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년학총서는 기술 혁명과 의료 혁신으로 열린 100세 시대의 독자들에게 꼭 필요한 노년학 지식을 전달합니다.
노년의 삶, ‘그 자리에서’ 계속될 수 있을까?
『에이징 인 플레이스』는 ‘늙어 가는 자리’에서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를 묻는 책이다. 고령자의 삶을 실증적으로 들여다보며, 단순히 자택에 머무는 것만으로 에이징 인 플레이스(aging in place)를 정의하는 관점에 의문을 제기한다. 자율성과 존엄, 돌봄과 공동체, 인간과 환경 간의 정합성 등 보다 폭넓은 시선으로 노년의 삶을 바라보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실제 사례 속에서 드러나는 고립과 불안, 지원의 불균형은 우리가 이상적으로 그려왔던 ‘정든 곳에서의 노후’가 과연 누구에게, 어떻게 가능한지 되묻게 만든다. 이 책은 노인이 처한 복잡한 현실을 외면하지 않으면서도, 더 나은 삶의 가능성을 향한 균형 잡힌 시각을 제시한다.
비판적 시선으로 다시 바라본 ‘에이징 인 플레이스’
저자는 우리 사회에서 에이징 인 플레이스가 지나치게 수사적으로만 사용되고 있음을 경계한다. 노인 자살, 고독사, 빈곤 등 심각한 문제들이 여전한 상황에서, ‘집에 머무는 것’만을 이상적 정책 목표로 설정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는 것이 저자의 문제의식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은 비판노년학 등의 논의에 근거한다. 노인을 의존적이고 환경에 영향을 받기만 하는 존재로 보고, 일방적인 돌봄 제공에 집중하는 기존 정책과 제도에 대한 비판적 시각은 돌봄 주체로서, 환경을 능동적으로 변화시키는 주체로서 노인을 다시 바라보게 만든다. 『에이징 인 플레이스』는 단순한 주거 문제가 아니라 존엄성과 참여, 공동체 안에서의 연대라는 더 큰 차원의 논의를 촉구한다.
노인과 환경의 정합성, 그리고 함께 만들어 가는 삶
이 책은 에이징 인 플레이스를 ‘어디에 사는가’의 문제가 아니라 ‘어떻게 살아가는가’의 문제로 접근한다. 인간과 환경 간 상호 작용에 주목하며, 주거환경 설계, 돌봄 서비스, 고령 친화 도시, 지역 공동체 참여까지 다양한 영역을 포괄하는 정책적 대안을 제안한다. 특히 사회복지학적 이론과 생태학적 모델을 접목하여, 노인이 자기 삶의 주체로 존재하며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돕는 실질적 방안들을 모색한다. 『에이징 인 플레이스』는 점점 더 고령화되는 사회 속에서 우리 모두가 ‘함께’ 더 나은 노년을 만들어 갈 수 있도록 사유의 방향을 제시하는 소중한 안내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