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플랫폼은 네트워크 효과와 생태계 기반 경쟁력을 바탕으로 시장
지배력을 강화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빅테크 기업 중심으로 플랫
폼 독점화가 진행되는 동시에, 지역 특화형·산업 특화형 플랫폼이 성장세
를 보이고 있다. 국내 역시 유통, 금융, 교육, 의료, 물류 분야를 중심으
로 플랫폼 전환이 본격화되고 있으며, 데이터 경제 활성화와 규제 환경
변화가 성장 촉매제로 작용하고 있다.
☐ 디지털 콘텐츠 산업은 AI, 클라우드, XR(확장현실), 메타버스 등 차세대
기술과 결합해 새로운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글로벌 콘텐츠 시장은 영
상·음악·게임 중심에서 실감형·인터랙티브 콘텐츠로 확장되고 있으며, K콘텐츠의 해외 수출 증가와 OTT 플랫폼 확산은 국내 산업 성장의 중요한
기회 요인이다. 동시에 저작권 보호, 과도한 경쟁, 제작비 상승 등 구조적
과제도 병존한다.
☐ The Business Research Company의 발표에 따르면 세계 서비스 산업의
세계 시장 규모는 7년간 연평균 성장률 8.1%로 증가하며 ’22년 약 13조
달러에서 ’28년 22조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금융, 의료, 교육, 물류 등 다양한 서비스 산업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있으며, 클라우드 서비스, 데이터 분석, 인공지능(AI) 기
술이 서비스 부문에서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또한 맞춤형, 편리성, 경험
중심의 소비자 요구가 증가하면서, 고급화된 서비스와 개인화된 솔루션
제공이 서비스 산업의 핵심 과제가 되고 있고, 이러한 트렌드는 서비스
품질 개선과 시장 확대를 견인하고 있다.
- 전 세계적으로 제조업에서 서비스 중심 경제로의 전환이 진행되고 있으
며, 특히 선진국은 서비스가 GDP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신흥 시장에
서도 서비스 산업이 주요 성장동력으로 부상하고 있다.
- 원격 의료, 전자상거래, 디지털 교육과 같은 신서비스가 시장을 확대하
고 있으며, 팬데믹 이후 디지털 기반 서비스 수요가 급증하면서 지속 가
능한 성장 동력으로 자리잡고 있다.
- Marketsandmarkets의 자료에 따르면 교육 서비스의 세계 시장 규모는
7년간 연평균 성장률 13.2%로 증가하며 ’22년 약 1,253억 달러에서
’28년 2,636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statista에 따르면 관광 서비스 분야의 세계 시장 규모는 7년간 연평균
성장률 3.5%로 증가하며 ’22년 약 8,641억 달러에서 ’28년 1조 634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RESEARCH AND MARKETS에 따르면 유통·물류 서비스 분야의 세계
시장 규모는 7년간 연평균 성장률 6.4%로 증가하며 ’22년 약 8조
8,420억 달러에서 ’28년 12조 8,29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
망되고 있다
- Global Industry Analysts, Inc에 의하면 헬스케어 서비스 분야의 세계
시장 규모는 7년간 연평균 성장률 19.2%로 증가하며 ’22년 약 2.1억
달러에서 ’28년 6.2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Garther의 자료에 따르면 정보통신 서비스 분야의 세계 시장 규모는 7
년간 연평균 성장률 8.9%로 증가하며 ’22년 약 1조 3,056억 달러에서
’28년 2조 1,759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통계청의 자료에 의하면 서비스 산업의 국내 시장 규모는 7년간 연평균
성장률 10.0%로 증가하며 ’22년 약 3,053조 원에서 ’28년 5,406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IT 기술과 디지털화가 국내 서비
스 산업 전반에 걸쳐 적용되면서, 기존 서비스의 효율성이 높아지고 새로
운 유형의 디지털 서비스가 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 국내 소비자들은 개인화되고 맞춤형 서비스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
으며, 이는 서비스 품질 개선과 고급화된 솔루션 도입을 촉진하고 있다.
정부는 서비스산업 발전 기본법 제정과 같은 정책적 지원을 통해 서비
스 산업의 디지털 전환과 경쟁력 강화에 주력하고 있으며, 문화 콘텐츠,
헬스케어, 교육 서비스 등에서의 성장은 정책적 지원과 연계되어 가속화
되고 있다.
- 국내 1인 가구의 증가와 고령화는 간편 서비스, 헬스케어 서비스, 라이
프스타일 기반 서비스 등 새로운 시장 기회를 창출하고 있다.
