상의들이 재료의 선택과 적용에 관한 지침서로 활용할 수 있도록 기초적인 이론과 함께 임상적용에 관한 내용을 폭넓게 다루려고 노력하였다. 이번 개정서에서는 6판에서 미흡한 내용을 보다 충실하게 보완하였을 뿐만 아니라 디지털 치의학을 포함하는 치과재료에 관한 새로운 내용을 추가하였다. 또한 본서에서는 치과재료에 관한 규격을 가급적 최신 국제표준규격(ISO)에 맞추어 수록하여 국제적인 흐름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7판에서는 다양한 전공을 가진 교수들이 함께 모여 6판에서 부족하였던 부분을 보완하려고 많은 노력을 기울였지만 아직도 더 많은 부분에서 개정이 필요한 실정이다. 저자들은 본서의 미진한 부분에 대하여 독자들의 많은 지도와 조언을 기대하며, 내용을 계속적으로 보완하여 보다 나은 책으로 완성해 나갈 생각이다.
끝으로 본서가 완성되기까지 적극적으로 협조해주신 대한치과재료학 교수협의회 회장 김광만 교수, 편집위원(배지명 교수, 설효정 교수, 오승한 교수, 안진수 교수, 이해형 교수,
최한철 교수)과 군자출판사 장주연 사장님을 비롯한 치의학부 직원 여러분들의 노고에 진심으로 감사를 드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