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회계의 시험범위는 국가회계와 지방자치단체회계로 구분됩니다. 이 중 국가회계에서는 매년 꾸준하게 3~4문제 정도가 출제되고 있고 지방자치단체 회계에서는 1~2문제 정도 출제되고 있습니다. 이를 다시 서술형문제와 계산형문제로 구분하면 법률조항이나 회계기준을 묻는 이론적인 서술형문제는 4문제, 재무제표와 관련된 계산형문제는 1문제가 출제되고 있습니다. 더욱 자세한 영역별 기출문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공인회계사 시험에 출제되는 「정부회계 기출문제」의 특징]
1. 정부회계는 국가회계 위주로 출제됩니다. 국가회계는 회계실체별로 작성하는 재무제표의 형식이 서로 다르고 다양하기 때문에 지방자치단체회계보다는 조금 더 복잡합니다. 공인회계사 시험에서는 이러한 부분을 고려하여 현재 국가회계기준을 위주로 출제하고 있는 것입니다.
2. 현재 출제 경향은 계산형보다는 서술형 문제 위주로 출제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국가?지방 자치단체회계기준과 관련된 법률조항만 제대로 알고 있으면 문제를 푸는데 많은 시간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현재 출제되고 있는 문제의 출제범위와 출제난이도는 ?국가회계기준에 관한 규칙」이나 「지방자치단체회계기준에 관한 규칙」정도만 제대로 공부해도 대부분의 정답을 빠른 시간 내에 골라 낼 수 있는 수준입니다. 이 기출문제집은 그 부분을 충분히 고려하여 문제를 풀기 위해서 알아야 할 회계기준에 대한 내용을 해답에 충분하고 상세하게 반복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수험생 혼자서 공부하여도 앞으로 다른 시험문제도 잘 풀어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3. 또 하나의 출제경향과 관련하여 알고 있어야 하는 사항은 계산형 문제의 출제방식입니다. 대부분의 계산형 문제는 현재 국가회계부분에서 출제되고 있고 국가회계의 재무제표 중에서도 재정운영표 또는 순자산변동표를 작성하는 문제가 출제되고 있습니다. 이 계산형 문제들은 중앙관서 또는 기금, 대한민국 정부 등 어느 하나의 유형만 출제되지 않고 다양한 회계실체별로 각각 재무제표를 작성하는 것을 요구 하고 있으니 반드시 다양한 회계실체별로 서로 다른 재무제표를 작성해보고 이를 비교하여 공부하는 것이 좋습니다. 본 책에서는 이러한 수험생들의 상황을 고려하 여 여러 회계실체별로 다양한 재무제표를 작성해 볼 수 있도록 12회의 모의고사에 충분하게 그 내용을 반영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