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재무회계이론 (제5판)

재무회계이론 (제5판)

  • 김정재
  • |
  • 신영사
  • |
  • 2025-03-05 출간
  • |
  • 608페이지
  • |
  • 182 X 257mm
  • |
  • ISBN 9788955018844
판매가

33,000원

즉시할인가

32,670

배송비

2,5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2,67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회계는 단순한 숫자의 기록을 넘어, 기업과 경제 환경의 변화 속에서 지속해 발전해 온 학문입니다. 〈재무회계이론〉은 이러한 회계의 본질과 변화하는 회계환경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며, 현대회계가 당면한 주요 이슈들을 깊이 있게 탐구합니다.

본서는 회계의 기능 및 환경변화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합니다. 특히 IFRS(국제회계기준) 도입 이후 나타난 회계 패러다임의 변화, 즉 원칙 중심 회계의 확산, 재무제표 중심의 접근법, 공정가치 평가의 중요성 증대 등의 흐름을 심도 있게 설명합니다. 나아가, 이러한 변화가 기업의 재무보고 및 이해관계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다양한 시각에서 분석합니다.

회계 기능을 크게 가치평가기능과 계약기능으로 구분하여 설명하는 것도 이 책의 특징입니다. 특히 두 기능 간의 긴장 관계를 분석하며, 현대회계가 가치평가기능을 상대적으로 더 강조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지적합니다. 또한, IFRS 도입에 따른 ‘true and fair view’ 개념과 전문가적 판단의 역할을 조명하며, 최신 회계 기준이 실제 기업환경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탐구합니다.

회계정보의 통일성, 비교가능성, 그리고 투명성 확보를 위한 논의도 본서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합니다. 회계정보가 단순히 기업 내부의 보고 기능을 넘어 자본시장과의 연결고리로 작용한다는 점에서, 본서는 회계제도의 정합성과 국제적인 회계 기준 조화의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더불어, 최근 기업 경영환경의 변화와 IFRS 9, IFRS 15 등의 새로운 회계기준 도입이 가져온 현실적인 과제들도 상세히 다루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글로벌 경제에서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는 지속가능성 회계(ESG 회계)와 관련하여, IFRS Foundation이 새롭게 출범시킨 ISSB(국제지속가능성위원회)의 공시 기준(IFRS S1, S2)의 도입 배경과 파급효과를 분석합니다. 이는 기존의 계약기능 중심 회계제도에서 가치평가기능 중심 회계로 전환하는 흐름 속에서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입니다.

이러한 내용을 담은 본서 〈재무회계이론〉은 회계 패러다임의 진화과정 및 관련 주요 이슈들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길잡이가 될 것입니다.

목차

PART Ⅰ 회계기능과 회계연구

제1장 재무보고와 재무제표
제1절 재무보고의 의의
1. 재무보고
2. 재무제표
3. 연결재무제표 vs 별도재무제표 vs 개별재무제표
4. IFRS 적용하기: Obligation vs Option
5. 재무제표의 기본가정
6. 재무제표의 연계성
제2절 재무제표 이용자
1. 재무제표 이용자의 종류
2. 재무제표의 이해관계자
3. 재무제표 이용자에 대한 상반된 시각
4. 베이즈 정리
5. 위험에 대한 태도와 효용함수
6. 프로스펙트이론
7. 누적프로스펙트이론
8. 일반목적 재무제표의 한계
제3절 회계담당자의 역할
1. 재무제표와 회계감사의 품질
2. CEO 및 CFO의 재무제표 인증
제4절 기업지배구조
1. 기업지배구조의 정의와 역할
2. 기업지배구조와 회계정보
3. 기업지배구조와 기업가치
4. Investor Relations
5. Sell-side analysts vs Buy-side analysts
제5절 회계기준제정기구의 역할
1. KASB
2. IASB
3. FASB
4. IASB와 FASB의 관계
5. 회계기준 제정절차
6. 투표방식
7.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연습문제

제2장 가치평가 vs 업적평가
제1절 회계의 목적과 기능
1. 일반목적
2. 회계의 이중성
제2절 가치평가기능과 계약기능
1. 가치평가기능
2. 계약기능
3. 가치평가기능과 계약기능의 관계
4. 회계의 이중성 극복방안
제3절 회계기능의 본질
1. 대립적 회계관
2. 회계모형의 확장
제4절 가치평가 vs 업적평가
1. 순수잉여관계와 포괄이익
2. 기타포괄손익의 등장배경
3. 재분류조정
4. 기타포괄손익의 표시방법
5. 재분류 가능 또는 불가능 항목의 차이
6. 가치평가 vs 업적평가 논리구축 요구
연습문제

제3장 패러다임과 방법론
제1절 회계 패러다임의 정의
제2절 회계 패러다임의 변화
1. 전통적 패러다임
2. 새로운 패러다임
3. 회계 패러다임에 대한 회계연구의 공헌
제3절 회계방법론
1. 규범론과 실증론
2. 정의와 측정
제4절 회계기능에 따른 회계속성 비교
1. 회계기능별 회계속성
2. 회계기능별 회계정보의 용도
연습문제

