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핵심중국고대어법

핵심중국고대어법

  • 쉬웨이한
  • |
  • 어문학사
  • |
  • 2013-10-22 출간
  • |
  • 432페이지
  • |
  • ISBN 9788961843102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22,000원

즉시할인가

19,8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9,8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서론
一. 고대한어에서의 두 가지 흐름
(一) 문언문(文言文)과 고백화(古白話)
(二) 문언문(文言文)의 읽기와 분석
(三) 문학요소 분석과 언어요소 분석의 상호결합
(四) 언어의 여러 요소 분석과의 호응
二. 학습의 방향과 방법
(一) 규칙을 이해하고, 간단한 것으로 번잡한 것을 다룬다.
(二) 일반적인 것을 이해하고, 구별에 중점을 둔다.
(三) 역사주의 관점이 있어야 한다.
(四) 정확한 학문분야의 방법론이 있어야 한다.


제1강 문장성분
一. 주어, 술어와 빈어
(一) 동사, 형용사가 주어가 되는 경우
(二) 동사, 형용사가 빈어가 되는 경우
(三) 수사가 주어와 빈어가 되는 경우
(四) 부사가 술어가 되는 경우

二. 부사어와 보어
(一) 보통명사가 부사어가 되는 경우
(二) 시간명사가 부사어가 되는 경우
(三) 동사가 부사어가 되는 경우
(四) 형용사가 부사어인 경우
(五) 수사가 부사어가 되는 경우
(六) 대사가 부사어가 되는 경우
(七) 문두부사어
(八) 개사구조가 보어가 되는 경우
(九) 명사(명사를 중심으로 하는 句도 포함)가 보어가 되는 경우
三. 구(句)가 문장성분이 되는 경우
(一) 주술구가 주어, 술어, 빈어, 한정어와 부사어인 경우
(二) 동빈구가 주어, 빈어, 부사어인 경우
四. 문장구조의 소략함에서 치밀해짐


제2강 어순(語順)

一. 빈어(賓語)의 전치(前置)
(一) 부정문(否定文)에서 대사빈어(代詞賓語)의 전치(前置)
(二) 의문문(疑問文)에서 대사빈어(代詞賓語)의 전치(前置)
二. 개사빈어(介詞賓語)의 전치(前置)
三. 빈어(賓語)의 도치(倒置)
四. 술어 도치(倒置)
五. 한정어의 위치
六. 문장에서 수량사의 위치
七. 문장에서 개사구조의 위치
八. 고전시사(古典詩詞)에서 단어 순서(詞序)의 변환


제3강 생략
一. 주어의 생략
(一) 주어가 앞을 이어받아 생략(主語承前省略)
(二) 주어가 뒤를 이어받아 생략(主語蒙後省略)
(三) 대화체에서의 주어 생략(主語當前省略)
二. 술어의 생략
(一) 술어가 앞을 이어받아 생략(謂語承前省略)
(二) 술어가 뒤를 이어받아 생략(謂語蒙後省略)
(三) 대화체에서의 술어 생략(謂語當前省略)
三. 빈어의 생략
四. 개사와 개사빈어의 생략
五. 한정어 수식의 중심사(中心詞) 생략
六. 기타 생략

제4강 실사의 활용
一. 명사가 동사로 활용되는 경우
(一) 명사가 조동사(능원동사), 부사의 수식으로 동사로 활용되는 경우
(二) 명사가 문장에서 빈어나 보어를 동반하여 동사로 활용되는 경우
(三) 명사가 조사 ‘所(소)’자 뒤에서 동사로 활용되는 경우
(四) 명사 앞뒤에서 ‘而(이)’로 연접하여(‘而〔이〕’는 일반적으로 명사를 잇지 못 한다), 바로 동사로 활용되는 경우
二. 수사, 대사가 동사로 활용되는 경우
三. 형용사가 동사로 활용되는 경우
四. 명사, 동사, 형용사와 수사가 사역동사(使役動詞)로 쓰이는 경우
五. 명사, 형용사가 의동사(意動詞)로 쓰이는 경우


