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의 도입과 언론계 변화: 기자의 미래는?
AI 기술의 발전은 방송 및 저널리즘 산업에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 방송 제작자는 최근 인공지능(AI) 시스템이 방송 제작 업무의 100%를 대체하게 되면서, 자신을 포함한 20명 이상의 직원들이 해고된 상황을 전하며 AI의 확산이 일자리의 대체로 이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 AI 시스템은 오디오, 그래픽, 기사 작성 등 다양한 작업을 자동화하며, 기존의 많은 일자리를 대체하고 있다. 특히 AI는 뉴스 콘텐츠 생산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일부 기업들은 비용 절감을 이유로 AI 앵커나 기사 자동 생성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미국의 한 방송 제작 현직자는 AI의 확산이 실질적으로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지 않고 기존 직업들을 대체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AI는 뉴스 기사 작성, 영상 편집, 음성 더빙 등의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으며, 이는 수천 명의 취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기자들은 AI의 보조 역할을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찾고 있다. 예를 들어, AI는 전화 취재 내용을 녹취록으로 변환하거나, 데이터를 분석하고 기사를 작성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국내에서도 AI의 도입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CJB 청주방송은 2024년 3월 AI 앵커를 도입하여 주말 뉴스를 방송하며, 기존 직원들의 근로 환경을 개선했다. 이 AI 시스템은 주말 근무를 대체할 수 있어 휴일 근로 수당을 절감할 수 있지만, 실시간 뉴스 대응에는 한계가 있어 재난 상황에서는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AI는 텍스트 기사와 그래픽 제작뿐만 아니라, 뉴스의 정확성과 공정성을 보장하는 데 있어서도 인간 기자의 역할을 중요하게 만든다. 예를 들어, AI가 작성한 기사는 반드시 기자나 편집자의 검토를 거쳐야 하며, AI의 활용은 보조적인 역할로 제한되어야 한다는 점이 강조된다. 또한, 생성형 AI가 생성한 콘텐츠는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출처와 사실 확인이 필수적이다.
AI의 활용은 뉴스룸에서 효율성을 높이지만, 저널리즘의 본질을 지키는 데 있어 여전히 인간 기자의 역할이 중요하다. AI는 단지 속보나 데이터 분석 등의 분야에서 기자를 돕는 보조 툴로 사용될 것이며, 기자의 고유한 역할을 대체하지는 못한다는 의견이 제시된다. AI가 저널리즘을 보완할 수는 있지만, 그 책임은 여전히 인간에게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