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요로생식기감염학회가 편저한 요로생식기감염 분야의 교과서 『요로생식기감염』이 출간되었다. 요로생식기감염은 의사들이 흔히 접하는 질병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분야의 질환에 비해 의학계의 관심이 상대적으로 부족하고 기초 지식도 미비하여 학문적으로 명확히 정립되지 않은 실정이다. 신장, 요관, 방광 및 요도로 구성된 요로기관은 남성 혹은 여성 생식기관과 밀접하게 위치하므로 요로생식기감염은 다양한 증상을 나타낸다. 이처럼 요로생식기감염의 유병률과 증상 그리고 합병증이 성별과 연령에 따라 다양하기 때문에 진단과 치료 분야에서도 새롭고 전문적인...
더보기
대한요로생식기감염학회가 편저한 요로생식기감염 분야의 교과서 『요로생식기감염』이 출간되었다. 요로생식기감염은 의사들이 흔히 접하는 질병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분야의 질환에 비해 의학계의 관심이 상대적으로 부족하고 기초 지식도 미비하여 학문적으로 명확히 정립되지 않은 실정이다. 신장, 요관, 방광 및 요도로 구성된 요로기관은 남성 혹은 여성 생식기관과 밀접하게 위치하므로 요로생식기감염은 다양한 증상을 나타낸다. 이처럼 요로생식기감염의 유병률과 증상 그리고 합병증이 성별과 연령에 따라 다양하기 때문에 진단과 치료 분야에서도 새롭고 전문적인 지식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요로생식기감염학회는 요로생식기감염 질환에 관한 기초 및 임상 지식뿐만 아니라 실제 진료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여러 술기와 진료지침을 집대성하기 위해 『요로생식기감염』을 편찬했다. 이 책을 위해 국내의 저명한 임상의와 연구자 62명이 집필에 참여하였으며, 최근까지 정립된 연구 결과와 첨단기기들을 이용한 진단 및 최신 치료법을 소개하여 환자를 진료할 때 유용한 지침서로 쓰이도록 했다. 또한 교과서의 대상을 비뇨기과 전문의뿐 아니라 의과대학 학생과 간호사, 일반의사 등 공중보건에 종사하는 1차 의료진까지 확대하여 가능한 한 해당 분야를 처음 대하는 학생들과 1차 의료진들의 혼란을 최소화하고 이해하기 쉽게 저술했다.
요로생식기감염 분야의 기초와 임상 전반을 체계적으로 망라한 『요로생식기감염』은 요로생식기감염 분야에 관심 있거나 종사하고 있는 모든 의료진과 연구자에게 유용한 지침서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