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은 무엇을 ‘여전히’ 하지 못하는가
현상학으로 밝힌 인공 지성과 인간 지성의 미래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열광과 두려움 사이에서 길을 잃지 않으려면 인공지능이 어떤 지성인지 진지하게 고찰해야 한다. 휴버트 드레이퍼스의 ‘인공 이성 비판’은 일찍이 그러한 철학적 고찰을 선도했다. 초기 인공지능의 실패에서 유서 깊은 계산주의적 지성관을 발견하고, 현상학에 기반해 계산적이지 않은 인간 지성의 특징을 설명했다. 드레이퍼스의 고찰은 20세기 후반의 인공지능에 초점을 맞추지만, 신경망 인공지능을 위시한 현재의 인공지능에 대해서도 풍성한 통찰을 제공한다. 공학적·기술적 층위가 아니라 철학적이고 근본적인 차원에서 지성을 검토하기 때문이다.
이 책은 드레이퍼스의 인공 이성 비판 작업을 열 가지 키워드로 탐색한다. 초기 인공지능의 이념과 역사, 그 저변에 흐른 계산주의적 지성관의 연원을 생생하게 관찰할 수 있다. 계산적인 인공지능이 구현하지 못하는 인간 지성의 세 가지 특성, 세계성·신체성·목적성이 무엇인지 살필 수 있다. 인간은 세계 속에서 목적을 창조적으로 발견하면서 신체적으로 과제를 수행한다. 앞으로의 인공지능은 이 마지막 경계선을 넘어 인공 일반 지능에 이를 수 있을까? 드레이퍼스를 따라 인공지능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조망해 보자.
휴버트 드레이퍼스(Hubert Dreyfus, 1929∼2017)
AI 연구 초기부터 ‘인공 이성 비판’ 작업을 행한 철학자다. 하버드대학교에서 철학을 공부하고 MIT와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캠퍼스에서 철학 교수를 지냈다. 주된 연구 분야는 현상학과 IT 기술 검토였다. 초기 AI 연구에 대한 근본적 비판을 담은 ≪컴퓨터가 하지 못하는 것: 인공 이성 비판≫(1972)으로 큰 논쟁을 야기했으나, 이후 AI 연구의 흐름이 그 통찰을 확증했다. ≪기계에 대한 정신의 우위≫(1986, 스튜어트 드레이퍼스와 공저), ≪인터넷의 철학≫(2001) 등에서 AI와 IT기술에 대한 비판 작업을 계속했다. 순수 철학서로는 ≪미셸 푸코: 구조주의와 해석학을 넘어서≫(1982, 폴 라비노프와 공저), ≪세계-내-존재≫(1990), ≪모든 것은 빛난다≫(2011, 숀 켈리와 공저), ≪실재론 되찾기≫(2015, 찰스 테일러와 공저)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