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왕 이렇게 된 거,
전문 여행가처럼 살아 보는 건 어떨까?
프로 여행가가 되겠다는 것이 아니다. 일상을 여행처럼, 여행을 일상처럼 즐기면서 살아 보고 싶다는 말이다. 실제로 이 책은 미국 텍사스에서 일상과 여행의 경계를 넘나들면서 지낸 일 년을 담고 있다. 긴 여행을 준비하며 미국에서의 성공적인 아파트 지원과 정착을 위한 단기 코스 개발이 가능할 경지에 이르기도 했지만 은행 계좌 하나 뚫기 위해 역경과 고통을 감내하기도 했다. 하지만 결국 이겨냈으며 노란색 스쿨버스가 순환하는 이국적인 풍경에서 아이들 하교 지도라는 지극히 평범한 일상을 즐겼다. 분리수거로부터의 자유를 얻었지만 지구에 미안하다는 양심의 가책도 느꼈다.
남의 나라 차량 번호판에 심취하여 차주 유형 분석이라는 색다른 취미 생활을 즐기고는 미국 영화관 가서 한국 영화 보고, 미국 마트 가서 한국 라면 사 먹고 그랬다. 핼러윈, 통유리 냄비, 세계 속의 인도인, 스컹크, 생각도 못해 본 라마단 육아와 같은 새로움 속에서 그저 집을 꾸미고, 수영 등록을 하고, 동네에서 함께 놀고, 냄새를 맡고, 공동 육아를 했다. 그런데 낯선 곳에 채워 넣은 소소한 일상이 이렇게도 아름다울 일이었다. 낯선 곳에서의 생활이지만 일상이 반복되기도 하고, 반복되던 일상이지만 이국적인 풍경에서 영화 속 한 장면을 떠올리기도 했던 나날들을 차곡차곡 담았다.
텍사스에서 카우보이가 되진 않았지만
단 며칠간이더라도 나의 여행지였다면 이름만 들어도 그리움이 묻어나는 것이 여행이다. 사람도 일 년을 만나 보면 안다는데 한 도시에서 일 년을 살았다면 어떨까. 거의 ‘텍산’ 수준이다. 더위로 유명한 텍사스에서 아주 드문 한파와 아주 얕게 쌓인 눈에도 고요에 잠겨버리는 비장한 신고식을 치르면 그렇게 된다. 한번은 지구 일부 지역에서 아주 가끔 관찰할 수 있다는 개기일식이 예정됐다. 그 일부 지역에 텍사스가 있었고, 하필이면 그때 텍사스에 있었다. 우연히 얻은 개기일식 관측 경험으로 인해 이제부터 어떤 식의 개기일식을 맞이해도 기억 속에서 텍사스의 플레이노를 소환할 예정이다. 여행의 행복이 이런 것이다.
텍사스의 독립 기념일 축제에서 텍산의 피를 수혈받아 텍부심을 드러내고 돌아다니며 카우보이의 흔적을 찾아다닌다. 너무나도 관광 같은 나사 방문, 지리학과 답사 같은 석유 생산 중심지 퍼미안 분지 방문, 뜬금없이 테슬라(본사 건물)에 발 담그기도 하고, 댈러스에서 정처 없이 걷다가 텍사스 수도 오스틴으로 끝맺는, 이 조금 오래 머문 텍사스 체류기는 텍사스의 성지 좌표를 친절히 알려주는 여행 안내서는 아니다. 하지만 지구상 한 공간을 내 마음이 담긴 장소로 바꾸어 주기에 충분한 미국 일년살이 대행서는 맞다.
이 책은 당장 텍사스로 떠날 채비를 하는 이의 시간에도, 지금은 그 어디로도 떠나기 힘든 이의 시간에도 색을 입혀 줄 것이다. 우리에게 주어진 시간을 무채색으로 압축하기보다는 여행하는 삶을 통해 찬란한 무지개색으로 그려내기를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