- 에듀테크연구원에 따르면 교육 서비스 분야의 국내 시장 규모는 7년간
연평균 성장률 8.3%로 증가하며 ’22년 약 7조 8,900억 원에서 ’28년
12조 7,100억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statista에 따르면 관광 서비스 분야의 국내 시장 규모는 7년간 연평균
성장률 4.2%로 증가하며 ’22년 약 12억 달러에서 ’28년 15억 달러 규
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대한상공회의소에 따르면 유통·물류 서비스 분야의 국내 시장 규모는 7
년간 연평균 성장률 4.2%로 증가하며 ’22년 약 203조 원에서 ’28년
260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정보통신기획평가원에 의하면 헬스케어 서비스 분야의 국내 시장 규모
는 7년간 연평균 성장률 16.4%로 증가하며 ’22년 약 3.4조 원에서 ’28
년 8.6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Global Data의 발표에 따르면 정보통신 서비스 분야의 국내 시장 규모
는 7년간 연평균 성장률 7.1%로 증가하며 ’22년 약 77조 원에서 ’28년
116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Allied Market Research에 의하면 세계 서비스플랫폼 시장 규모는 2022
년 약 622억 달러에서 2028년에는 약 1,499억 달러로 연평균 15.8% 성
장 전망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서비스플랫폼은 이를 뒷받침하는 핵심 기술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중이다.
- Uber, Airbnb, Amazon 등 글로벌 플랫폼 기업이 여러 국가에서 사업을
확장하며 지역적 서비스플랫폼 시장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 또한 전 세
계적으로 인터넷과 모바일 네트워크 보급률이 높아지면서 플랫폼 기반
서비스의 접근성이 크게 개선되었으며, 기존의 산업 경계를 넘나들며 글
로벌 비즈니스 모델로 발전하였다.
- 소비자 요구가 더 편리하고 개인화된 서비스로 변화함에 따라, 서비스
플랫폼은 이러한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중요한 도구로 부각되고 있다.
☐ Allied Market Research에 의하면 국내 서비스플랫폼 시장 규모는 2022
년 약 1조 7,800억 원에서 2028년에는 약 5조 5,202억 원으로 연평균
15.8% 성장 전망되고 있다. 국내 시장은 5G, 광대역 인터넷 등 세계 최
고 수준의 통신망과 디지털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어 빠르고 안정적인 인
터넷 환경은 플랫폼 서비스의 효율성과 접근성을 강화하여, 다양한 서비
스플랫폼 비즈니스 확장을 지원이 가능하다.
- 정부는 디지털 뉴딜 정책을 통해 서비스플랫폼 기술 개발 및 산업 융합
을 적극적으로 지원 중이며, 특히 중소기업 대상 플랫폼 기술 R&D와
생태계 확장을 장려하는 정책은 시장 확대에 기여하고 있다. 배달 플랫
폼(배달의민족), 숙박 플랫폼(야놀자) 등 성공적인 국내 사례가 다수 존
재하며,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서비스모델이 지속적으로 등장하고 있다.
- 1인 가구 증가와 같은 인구 구조 변화는 플랫폼 기반 서비스 수요를 확
대되고 있다. 야놀자, 쿠팡과 같은 국내 플랫폼 기업들은 기술 고도화와
글로벌 확장을 통해 시장 다각화 시도하고 있다.
☐ Research And Markets의 자료에 따르면 세계 디지털콘텐츠 시장 규모는
’22년 1조 1,000억 달러에서 ’28년 2조 2,844억 1,100만 달러로 연평균
13.0%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전 세계적으로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Netflix, YouTube, Disney+ 등)
와 게임 산업의 폭발적인 성장이 디지털콘텐츠 시장 확대를 주도하고
있다. OTT(Over-The-Top) 서비스와 클라우드 기반 플랫폼의 확산은
사용자들이 더 많은 콘텐츠를 손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돕고 있으며, 이
는 시장 성장의 중요한 동력으로 작용되고 있다.
- VR(가상현실), AR(증강현실), AI(인공지능) 등의 신기술이 디지털콘텐츠
개발에 적극적으로 활용되며, 사용자 경험을 혁신하고 새로운 시장을 창
출해내고 있다. 그리고 개발도상국 및 신흥 경제국에서 인터넷 및 스마
트 디바이스의 보급이 급속도로 확산되며 디지털콘텐츠 접근성이 비약
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이는 콘텐츠 기업들에게 신규 소비층 발굴, 플
랫폼 확장, 현지 맞춤형 서비스 제공 등 다양한 성장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자료에 따르면 국내 콘텐츠 시장 규모는 ’22년
680.0억 달러에서 ’28년 837.2억 달러로 연평균 3.5%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K-콘텐츠를 중심으로 정부의 지원과 글로벌 진출 확대
가 국내 디지털콘텐츠 시장 성장을 견인하고 있는 중이다.
- 모바일 디바이스 기반의 콘텐츠 소비 증가와 숏폼 영상, OTT 플랫폼의
성장이 국내 시장의 주요 성장 동력으로 작용되고 있다 교육, 게임, 엔
터테인먼트 등에서 실감형 콘텐츠 기술의 도입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
으며, 이는 사용자 경험 개선과 새로운 콘텐츠 시장 창출로 연결되고 있
다.
- 기업과 공공기관에서 디지털 전환이 본격화되면서, 교육, 의료, 제조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디지털콘텐츠 활용이 급증하고 있다.
☐ 본 보고서는 서비스 분야와 디지털콘텐츠 분야의 핵심 품목별 시장과
R&D를 분석하였고, 향후 서비스 분야의 전망까지 분석하였다. 또한 특허
분야까지 분석함으로써 관련 분야 기업체는 물론, 관련 종사자들에게 필
요한 정보들을 싣는데 심혈을 기울였다. 본 보고서가 도움이 많이 되길
희망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