제5강 수량(數量)의 표시
一. 수(數)의 표현법
(一) 기수(基數)
(二) 서수(序數)
(三) 약수(約數)
(四) 허수(虛數)
二. 양(量)의 표현법
三. 수사(數詞)와 양사(量詞) 결합의 표현 방식
(一) 수사가 명사와 직접 결합하고, 양사를 붙이지 않는 경우
(二) 수사가 명사와 결합하고, 양사를 쓰는 경우
(三) 수사와 동사의 결합에는 여러 가지 경우가 있다.
(四) 수(數)를 묻는 표현법
(五) 분수(分數)의 주요 표현법
(六) 배수(倍數)의 특정 표현법

제6강 대사의 운용
一. 인칭대사
(一) 제1인칭대사
(二) 제2인칭대사
(三) 제3인칭대사
(四) 복칭대사
(五) 인칭대사의 복수
二. 지시대사
(一) 是(시), 此(차), 斯(사), 玆(자)
(二) 之(지), 其(기)
(三) 彼(피), 他(타), 夫(부; fu?)
(四) 若(약), 爾(이)
(五) 或(혹), 莫(막)[無(무), 毋(무), 靡(미)]
三. 의문대사(疑問代詞)
(一) 誰(수), 孰(숙)
(二) 何(하), 曷(갈), 胡(호), 奚(해), 台(이)
(三) 安(안), 惡(오), 焉(언)

제7강 여러 가지 허사(虛詞)
一. 허자(虛字)에 대한 종합 서술
二. 허자(虛字)의 요점 설명
[1획]: 一
[2획]: 乃, ?(幾)
[3획]: ?(與), 也, 已, 凡, 亡, 之, 于(於)
[4획]: ?(爲), 无(無), 勿, 夫, 方, 及, ?(從), 比, 少, 止, 曰, 云, 兮, ?(烏),
?(見)
[5획]: 乎, 以, 且, 弗, 未, 由, 用, 令, 可, ?(寧), 正, 只[지; 祗(지), ?(지), ? (저)], 他, ?(爾)
[6획]: 伊, 此, 如, 而, 已, 自, 至, 因, ?(會), 有, 幷(?, 竝), 則, ?(許), ?(設), 亦, 耳, 行, 安, ?(豈)
[7획]: 何, ?(況), 矣, 每, 更, 抑, ?(猶), 但, 足, 否(不), ?(縱), ?(歟), ?(渠, 巨), 卽
[8획]: 其, 彼, 所, 初, 非, 宜, 定, ?(審), 固, 果, 尙, 使, 或, 苟, 奈

도서소개

『중국고대어법』은 학습자가 중국의 고대어법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중국 고서에 나오는 다양한 예문을 수록하였고, 어법 사전으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차례를 세분화한 책이다. 문장성분, 어문, 생략, 실사의 활용, 수량의 표시, 대사의 운용, 여러 가지 허사, 이렇게 7가지 핵심 주제로 나뉘어 있는데 이에 관한 네 가지 학습 방향을 제시한다.
이해를 돕는 다양한 예문과 효율적인 학습 방향을 제시하는 중국 고대어법서

이 책은 학습자가 중국의 고대어법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중국 고서에 나오는 다양한 예문을 수록하였고, 어법 사전으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차례를 세분화했다. 또 다음과 같은 고대어법의 네 가지 학습 방향을 제시한다.

1. 규칙을 이해하고, 간단한 것으로 번잡한 것을 다룬다.
2. 일반적인 것을 이해하고, 구별에 중점을 둔다.
3. 역사주의 관점이 있어야 한다.
4. 정확한 학문분야의 방법론이 있어야 한다.

이 네 가지 방향에 중점을 둔다면 좀 더 효율적으로 고대어법을 학습할 수 있을 것이다.

