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죽음학 수업

죽음학 수업

  • 손주완
  • |
  • 서로북스
  • |
  • 2025-06-15 출간
  • |
  • 364페이지
  • |
  • 152 X 225mm
  • |
  • ISBN 9791187254676
판매가

20,000원

즉시할인가

18,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8,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추천사 / 신경원 4
죽음학에 대한 탐구/ 임병식 7
프롤로그/ 손주완 12

제1강 죽음학 서설(序說) 29
1. 죽음과 언어 30
2. 죽음과 대중매체 33
3. 죽음과 예술 34
4. 한국의 전통 문화 속에서의 추모 37
5. 「Thanatology」에 대하여 39
6. 죽음학의 역사와 이론 40
7. 죽어감에 대한 대처 43
8. 죽음에 대한 문화적 이해 44

제2강 죽음과 죽음을 맞이함 47
- 동·서양철학에서의 죽음이해 -
1. 인간에 대한 질문 48
2. 이러한 시대에 우리는 왜 죽음을 공부해야 하는가? 50
3. 죽음에 대한 두려움과 불안 51
4. 죽음과 죽어감이란? 54
5. 서양철학의 관점에서 본 죽음이해 56
6. 동양철학의 관점에서 본 죽음이해 59
7. 신학적 죽음이해 62
8. 죽음학에서 바라본 죽음의 의미 64

제3강 존엄한 임종결정 67
1. 임종결정에 대한 역사적·현대적 관점 68
1) 죽음의 역사에 대하여 68
2) 치료와 완화 돌봄 71
3) 돌봄의 목적 73
2. 임종결정의 윤리적·법적 문제 75
1) 대표적인 사건들 75
2) 사전의료계획과 환자의 자기결정권 76
3) 돌봄과 생명의 윤리에 대하여 78
4) 현대 생명 윤리의 기초 80
3. 영적 돌봄에 대하여 81
1) 영적 돌봄에 대한 언어적 접근 81
2) 돌봄의 행위와 주체성의 의미 83
3) 돌봄의 수단(파레시아) 85
4) 영적 돌봄의 지향(아타락시아와 퀘렌시아) 87

제4강 조력자살과 안락사 89
1. 미국에서의 안락사 논쟁과 관련된 사건들 91
2. 행위자는 누구인가? 93
3. 행위의 의도 95
4. 의사 젝 케보키언 사건 97
5. 한국에서의 조력 존엄사 논쟁 99
6. 최근 동향/ 외국에서의 시행과 논쟁 100
7. 기독교(가톨릭과 개신교) 내에서의 논쟁 102
8. 인공영양과 수분공급에 관한 의견 106
9. 찬성과 반대의 근거가 되는 개념들 108
10. 죽음학에서 본 안락사 109

제5강 죽음과 종교 그리고 의례 113
1. 죽음학과 종교 114
2. 종교적 죽음 이해 118
1) 불교 : 윤회적 세계관, 회신멸지(灰身滅智) 118
2) 유교 : 역사적 세계관, 기산신멸(氣散神滅) 120
3) 기독교 : 초월적 세계관, 소천영광(召天榮光) 122
4) 동학 : 내재적 세계관, 향아설위(向我設位) 124
3. 종교와 의례(Ritual) 126
4. 한국의 전통장례와 곡(哭)의 의미 129
5. 종교와 죽음학 132

제6강 죽음불안과 영성 135
1. 존재의 고통과 죽음불안 136
1) 고백1. 죽음에 대한 떨림 - 1인칭의 관점으로 136
2) 인간은 왜 죽음불안을 느끼는가? - 상실의 한계상황 137
3) 우환의식과 존재의 용기 139
4) 죽음 불안은 왜 존재의 고통과 연결되는가? - 나와 대상 141
2. 죽음 불안의 사막에서 영성(靈性)의 우물을 찾다 145
1) 21세기는 영성의 시대인가? 145
2) 고백2. 종교적 체험을 넘어 영성으로 148
3) ‘Text’로서의 예수와 ‘Context’로서의 죽음학 149
3. 죽음학의 영성은 무엇인가? 150
1) ‘물질성’을 팔고, ‘영성’을 사다 150
- 중지(中止)를 통해 주체의 영성으로
2) 자신의 고통을 ‘말함’이, 의미화의 영성으로 154
3) 화해와 용서의 행위를 통해, 실천의 영성으로 156
4) 자기-원인적 동일성을 넘어, 타자를 향한 영성으로 157
5) 내가 맞이해야 할 나의 죽음(재귀적 관점으로) 158
- 마지막 죽음의 순간에 무엇이 남는가?

