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와 니체의 공통 코드, 니힐리즘
저자는 니체와 장자 두 철학자의 공통점을 니힐리즘(허무주의)이란 코드로 묶었다. 학위논문에서부터 그를 단행본화한 「노장철학과 니체의 니힐리즘 - 심층심리학에 의한 이해」(2013 문화관광부 우수학술도서 선정), 그리고 이 책, 「니체와 장자는 이렇게 말했다」로 이어지는 일관된 분석이다. 허무주의란 개인에 간섭하는 절대적 가치체계에 대항하는 자세다. 장자와 니체 또한 절대적 가치를 거부하며 자유인으로 살았었다. 니힐리즘이라는 말은 라틴어로 ‘무’라는 뜻의 니힐nihil에서 나왔다. 니힐리즘은 모든 ‘독단적’ 사고를 해체하려 하며, 니체와 장자는 일체의 권위주의와 우상 숭배를 비판했다. 저자에 따르면, 니체의 유명한 언명 ‘신은 죽었다’의 신은 그저 기독교에서의 신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을 억압하는 모든 절대이념을 가리킨다. 장자 또한 이렇게 말한다. 지배자들의 도덕과 지식, 그리고 법은 힘 있는 자들의 잘못된 행위를 합리화시켜주는 도구에 불과할 뿐이다. 이 모두는 살아 있는 권력을 위해 봉사한다는 것이다. 지배자들은 기본적으로 폭력적인 방법을 통해 권력을 얻었기 때문에, 자기의 부도덕한 행위를 감추기 위해 도덕을 이용한다는 역설이다.
저자는 니체의 주요 철학 개념에는 동양철학의 개념이 짙게 녹아들어 있다고 역설한다. 니체의 동양철학에 관한 관심은 고등학교 때부터 싹튼 것이었으며, 특히 인도의 업Karma이나 윤회 사상이 그의 ‘영원회귀’ 개념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는 것이다. 장자 또한 모든 현상이 생장과 소멸을 영원히 반복한다고 말했다. 장자는 통상의 ‘죽음’ 개념이 없다고 한다. 죽으면 다른 형태로 변모에 우주 어딘가에 남아 있다. 곧 삶은 죽음의 시작이고 죽음은 삶의 시작이라는 것이다. 장자의 사유는 니체의 영원회귀 사유와 일맥상통한다는 것이 저자의 지적이다.
저자가 니체와 장자 사유의 핵심적 공통점을 아포리즘으로 묶으면서 제안하는 것은 오늘날 절대가치가 사라진 시대의 혼란스런 아노미 상태에서 아예 절대가치, 참가치를 찾지 말자는 것이다. 장자와 니체의 철학에서 삶을 유희할 수 있는 지혜를 찾을 수 있다고 저자는 단언한다.
“과거는 이미 지나가버렸으니 후회한들 아무런 의미가 없다. 미래는 아직 오지 않은 현실이므로 공허한 것일 따름이다. 과거나 미래를 생각함이 없이 생생한 지금, 이 순간의 삶에 머물며 모든 대상을 놀이의 대상으로 삼는 어린아이와 같은 존재가 되어보면 어떤가.”
- 261쪽, 「에필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