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인가」(1909)
주인공 문길은 하급생인 미사오를 좋아한다. 그는 미사오를 만나고 싶어 견딜 수 없어하는데, 미사오는 그를 피한다. 내일은 여름방학으로 귀향하는 날, 문길은 미사오와 만나려 그의 하숙을 찾지만 역시 만나지 못하고 결국 절망하여 철도 자살을 시도한다는 이야기이다.
동성끼리의 애정이라는 설정이 눈길을 끄는데, 이는 당시 일본 남학교에서는 그다지 드문 일은 아니었다. ‘미사오’의 모델은 야마사키 도시오라는 이광수의 동급생이었다. 야마사키는 안중근의 이토 히로부미 저격 사건 뒤 확산된 조선인에 대한 적대시 분위기 속에서 이광수와 거리를 두게 되고, 이광수가 이 소설을 일본어로 써서 교지에 투고한 것은 민족의 벽을 넘었다고 믿었던 친구를 잃은 슬픔을 전하기 위해서 였을 것으로 보인다.
「만영감의 죽음」(1936)
만영감은 지금껏 열 명 이상의 여자에게 바람맞은 말 없는 석공(石工)이다. 이번에도 동거했던 젊고 아름다운 여자가 달아나자 그는 미치고, 결국 친척들의 손에 묶여 죽고 만다. “사람을 만들 거면 왜 이런 불운한 물건을 만들었느냐”라는 염라대왕을 향한 형의 원한 맺힌 말은 만영감의 비극의 원인이 실은 성적인 결함에 있음을 시사한다.
이광수는 이해 『삼천리』 1월호에 발표한 「성조기(成造記)」에서 북한산 기슭의 자택 건축과 관련이 있는 인부들의 이야기를 썼는데, 거기에는 “소년과 같은 성기(性器)”를 가진 석공 박선달이라는 인물이 등장한다. 이 인물에게 흥미를 느끼고 있던 때에 『가이조』로부터 집필을 의뢰받고 「만영감의 죽음」을 썼을 것으로 보인다.
「옥수수」(1939)
주인공 ‘나’는 원산에서 오랜 친구인 ‘안 씨’와 만나 만찬에 초대된다. 거기에는 역시 오랜 친구인 ‘나 씨’가 아이들과 함께 초대되었다. 만찬의 메뉴는 수프에서 빵, 쿠키, 음료에 이르기까지 모두 옥수수를 재료로 하는 음식이었다. 안 씨는 재배하는 식량과 조리법을 개량하면 조선은 지금의 몇 배 되는 인구를 부양할 수 있다고 생각하여 여러 가능성을 시도하고 있고, 그 일단을 만찬에서 친구들에게 공개했던 것이다.
단편에 등장하는 ‘나 씨’는 나혜석의 오빠 나경석, ‘안 씨’는 미국 유학을 다녀온 안창호의 흥사단 회원 안대백으로 전해진다. 1937년 6월 동우회사건으로 ‘전향 성명’을 제출한 이광수가 전향 후 처음으로 쓴 일본어 소설이다.
『마음이 서로 닿아서야말로』(1940, 미완성)
경성제대 학생 히가시 다케오와 의학부의 외과의사 김충식, 그리고 그들의 누이 후미에와 석란 두 쌍의 오누이 사이에 싹트는 ‘내선 연애’ 이야기이다. 전장(戰場)에서 실명(失明)한 다케오는 종군 간호부가 된 석란과 재회하여 그녀와 결혼식을 올리고, 선무공작에 나서기 위해 둘이서 적진으로 향한다.
이 작품에서 다케오와 석란의 결혼이 내선일체를 의미하고 있다면, 그 결말은 비참하다. 전장에서 얼굴이 뭉개져버린 다케오에게 이미 옛 모습은 없다. 중국어도 할 수 없고 혼자서는 걷지도 못하는 눈먼 다케오가 석란을 반려자 삼아 무모하게 적지로 들어가고, 감옥에 갇혀 총살을 예감하며 석란과 손을 맞잡고 있는 장면은 ‘내선 연애’의 섬뜩한 말로를 암시하고 있다. 이광수가 이 소설을 연재한 것은 경성제대 일본인 학생에게 민족적 차별 해소를 호소하기 위해서였다.
