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1. 조경계획학은 조경직 시험 준비의 중심 과목으로, 학습의 출발점입니다.
조경계획학은 기본 이론과 관련 법규로 나누어 학습할 수 있습니다.
계획 이론은 도시론, 생태적·시각적·행태적 접근, 그리고 조경계획 과정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단 순 암기에 그치지 말고 전체적인 계획의 흐름과 맥락을 이해하며, 학자들의 이론적 접근을 비교·분석하 는 방식으로 학습 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법규 영역은 조경직 시험에서 매년 높은 비중을 차지합니다. 특히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도시·군계획시설의 결정·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조경진 흥법」, 「조경기준」은 반드시 숙지해야 합니다. 이외에도 「자연공원법」, 「환경영향평가법」, 「자연환경보전 법」, 「산림관련 법령」 등도 최근 출제 비중이 높습니다.
→학습 전략: 국가법령정보센터(www.law.go.kr)를활용하여 최신 개정사항을 반드시 확인하고, 교재 의 요약본과 병행해 정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법규는 조문 암기보다는 용어 정의·적용 범위·절차 중심으로 기출문제를 반복 확인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2. 생태계관리는 도시개발로 훼손된 생태계의 복원과 관리 개념을 다룹니다.
생태계관리는 생태복원공학과 밀접하며, 시험에서는 생태계·군집·개체군·서식지 개념과 복원 기법 등 이 주요 출제 영역입니다. 최근에는 기후변화 적응, 생태네트워크 구축, 생태적 인프라(Green Infrastructure), 탄소중립 전략도 함께 다루어지고 있습니다.
→학습 전략: 기초 생태학 개념을 구조적으로 정리하고, 복원 사례와 적용 기법을 사례별로 비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서식지 복원·생태축 연결·도시 생태계 관리 원칙을 기출문제와 연계하여 반복 학습하세요.
3. 조경학은 조경사, 조경식재, 조경설계학, 조경시공학, 조경관리학은 조경학의 세부 과목군으로 출제됩니다.
조경사: 한국조경사에서는 특히 조선시대 조경문화사를 깊이 있게 학습해야 합니다. 서양·중국·일본 조경사는 시대별 조경 양식과 대표 작품 중심으로 정리하면 효율적입니다. 최근에는 문화유산 보존, 세계유산 등재사례도 연계되어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조경설계학: 조경설계 일반사항과 설계기준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설계 과정, 계획요소, 설계도면의 이해가 핵심입니다. 독학 시 난이도가 높은 과목이므로, 교재의 요약정리 + 기출문제 반복이 효율적인 학습 방법입니다.
조경식재학: 주요 조경수목의 학명, 생육 특성, 개화·결실, 단풍, 관상가치를 중심으로 학습합니다. 출제 경향상 과별 구분 → 대표 수종 → 특징 키워드 암기방식이 효과적입니다.
조경시공학: 재료의 특성, 공사 일반사항, 조경시방서 내용이 중심입니다. 깊이 있는 전문기술보다는 일반 공법·시공 절차·현장 적용 기준이 시험의 핵심이므로, 기출 지문에서 반복 출제된 부분을 정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조경관리학: 일반사항, 식물관리(수목·잔디), 시설물 및 포장 관리로 구분됩니다. 전정·병해충 관리, 잔디 관리, 시설물 유지보수 공법이 빈출 주제이며, 최근에는 친환경 관리, 투수성 포장재 유지관리등도 강조되고 있습니다.
→학습 전략: 세부 과목은 범위가 방대하므로, 단원별로 핵심 키워드 요약표를 제작하고, 기출문제와 병행해 반복 학습하는 방식이 가장 효율적입니다.
본 교재는 조경직 시험의 범위와 방향성을 종합적으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다만 시험 특성상 법규의 최신 개정 반영, 기후·생태·지속가능성 이슈, 기출문제 중심 학습 전략이 합격의 핵심입니다. 수험생 여러분께서는 교재를 학습의 기준으로 삼되, 반드시 최신 법령과 기출문제를 확인하며 학습을 진행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