독자에게 효율적인 학습 방향을 제시하는 중국 고대어법서

고대한어는 발전·변화하는 중에 문언문(文言文)과 고백화(古白話)라는 두 개의 흐름이 형성되었다. 한대(漢代) 초기 이후로 각 시대 문인들의 서면어(書面語)는 점차 당시 구어(口語)와 분리되면서 일종의 특수한 서면어를 이루었는데 이것이 바로 문언문(文言文)이다. 이와 어깨를 나란히 하며 한(漢)·위(魏) 이후부터 ‘5·4운동’ 이전까지 기본적으로 구어와 일치하는 일종의 서면어가 바로 고백화이다. 이처럼 고대한어(古代漢語)는 문언문과 고백화(古白話)라는 두 가지 큰 흐름이 있으므로 고대한어와 문언문을 동등하게 나누어서는 안 된다. 그러나 우리가 지금 말하는 고대한어의 어법은 문언어법(文言語法)을 가리킨다.
문언문을 읽을 때는 선진(先秦), 양한(兩漢)을 중심으로 읽어야 하는데, 이것은 문언문을 공부하는 실제에서 출발한 것이므로 옛날의 “문장은 반드시 선진(先秦)과 양한(兩漢)을 본받아야 한다. (文必秦漢.)”라는 견해와 동일시해서는 안 된다. 또한, 후세 진한(秦漢) 언어의 전통을 계승한 우수한 작품들을 여전히 소홀히 보아서는 안 된다.
좋은 문언문은 소재, 구성과 표현을 막론하고 모두 치밀하고 심사숙고한 퇴고(推敲)를 거친 것이다. 양계초(梁啓超)는 전기(戰記)를 쓰는 것을 예로 삼아 자신의 견해를 말하였다. “기사문(記事文)에서 가장 어려운 것은 전쟁을 기록하는 것만 한 것이 없다. 전쟁을 기록할 줄 알면 다른 문장은 쉽게 해결된다.” 이 견해는 분명한 이치가 있어 참고할 만하다(왜냐하면 전쟁은 한 사람이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승패[勝敗]는 한 사람, 한 시기, 한 지역의 일이 아니므로 붓을 잡기가 참으로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고대 사람들이 전기(戰記)를 쓸 때는 항상 승패(勝敗)의 원인을 서술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삼았다. 무릇 승패와 관계있는 것은 작은 것이라도 반드시 기록하고, 승패와 관계없는 것은 큰 것이라도 반드시 생략하였다. 전체적인 국면의 크고 작은 일을 일일이 빠뜨리지 않고 기록하는 것은 불가능한 것이며, 또한 그렇게 할 필요도 없다.
문학요소의 여러 가지 문제가 이 책과는 그다지 관계가 없을 것 같으나, 사실상 문장의 문학요소를 소홀하게 되면 문장을 분석하는 시야도 제한을 받게 된다. 마찬가지로 문장의 언어요소를 중시하지 않으면 문장을 예리하게 분석할 수 없게 된다. 문언문을 배우고 가르치고 연구하는 데 있어서 문언문에 대한 충분한 인식이 있어야 잘못을 미리 방지할 수 있다.
역대로 문예 평론과 문장의 감상 분석에는 폐단이 많았다. 문장의 감상 분석으로 말하면 말에는 반드시 핵심이 있어야 하고, 작품의 문학요소와 언어요소의 결합을 직시하여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려면 언어와 문학을 연구하는 사람들이 자기 수양을 강화하고, 아울러 언어와 문학 연구의 실질적인 문제를 지도하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한자는 최소단위의 문자로 한어의 단음(單音)이 뜻을 이루는 특징과 서로 상응한다. 이것은 개념을 응집시키고 범주를 활성화하며, 문화의 풍부함을 반영하는 것이므로 가볍게 보아서는 안 된다. 한어(漢語)의 자전이나 사전은 매우 풍부한 문화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으므로 책을 읽고 글자를 익힐 때에는 사전이나 자전 등을 부지런히 찾아봐야 한다. 그래서 스스로 여러 방법을 통해 문화 지식을 습득하여 미흡한 것은 버리고 정제된 것은 흡수함으로써 전통문화를 계승하여 현대문화를 크게 빛내고 이바지해야 할 것이다.
이 책은 문장성분, 어문, 생략, 실사의 활용, 수량의 표시, 대사의 운용, 여러 가지 허사, 이렇게 7가지 핵심 주제로 나뉘어 있는데 이에 관한 네 가지 학습 방향을 제시한다.

1. 규칙을 이해하고, 간단한 것으로 번잡한 것을 다룬다.
2. 일반적인 것을 이해하고, 구별에 중점을 둔다.
3. 역사주의 관점이 있어야 한다.
4. 정확한 학문분야의 방법론이 있어야 한다.

이 네 가지 방향에 중점을 둔다면 좀 더 효율적으로 고대어법을 학습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자인 쉬웨이한은 ‘고대한어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