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레거시 콘텐츠에 분 변화의 바람
2022년 챗GPT가 등장한 이후, AI는 텍스트 생성, 이미지·영상 제작, 음악 창작 등 다양한 미디어 산업에 적용되며 그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가 모든 콘텐츠 제작자에게 동일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다. 특히 기존 방송사와 대형 콘텐츠 제작사, 즉 레거시 콘텐츠 사업자들은 AI 도입을 두고 신중한 접근을 하고 있다. AI의 활용 방식은 기업마다 다르다. 넷플릭스는 AI 기반 추천 알고리즘을 통해 개인화된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으며, 국내 방송사들도 다양한 방식으로 AI를 도입하고 있다. CJ ENM은 AI 기반 가상 스튜디오를 활용해 제작 효율을 높이고, AI 음악 창작을 통해 배경음악 제작 비용을 절감하고 있다. 반면 지상파 방송사들은 AI를 활용한 화질 개선, 자동 자막 생성, 영상 분석 등 부가적인 영역에 집중하고 있다.
그러나 AI 도입이 곧 비용 절감과 수익 증대로 직결되는 것은 아니다. 제작 과정에서 AI가 수행할 수 있는 역할은 제한적이며,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여전히 인간의 개입이 필요하다. 또한 AI로 제작된 콘텐츠가 상업적 가치와 창의성을 유지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도 지속되고 있다. 이 책은 AI가 레거시 콘텐츠 사업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 분석하며, AI 도입의 현실적인 가능성과 한계를 짚는다. AI가 콘텐츠 제작의 패러다임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으며, 기존 사업자들은 이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에 대한 종합적인 가이드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