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는 선물이다
이 책은 도서출판 북치는소년이 참여하고 있는 청소년책 공동기획 ‘너는 나다-십대’ 시리즈 두 번째이다. 앞서 『청소년에게 시인이 읽어 주는 시인의 얼굴』에 이은 기획이다. 그러므로 이 책은 여전히 시민 시인의 모습을 담는다. 우리 공동체와 하나 같이 이야기를 이루고 있는 시인들의 연이은 초대다. 특히 청소년에게 들려주어야 할 이야기는 무엇일까 생각하게 한다. 지금 청소년들은 행복하지 못한 듯하다. 이에 대해 행복해지는 길이 있다고 시인에게서 배우면 어떨까 제안한다.
한강 작가가 노벨문학상을 타 우리 청소년들에게 새로운 꿈을 심어 주었다. 하면 된다는 의지의 성취이기도 하겠지만 우리가 누구이고 문학은 무엇을 담는 그릇이어야 하는가를 곱씹게 한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주체성이 강하다. 누구에게 휘둘려 살 수 없는 성격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아무리 가난을 극복하고 민주주의를 뿌리내려 곧 선진국이라 자부해도 무언가 미흡하다. 어쩌면 나라를 빼앗기고 자기를 잃었던 상처가 깊게 자리하고 있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제대로 보상받고 치유한 기억이 없어서이기도 하다. 한강 작가가 역사의 악몽에서 벗어나게 했다.
우리의 고통이 우리만이 아니라 세계 시민과 같이 겪는 시간이라는 걸 한강 소설이 보여 주었다. 우리 이야기가 세계 시민 공동체 이야기 속에 겹쳐 얹힌 순간이다. 이러한 일이 있기까지 한강 이전에 우리 시인들이 있었다. 이 책에 담은 김명순, 정지용, 김기림, 이상, 이용악, 오장환이다. 노벨문학상 수상은 하늘에서 뚝 떨어진 것이 아니다. 이들이 걸어간 길을 한강이 이어갔다. 한강 작품 속에 이들의 이야기가 면면히 흐르고 있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이 책은 다른 것은 몰라도 꼭 지켜야 할 것이 있다고 청소년에게 속삭인다. 자크 데리다Jacques Derrida는 ‘문학은 선물’이라고 말한다. 이때 선물은 돌려받기를 바라지 않는 것이어야 한다. 그냥 주는 것이다. 어쩌면 엄마가 아무런 대가를 바라지 않고 아기를 낳듯 나를 주는 것이다. 이때 주고받는 사람 모두 행복하지 않을까. 데리다는 이 선물은 시간을 주는 것이라 말한다. 우리 모두 똑같이 부여받은 생애 일부를 주는 것이라고.
이 책에서 청소년에게 들려주는 김명순, 정지용, 김기림, 이상, 이용악, 오장환의 시 이야기도 마찬가지 선물이다. 이들 시인은 자기에게 주어진 생을 다 누리지 못하고 세상을 떠났다. 그러나 그들의 짧은 시간은 자기만을 위해 쓰이지 않고 남들을 위해 바쳐졌다. 세상은 그들을 온전히 환대하지 않았다. 갖가지 이유를 달아 오래도록 미워하며 기억 저편에 밀쳐 두었다. 이 책은 그들의 잃어버린 시간을 찬찬히 읽는다. 그것이 우리에게 선물이라 글쓴이는 이야기한다. 특히 자기가 누군지도 모르며 때론 오해받고, 때론 무관심 속에 살고 있을 청소년들에게 ‘너는 선물’이야. 그 비밀을 들려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