「산사(山寺) 사람들」(1940)
아내를 두고 월급을 받으며 술과 고기를 즐기는 승려들, 절의 허드렛일을 하는 이 서방과 박 서방의 근면하고 욕심 없는 생활 방식, 가난 탓에 소나무 뿌리까지 캐내는 잔혹한 노인과 마른 나뭇가지가 아니라 생가지를 꺾는 마을 사람들, 그리고 사바세계에서 빠져나와 그 이상은 바람이 없는 간편한 생활을 하고 있는 관음굴 노승의 모습이, 때로 유머러스하게, 때로 불교적인 윤리관과 더불어 담담하게 그려져 있다.
이해 2월 ‘가야마 미쓰로’로 창씨개명한 이광수는 3월부터 50여 일간 아들 영근을 데리고 동소문 밖 흥천사에 머무르며 집필에 전념했다. 이 소품은 거기서 본 사람들을 그린 것이다.
「가가와(加川) 교장」(1943)
이광수는, 1943년 봄에 생굴을 먹고 탈이 나서 경성의 중학 입학 시기를 놓치고 만 아들 영근을 강서의 신설 중학에 입학시키고, 방을 빌려 아들과 둘이서 지내기 시작했다. 이 작품에 나오는 K중학은 강서중학이고, 근교의 도시 H는 헤이조(平壤), 그리고 기무라의 병약한 부친의 모델은 이광수 자신이다. 그런데 얼마 안 있어 폐결핵이 재발하여 이광수는 경성에 입원하고 영근은 경성의 중학에 편입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해당 학구(學區)를 벗어나 중학 입학을 도와준 사람들과 강서중학 교원들의 기대를 저버리게 되었던 것이다. 이광수가 이 작품을 쓴 것은 그들에게 사죄하기 위해서였던 것으로 보인다.
「파리」(1943)
표면적으로는 총후(銃後)의 정신을 고취하는 ‘애국 소설’이고 파리의 박멸을 위한 ‘위생 소설’이지만, 그 저변에 겹쳐 놓여 있는 것은 이광수의 절망감이다. 이 무렵 경성에는 지식인 학살 명부에 관한 소문이 나돌았다. 나이든 탓에 근로봉사를 거절당한 주인공이 애국반 사람들의 집을 돌며 “버려진 사체 총계 칠천팔백구십오 마리의 파리 잡기”를 마치는 모습은 검은 파리 떼와 같이 밀어닥치는 시대의 광기에 응전하면서 자신도 광기에 빠졌던 작가 자신의 모습이기도 하다.
「군인이 될 수 있다」(1943)
병정놀이하던 차림새 그대로 곯아떨어져 있는 어린 두 아들의 모습을 본 주인공 ‘나’는 군인이 될 수 없는 그들의 장래를 생각하고 마음이 어두워진다. 조선의 징병제에 대한 내각회의의 결정을 기뻐해주는 가네코 빈에게 ‘나’는 첫아들이 소학교 입학 전에 급사한 일, 마지막 순간까지 군인이 되고 싶어한 일을 이야기한다. 그리고 집으로 돌아오는 길, 아무도 없는 길에서 만감이 교차하여 “군인이 될 수 있다!”고 외치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국가는 군대를 가져야 한다고 여겼던 그는 ‘내선 평등’을 지향하게 되고부터는 징병제를 주장했다. 국가를 위해 피를 흘리지 않고는 평등을 주장할 수 없다고 생각했을 것이다. 이해 일본에서 학도 출진(出陣)이 시작되었다. 일본 정부는 당시 징병 대상이 아니었던 조선과 대만의 학생에 대해서 지원이라는 형식을 취했지만, 실제로는 ‘지원, 도망, 감옥’ 가운데서의 선택만 가능했다. 이 작품이 실린 『신타이요』가 일본의 서점에 깔릴 무렵, 이광수는 학병 권유 사절단의 일원으로 일본에 가서 유학생들에게 학병 지원을 권유했다.
