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 이념 갈등, 빈부 격차, 기후 위기… 분열과 양극화의
문턱에 선 우리는 어떻게 삶을 개혁하고, 다른 세계를 열어가야 할까?
2,500년 전 실존했던 고타마 싯다르타의 치열하고도 고요한 여정은
지금 이곳에 사는 우리에게 여전히 말을 건넨다.
나와 세계를 고통에서 자유롭게 하려는 그 위대한 실천 속에
새로운 시대를 향한 평화와 생명, 화해와 통합의 열쇠가 있다.
1. 남북전을 아우르며 신화가 아닌 ‘역사’로 실존한 인간 부처의 삶을 온전히 재구성
2. 우리 말로 편안하게 풀어낸 고타마 싯다르타 연대기로는 보기 드문 책
3. 붓다의 생애와 깨달음(법)의 의미를 실천 수행, 명상과 연결해 명쾌히 해석
4. 초기 불교 경전의 팔리어, 산스크리트어 원어와 그 한역까지 총망라한 정성어린 입문서
5. 지금 우리 삶과 사회상을 돌아보게 하는 사유와 통찰의 기록
불교 신자가 아니어도 좋다. 수행과 명상, 영성과 리추얼에 마음을 기울이는 이라면 이 여정은 분명 당신의 내면에 가 닿아, 아직 열리지 않은 우주의 문을 두드릴 것이다.
평생에 걸친 수행, 특히 남방 상좌부 불교에서의 긴 수행을 통해 부처의 가르침을 체득해 온 스님의 연구를 바탕으로, 부처를 이상적 존재나 신앙의 대상이 아닌 실존했던 한 인간으로 재조명한다. 남·북방 불교 사료를 균형있게 다루되 신화적 표현을 배제하고 경전의 핵심과 역사적 사실, 사회적 배경을 함께 살피며 우리와 같은 사람이자 동시에 위대한 스승으로서 부처의 생애를 재구성한다.
지금까지 막연히 알았던 불교는 잊어라! 철저한 수행의 분상에서만 해석할 수 있는 붓다의 삶, 붓다의 혁명, 붓다의 깨달음이 여기 담겨 있다.
『붓다의 수첩』 시리즈는 [담마(Dhamma)]와 [쌍가(Saṅgha)]로 시작한다. 올해 7월 발행되는 『붓다의 수첩 [담마(Dhamma)]』에서는 인도의 계급 구조, 종교, 수행 전통, 생활상, 문화적 맥락을 생생히 재현하여 불교가 탄생할 당시를 이해하는 틀을 마련한다. 이어 부처의 탄생과 성장, 결혼, 출가, 수행, 깨달음에 이르는 여정을 상세히 서술한다. 단순한 일대기에 그치지 않는다. 붓다는 무엇을 찾아 왕궁을 버리고 떠났나? 무엇을 발견하여 깨달음을 선포하였나? 그것은 불교를 믿든 아니든 우리에게 어째서 이로운가? 명상 수행의 원리와 방법을 부처의 삶과 엮어 하나의 흐름 속에 설명해 낸다. [쌍가(Saṅgha)](2025년 10월 출간 예정)는 깨달음을 이룬 붓다가 교단을 형성하고 교리를 형성해 나가는 과정을 다룬다. 열반에 이르기까지 그가 이동한 경로, 만난 인물들, 전한 가르침과 행한 이적을 차근히 추적한다. 붓다에 감화되어 귀의한 하나 하나의 인물들에 지금 우리의 모습이 비친다.
본문 곳곳을 파고드는 주석과 길잡이 구실을 하는 중간 제목까지, 누구나 자신의 눈높이에서 붓다의 삶과 가르침을 따라갈 수 있도록 세심하게 편집했다. 불교 용어나 산스크리트어, 팔리어, 남아시아 문화가 생소한 독자들을 위해 단어 색인을 덧붙였다. 사전에 필적할 만큼 충실히 정리한 용어와 더불어 여러 종류의 지도를 수록해 독자들도 실존했던 붓다의 여정을 입체적으로 그려볼 수 있도록 했다.
출가하여 수행 · 전법하는 승려는 물론 불교도가 아니지만 깨달은 이의 삶과 그 사회적 의미를 알고자 하는 일반 독자 및 초심 불자에게 읽기를 적극 권장한다. 빨리어, 초기 불교나 테라와다(남방 상좌부) 불교, 알아차림과 마음 집중, 요가를 비롯한 영성에 관심 있는 독자, 불교에 조금 호기심이 생겼지만 아직은 사찰에 들어가는 것이 겁나거나 부담스러운 이들, 행복을 찾는 모든 이들에게 권한다. 소장하기에도 아름다운 책이다.