제7강 외상적 죽음과 대처(coping) 161
1. 외상적 죽음과 트라우마 162
1) 외상적 죽음(Traumatic Death)의 정의 162
2) 트라우마(Trauma)의 개념과 상담가들 163
3) 외상에 대한 평가의 기준 165
2. 가족, 사회 시스템과 외상적 죽음 167
1) 안정적인 애착형성의 어려움 167
2) 관계성 질문과 가족의 역할 168
(외상적 상실과 화해하기 위한 가족시스템 접근)
3) 가족 내에서의 외상 후 성장 169
4) 외상적 죽음이 생존자들에게 미치는 영향 171
5) 지속적 비탄장애와 병리적 비탄 173
3. 외상적 죽음과 재해(대규모 외상과 죽음) 174
1) 한국 사회와 재해 174
2) 구조대원들이 직면하는 문제 175
3) 상담자가 직면하는 문제 177
4. 외상적 죽음에 대한 윤리적 법적 문제들 179
1) 법적 문제와 진단문제 179
2) 윤리적 개입의 문제 180
3) 어린이들에 대한 개입 182
4) 희생자와 생존자의 권리 184
5. 외상적 죽음과 치유의 자리 185
1) 항상성의 회복(본래의 자기 자신으로 돌아오기) 185
2) 의미화의 과정(해석의 과정 만들기) 186
3) 기억의 회복(추모의 공간으로서의 문화적 다양성) 187
6. 외상에 대한 불안감정의 관계와 치료 이론 189
1) 체계이론 189
2) 실존주의적 관점 189
3) 인지행동치료 190
4) 외상후 성장과 내러티브 재구성 191

제8강 상실·비탄·애도와 실천 195
1. 상실에 대하여 196
1) 사별과 상실 196
2) 우연히 만나는 상실의 한계상황 199
3) 상실과 실존 그리고 결단 200
- ‘상실이 상처로, 상처가 실존으로’
4) 상처 입은 치유자 204
2. 비탄과 애도에 대하여 205
1) 비탄에 대한 글자 해석 205
2) 죽음학에서 비탄이라는 용어 206
3) 비탄과 애도에 대한 학자들의 주장 208
4) 유기적 관계성 213
3. 고통의 의미화 - 재귀적(再歸的) 실천 215
1) 고통에서 쾌(快)로 215
2) 의미에로의 의지 216
3) 고통의 구조화 219
4) 의미화의 실천 221

제9강 인지체계와 죽음공부 225
1. 품부(稟賦)된 기질 226
2. 자각(自覺) 230
3. 증진(增進) 231
4. 도야(陶冶) 232
5. 인지체계 234
6. 음(音)과 악(樂), 성(聲)과 청(聽) 235
7. 죽음공부 236

제10강 자살담론에 대하여 239
1. 증상으로서의 자살, 재귀적 몸부림 240
1) 자살이란 무엇인가? 240
2) 인간은 왜 자살을 하는가? 242
3) 자살생각-심리부검 244
4) 종교는 자살을 어떻게 보는가? 248
5) 자살에 대한 질문 251
6) 자살의 시작은 고통이며, 은유이다. 253
2. 자살에 대한 예방적 접근 256
1) 베르테르 효과와 파파게노 효과 256
2) 예방을 위한 다양한 노력들 258
3. 자살유가족 아픔이해 263
1) 자살로 인한 외상과 애도 과정 263
2) 자살유가족을 돕기 위한 매뉴얼 265
4. 어느 노인의 자살 이야기 267

제11강 죽음에 대한 사회적 이해 273
1. 21세기는 외로움(Loneliness)의 시대이다. 274
2. 죽음은 개인적 사건인가? 사회적 사건인가? 277
3. 사회적 죽음이란? 278
4. 외로운 죽음을 예방하자! 고립사와 무연고사 280
5. 마지막 한계상황에서의 돌봄과 간병 살인 284
6. 죽음의 장소로서의 병원사와 재택사(Dying In Place) 288
7. 위기의 사회에서 우리는 죽음학을 어떻게 실천할 것인가? 291

제12강 죽음교육상담전문가(Thanatologist)의 자세와 역할 293
1. 평가와 개입 294
2. 분석가와 분석주체 296
3. 싸나톨로지스트가 된다는 것 299
4. 임종환자가 진정으로 바라는 것들 302
5. 죽음교육상담전문가는 무엇을 보고, 무엇을 듣고, 무엇을 말할 것인가? 304
6. 죽음교육상담전문가의 윤리적 실천들 308

제13강 동물의 죽음에 대한 죽음학적 관점 313
- 동물의 죽음과 죽음에 대한 인식의 문제를 중심으로 -
1. 전제와 한계 314
2. ‘죽음’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 315
3. 동물신학의 근거 317
1) 후설의 현상학, 지향성 317
2) 화이트헤드의 과정사상에 기초한 과정-관계적 신학 319
4. 동물의 ‘죽음’과 ‘죽음인식’에 대한 관점들 322
1) 두 가지 시선 322
2) 언어의 관점으로 본 죽음인식 323
3) 동물의 죽음인식과 애도 가능성 327
4) 동물인지와 진화인지 328
5) 동물을 위한 종교적 의례 331
5. 마치는 글 - 죽음학과 동물의 죽음, 그 상관관계 334
1) 모든 존재는 변한다 334
2) 생명의 동근원성과 나누어져 다름 335
3) 죽음 앞에서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 336

제14강 예레미야 애가(哀歌)에 대한 상실과 비탄의 죽음학적 관점 339
- 영성과 의미를 중심으로 -
1. 비탄과 영성 340
2. 예레미야와 비탄 341
3. 예레미야 애가에 대하여 343
4. 역사적 배경 344
5. 비탄과 영성의 관점에서 본 예레미야 애가 347
6. 예레미야 애가를 통해 영성 그리고 의미 찾기 348
7. 오늘날에도 예레미야 애가는 계속 된다 355

참고문헌 357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