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꽃으로는 못 올 우리

꽃으로는 못 올 우리

  • 이승은
  • |
  • 가히
  • |
  • 2025-04-10 출간
  • |
  • 116페이지
  • |
  • 125 X 194 X 13mm / 267g
  • |
  • ISBN 9791158966850
판매가

12,000원

즉시할인가

10,8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0,8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화양연화花樣年華. 인생에서 가장 아름답고 찬란했던 시절. 누구나 아름답게 기억하는 지난날이 있다. 그 시절을 돌이키는 회상이 없다면 삶은 의미를 잃는다. 삶은, 점진적인 ‘난파’다. 시간은 절대 머뭇거리지 않는다. 육체는 허물어지고, 기억은 희미해진다. 어떤 관계도 영원히 이어지지 않는다. 이 도저한 시간의 파괴력 앞에서 삶은 한없이 초라하기만 하다. 사람들은 마치 영원히 살 것처럼 살아가지만, 소멸에 직면할 시간은 누구에게나 예외 없이 찾아온다. 그것은 개연성 없는 사건이자 대비할 수 없는 삶의 과정이다. 자신의 삶이 단지 예외적인 기간에만 우발적으로 존재했다는 사실을 인정하는 것은 뼈아픈 일이다. 그러므로 인간은 누구나 자신이 읽고, 생각하고, 확신하고, 발설했던 것이 진실이었음을 증명하는 시간을 통과해야 한다. 소멸이라는 영원 앞에 찰나적 삶은 환시幻視에 지나지 않은가. 실제로는 존재한 것도 아니었던 이 세상에서 삶의 의미를 찾는 건 어쩌면 부질없는 짓일지도 모른다. 소멸에 관한 사유에 침식된다면 자아가 쌓아놓은 가치들을 부정하는 과정이 바로 삶이라고 정의하게 된다. 생명이 사소하고 평범하게 다가올 것이다. 그렇다면 글을 쓰는 것은 어떤 의미를 지닐 수 있을까. 기억을 윤색하고 자기 위로를 거듭하면서 끊임없이 삶을 천착하는 과정이라는 생각이다.
이승은의 신작 시집 『꽃으로는 못 올 우리』에는 소멸과 회복의 풍경이 반복된다. 시인은 삶이란 본래 허무하고 쓸쓸하다는 사실을 알고, 소멸을 망각하게 만드는 소비의 쾌락이 지배하는 세계의 질서도 잘 안다. 자신의 삶과 지금 세계가 그러하다는 것을 알면서도 계속 살아가야 하는 시인은 다가오는 ‘소멸’을 응시하면서 “예고 없이 파고드는 셈법”으로 시를 쓴다. 시적 주체가 포착한 풍경에서 ‘나’는 묘지를 걸으며 소외된 삶을 살다 간 사람을 생각하고(「14-31호」), 울음 없는 조문객과 육개장을 먹으면서(「육개장」), “금이 간 답변 위에 덧칠”(「꽃으로는 못 올 우리」)을 했던 한때를 떠올린다. 1부에 수록된 시들은 이렇듯 시적 주체가 느끼는 회한으로 가득하다.
이제 “옛 편지를 태우”면서 “오랜 마음결”(「그늘을 놓아주다」)에 갇혀 있던 그늘을 풀어주는 시편을 만나보자. 가둔 것이 아니라 갇힌 것을, “시름없는 풍경 속에 웃자란” 그것이 “그늘의 키”인 것을 시인은 안다. “덜 여문 한마디”를 끝내 익혀내지 않고 과감히 다가올 삶을 보듬는 한 사람을 보라.

건너오고 건너가던 그 오랜 마음결은
나눠도 갈마들던 안개 혹은, 는개였다
아득한 거리에서도 발목을 서로 잡던

감춰둔 서너 통의 옛 편지를 태우는 날
한참을 따라붙던 목마른 재채기가
연기로 젖어 들면서 땅거미를 드리웠다

밖에서 바라보니 정작 내가 갇혔구나
시름없는 풍경 속에 웃자란 그늘의 키
징검돌 디뎌선 자리 이끼가 번져갔다

오디빛 하늘길을 열고자 한 나중의 밤
덜 여문 한 마디를 통째로 베어 물고
꼬리별 스러진 곳에 그림자를 낳았다
- 「그늘을 놓아주다」 전문

시간은 육신과 기억을 허문 대신 작은 선물을 건넨다. 소멸을 인식한 이후 ‘나’는 타인과 세상을 너그럽게 바라보게 된다. 상대의 거짓말을 모르는 척 끄덕이면서 믿어(「이를테면,」)주기도 하고, 멀리 있는 ‘나’에게 좋아하는 막국수를 사줄 테니까 어서 오기나 하라는(「막국수 타령」) 벗의 호기에 즐거워한다. 그러다가 누군가의 부음을 듣고서 “단호했던 뒷모습을 새겨 읽지 못했”(「못다 쓴 종장에게」)다고 자책한다. “못 부친 편지를 접듯”(「골목」)이 서성거리고 “너는 없고 나만 있는 돌담을 에두르며”(「억새」) 인연을 떠올린다. 낡은 사진을 보면서 ‘나’는 먼저 간 친지들이 건네는 듯한 말을 듣는다. 세월이 가도 사진 속의 사람은 늘 그대로가 아니던가. 웃음으로 찍힌 얼굴은 언제나 웃음으로, ‘나’보다 어린 부모님 얼굴도 오롯하다. 인화된 종이만, 시간만 늙어 있다니.
- 이정현(문학평론가)

목차

제1부
낭원투도閬苑偸桃 13/그늘을 놓아주다 14/초저녁별 15/치사한 도편수 16/성냥 17/장독 이야기 18/분리수거 19/우두커니, 봄 20/14‐31호 22/육개장 23/초록 신호등 24/낡은 악보 25/하늘 귀를 당기는 돌 26/비자 27/꽃으로는 못 올 우리 28

제2부
이를테면, 31/비가 오려나 32/뻥, 33/누에보 탱고 34/꽃받침 36/깍지 37/강촌세탁 38/막국수 타령 39/경성여객 271 40/못다 쓴 종장에게 42/나비 43/초록 귀 44/붉은, 46/골목 47/억새 48

제3부
사과꽃 51/떠다니는 귀엣말 52/고해 주목 53/공항일지 54/옛 사진 55/서더리 56/낮잠 57/삼일목욕탕 58/닌자 59/오후 카페 60/삼립 크림빵 61/모래밭의 내력 62/선물 63/살려고, 죽이다 64/홍원항구 65/한산 소곡주 66

제4부
바다가 보이는 시인 69/달빛 오름 70/한여름 밤 71/만돌린이 있는 정물 72/달그락, 73/와흘臥屹 74/꽃 마중 75/숨바꼭질 76/거두절미 77/화평한 점심 78/등대살이 79/밤이슬 80/품 81/비탈길에 서다 82/울음 83/겨울꽃 84

제5부
낙엽비 87/비색翡色 88/늦더위 89/거진포구 한나절 90/동태 보고서 91/앎 92/순환선 93/다녀올게 94/거품 95/끝이라는 처음 96/입동 무렵 97/피다! 98/감또개 또는, 99/하루 100

해설 이정현(문학평론가) 101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