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레스와 정신신체의학』은 스트레스와 정신신체의학 분야를 이해하고 실제적으로 접근하는 데 도움이 되는 지침서이다. 스트레스에 대한 인지행동적 접근을 비롯해 ‘스트레스와 정신분열증’같이 실제적인 상황에 대한 접근 방법을 다루었으며, 정신신체의학의 역사와 현재, 미래를 짚어 보며 정신신체의학의 정체성을 탐구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치료 부분에 있어서도 크게 약물치료와 인지행동치료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다. 오랫동안 임상 경험과 연구를 통해 얻은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스트레스와 정신신체의학에 대해 알기 쉽게 기술하고 있어 정신과를...
더보기
『스트레스와 정신신체의학』은 스트레스와 정신신체의학 분야를 이해하고 실제적으로 접근하는 데 도움이 되는 지침서이다. 스트레스에 대한 인지행동적 접근을 비롯해 ‘스트레스와 정신분열증’같이 실제적인 상황에 대한 접근 방법을 다루었으며, 정신신체의학의 역사와 현재, 미래를 짚어 보며 정신신체의학의 정체성을 탐구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치료 부분에 있어서도 크게 약물치료와 인지행동치료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다. 오랫동안 임상 경험과 연구를 통해 얻은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스트레스와 정신신체의학에 대해 알기 쉽게 기술하고 있어 정신과를 전공하는 의사와 학생들은 물론, 심리학, 간호학, 사회사업과학 전공자 등 정신건강 분야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도 관심 있게 볼 수 있다.
이번 제2판에서는 ‘제17장 정신과 자문에서 약물치료’에서 새로 나온 약물, 즉 항우울제, 항불안제, 2세대 항정신병 약물, 기분조절 약물 등을 보완했다. 이외에도 ‘제2장 스트레스의 평가’, ‘제4장 스트레스와 면역’, ‘제15장 신체화의 개념과 기전’, ‘제16장 신체화의 평가 및 치료’, ‘제18장 신장질환 환자들에서 약물의 사용’과 관련하여 최근 연구에서 밝혀진 것들을 추가했다. 그리고 전반적으로 검토하여 혼동을 일으킬 수 있는 부분들을 교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