「대동아(大東亞)」(1943)
‘국화 향기 그윽한 메이지절’인 11월 3일, 아케미는 부친의 서재를 청소하면서 4년 전 중국으로 돌아간 애인 판위썽을 생각한다. 그때 판이 나가사키에서 보낸 전보가 도착한다. 아케미는 대동아공영권 건설을 위해서라면 몸도 마음도 판위썽에게 바쳐도 좋다고 생각하며, 판의 전보를 받았을 때는 그의 귀환을 기뻐하기보다 일본의 성실함이 아시아 청년의 마음을 얻었다는 사실에 감격한다. 한편, 판은 아케미에게 사랑을 고백하면서 일본이 진정 아시아의 민족들을 위해 싸우고 있는 것이라면 아케미를 향한 자신의 구애도 받아들여질 것이라고 생각한다.
1943년 11월 5일부터 이틀간 도조 히데키는 중국의 난징 정부, 태국, 만주, 필리핀, 버마 등 대동아공영권 각국 수뇌를 초대하여 국회의사당에서 대동아회의를 개최하고, ‘대동아가 협력하여 미국과 영국의 질곡에서 벗어나자.’는 내용의 대동아공동선언을 채택했다. 이 작품의 진짜 주인공은 소설 속에서 한 번도 언급되지 않은 이 대동아회의인 것이다. 이광수는 이해 8월 『룍기』에 발표한 논설 「대동아전쟁의 교훈」에서 대동아공영권 건설의 이념은 도의세계(道義世界)의 건설이라고 논하는데, 이 논리는 일본을 믿으려 하지 않는 판위썽을 가케이 가즈오가 설득할 때의 접신적(接神的) 논리 그 자체이다. 「대동아」는 이 논설을 소설화한 것이라고 할 만하다.
「사십 년」(1944, 미완성)
『그의 자서전』(1936)이나 『나』(1948)와 마찬가지로 「사십 년」은 자전적이라고는 해도 어디까지나 창작이다. 그러나 실제의 경험이 기초가 되어 있는 것은 틀림없다. 삭제된 제3회가 주인공이 고아가 된 무렵에서 시작되고 있는 것으로 보아 그 이후는 일러전쟁, 동학과의 만남, 그리고 일본으로의 유학 등이 이야기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원술(元述)의 출정」(1944)
김유신의 아들 원술은 이근행이 통솔하는 당군(唐軍)과의 싸움에서 부하에게 제지당하여 죽을 기회를 놓친 후 부친의 장례에도 참석하지 못하고 모친과의 면회도 거절당하고는 태백산 견성암에 칩거한다. 3년 후 충복 수타원과, 원술을 그리워하는 아좌가 견성암을 방문하여 원술과 재회한다. 아좌에게서 이근행의 군대가 근방까지 온 것을 알게 된 원술은 저녁 식사 한 끼도 마다하고 그대로 출정한다.
이 작품에서 원술, 수타원, 아좌의 가부키풍의 대사를 발췌하면 그대로 한 편의 시나리오가 된다. 제1막은 흰 눈 속의 수타원과의 재회의 장, 제2막은 견성암에서 아좌와의 재회와 이별의 장이다. 무운장구(武運長久)를 빌며 쓰러져 우는 아좌에게는 눈길도 주지 않고 원술이 언덕을 달려 내려가는 모습은 마치 객석을 가로질러 퇴장하는 가부키 배우와 같다.
「소녀의 고백」(1944)
어릴 적 교토에 온 까닭에 일본어밖에 모르는 소녀 노부코가 조선의 유명 작가에게 편지로 신상 이야기를 고백하는 서간 소설이다. 노부코는 소꿉친구 다에코의 약혼자인 가츠마로의 사랑을 받아들였다가 버림받는다. 그러나 가츠마로의 부친을 통해 조선 고대의 영광에 눈뜨고 민족적 자각을 갖게 된 그녀는 그를 원망하지 않고 민족을 위해 살기로 결심한다.
노부코는 귀족 가문 아가씨들의 놀이 친구로서 같은 옷을 입고 같은 교양을 지닐 것을 허락받은 조선의 ‘계집종’을 연상시킨다. 이광수는 책임을 타인에게 전가하지 않는 노부코의 갸륵한 모습을 그리는 한편, 일본인에게 바보 취급을 당한다고 분개하는 가족의 현실감 넘치는 모습도 빠뜨리지 않는다. 딸을 향해 죽어버리라고 부르짖는 부친의 안타까운 분노는 이광수의 내심에 잠재한 분함을 투영한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