편집자의 말
전쟁, 이념 갈등, 빈부 격차, 기후 위기… 분열과 양극화의
문턱에 선 우리는 어떻게 삶을 개혁하고, 다른 세계를 열어가야 할까?
2,500년 전 실존했던 고타마 싯다르타의 치열하고도 고요한 여정은
지금 이곳에 사는 우리에게 여전히 말을 건넨다.
나와 세계를 고통에서 자유롭게 하려는 그 위대한 실천 속에
새로운 시대를 향한 평화와 생명, 화해와 통합의 열쇠가 있다.
1. 남북전을 아우르며 신화가 아닌 "역사"로 실존한 인간 부처의 삶을 온전히 재구성
2. 우리 말로 편안하게 풀어낸 고타마 싯다르타 연대기로는 보기 드문 책
3. 붓다의 생애와 깨달음(법)의 의미를 실천 수행, 명상과 연결해 명쾌히 해석
4. 초기 불교 경전의 팔리어, 산스크리트어 원어와 그 한역까지 총망라한 정성어린 입문서
5. 지금 우리 삶과 사회상을 돌아보게 하는 사유와 통찰의 기록
불교 신자가 아니어도 좋다. 수행과 명상, 영성과 리추얼에 마음을 기울이는 이라면 이 여정은 분명 당신의 내면에 가 닿아, 아직 열리지 않은 우주의 문을 두드릴 것이다.
평생에 걸친 수행, 특히 남방 상좌부 불교에서의 긴 수행을 통해 부처의 가르침을 체득해 온 스님의 연구를 바탕으로, 부처를 이상적 존재나 신앙의 대상이 아닌 실존했던 한 인간으로 재조명한다. 남·북방 불교 사료를 균형있게 다루되 신화적 표현을 배제하고 경전의 핵심과 역사적 사실, 사회적 배경을 함께 살피며 우리와 같은 사람이자 동시에 위대한 스승으로서 부처의 생애를 재구성한다.
지금까지 막연히 알았던 불교는 잊어라! 철저한 수행의 분상에서만 해석할 수 있는 붓다의 삶, 붓다의 혁명, 붓다의 깨달음이 여기 담겨 있다.
『붓다의 수첩』 시리즈는 [담마(Dhamma)]와 [쌍가(Sa?gha)]로 시작한다. 올해 7월 발행되는 『붓다의 수첩 [담마(Dhamma)]』에서는 인도의 계급 구조, 종교, 수행 전통, 생활상, 문화적 맥락을 생생히 재현하여 불교가 탄생할 당시를 이해하는 틀을 마련한다. 이어 부처의 탄생과 성장, 결혼, 출가, 수행, 깨달음에 이르는 여정을 상세히 서술한다. 단순한 일대기에 그치지 않는다. 붓다는 무엇을 찾아 왕궁을 버리고 떠났나? 무엇을 발견하여 깨달음을 선포하였나? 그것은 불교를 믿든 아니든 우리에게 어째서 이로운가? 명상 수행의 원리와 방법을 부처의 삶과 엮어 하나의 흐름 속에 설명해 낸다. [쌍가(Sa?gha)](2025년 10월 출간 예정)는 깨달음을 이룬 붓다가 교단을 형성하고 교리를 형성해 나가는 과정을 다룬다. 열반에 이르기까지 그가 이동한 경로, 만난 인물들, 전한 가르침과 행한 이적을 차근히 추적한다. 붓다에 감화되어 귀의한 하나 하나의 인물들에 지금 우리의 모습이 비친다.
본문 곳곳을 파고드는 주석과 길잡이 구실을 하는 중간 제목까지, 누구나 자신의 눈높이에서 붓다의 삶과 가르침을 따라갈 수 있도록 세심하게 편집했다. 불교 용어나 산스크리트어, 팔리어, 남아시아 문화가 생소한 독자들을 위해 단어 색인을 덧붙였다. 사전에 필적할 만큼 충실히 정리한 용어와 더불어 여러 종류의 지도를 수록해 독자들도 실존했던 붓다의 여정을 입체적으로 그려볼 수 있도록 했다.
출가하여 수행 · 전법하는 승려는 물론 불교도가 아니지만 깨달은 이의 삶과 그 사회적 의미를 알고자 하는 일반 독자 및 초심 불자에게 읽기를 적극 권장한다. 빨리어, 초기 불교나 테라와다(남방 상좌부) 불교, 알아차림과 마음 집중, 요가를 비롯한 영성에 관심 있는 독자, 불교에 조금 호기심이 생겼지만 아직은 사찰에 들어가는 것이 겁나거나 부담스러운 이들, 행복을 찾는 모든 이들에게 권한다. 소장하기에도 아름다운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