PART Ⅱ 회계환경의 변화

제4장 기업환경의 변화
제1절 기업환경의 변화
1. 변화된 기업환경
2. 신경제와 전통회계
3. 변화된 환경에서의 회계인식
4. 초연결 시대/사회의 도래
제2절 생산과정의 변화
1. 기업전략의 변화
2. 제조간접비의 증가
3. 전통적 제조간접비 배부의 문제점
4. 무형자산의 중요성 증가
제3절 전통회계모형의 한계
1. 재무회계분야
2. 원가회계분야
제4절 재무제표의 영역확대
1. 전통회계모형의 목적적합성
2. 첨단기업의 가치평가
3. 무형자산 및 지속가능성에 대한 정보제공
연습문제

제5장 무형자산
제1절 K-IFRS의 주요 특징
제2절 무형자산의 정의
1. 식별가능성
2. 통제
3. 미래경제적효익
제3절 무형자산의 측정 및 평가
1. 인식과 측정
2. 인식 후의 측정
제4절 무형자산의 인식과 관련된 이슈
1. 가치창조가능성 여부
2. 투입원가와 기대효익의 시차성
제5절 자산평가의 새로운 움직임
1. 영업권의 손상차손평가
2. 가상자산의 회계처리
3. 감가상각의 전통적 의미
4. 원가모형 vs 재평가모형
제6절 무형자산의 종류
제7절 무형자산이 중요성을 갖게 된 동기
1. 자본시장효율성에 대한 인식변화
2. 가치창조활동에서의 역할증대
3. 인수ㆍ합병시장의 활성화
제8절 IFRS와 무형자산
1. 무형자산의 인식확대
2. Celtic vs Everton 무형자산 회계처리 비교
3. 무형자산과 계약기능
4. 무형자산과 가치평가기능
제9절 무형자산 수준의 측정수단
제10절 영업권상각의 복원 검토
1. FASB의 움직임
2. IASB의 움직임
3. KASB의 움직임
연습문제

제6장 인터넷과 회계
제1절 인터넷의 영향
1. 적시성의 확보
2. 비재무정보 또는 미래지향적 정보의 제공
3. 공시내용의 다양성과 변동성
4. 제3자에 의한 정보제공
제2절 인터넷과 자본시장
제3절 XBRL
1. DART vs XBRL
2. XBRL의 등장
3. XBRL의 구성
4. XBRL의 구조
5. XBRL의 장점
6. XBRL이 의미하지 않는 것
7. XBRL의 도입효과
8. XBRL의 현재 및 미래
제4절 비재무정보의 중요성 증가
1. 재무제표와 비재무정보
2. 지식기반사회의 지식자본
3. 자발적 공시
4. Management’s Discussion & Analysis
5. 다양한 자본의 종류
제5절 데이터의 팽창과 인간의 정보처리능력
1. Information Overload
2. 인간의 정보처리능력
연습문제

PART Ⅲ 가치평가기능

제7장 효율적 시장가설(EMH)
제1절 효율적 시장가설
1. 효율적 시장가설의 의의
2. 효율적 시장가설의 조건
3. 주가의 성격
4. 재무분석기법과 EMH의 관계
제2절 효율적 시장가설의 회계적 의미
1. 공시의 중요성
2. 초기 자본시장연구
제3절 효율적 시장가설의 재검토
1. 과거 인식에 대한 변화
2. 인간의 합리성에 대한 의문
3. 행태재무론의 의의
4. 변화된 환경에서의 회계기능
제4절 효율적 시장가설과 회계정책
1. 공시에 의한 규제
2. 절차에 의한 규제
제5절 자본시장의 이상현상
1. 계절적 이상현상
2. 발생액 이상현상
3. 주가표류현상
4. 가치주와 성장주 이상현상
5. 규모효과
6. 이상현상의 소멸
7. 우리나라 등에서의 이상현상의 실태
제6절 효율적 시장가설에 대한 대안
연습문제

제8장 정보적 관점과 평가적 관점
제1절 이익반응계수
1. 회계이익과 주가변동의 관계
2. 회계이익과 주가변동의 인과관계
3. Ball and Brown(1968)
제2절 자본시장효율성 후퇴와 가치평가기능
1. 가치관련성 연구의 탄생배경
2. 가치관련성 연구의 주제
3. 가치관련성 연구의 한계
제3절 가치관련성 분석모형
1. 모형의 도출
2. 회계적 함의
3. 바람직한 회계처리의 조건
제4절 정보적 관점 vs 평가적 관점
1. 정보적 관점과 평가적 관점의 비교
2. 정보적 관점에서 평가적 관점으로의 이동
제5절 공시에 대한 재인식
1. 공시만능주의
2. disclosure vs recognition
제6절 동시검정
1. CAPM
2. Fama-French 3요인 모형
3. Fama-French 모형에 대한 Penman의 반론
4. 발생액 이상현상과 동시검정 속성
5. 기타의 동시검정 사례
제7절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의 상대적 중요성
제8절 회계가 문제인가? 시장이 문제인가?
1. 증가하는 PBR
2. 주가형성과정의 문제
3. 회계의 역할
연습문제

PART Ⅳ 계약기능

제9장 실증회계이론
제1절 주인과 대리인이론
1. 대리인문제의 본질
2. 게임이론 사례
3. 회계기능 및 규제에 대한 시사점
제2절 실증회계이론의 연구주제
1. 경영자보수계약가설
2. 부채계약가설
3. 정치적 비용가설
제3절 EMH와의 차이
제4절 실증회계이론의 기능
연습문제

제10장 이익조정
제1절 현금흐름과 발생
1. 발생주의 회계
2. 회계이익의 구성요소
3. 발생의 의의
4. 발생과 현금흐름의 관계변화
5. 발생과 현금흐름의 상관관계와 회계이익의 가치관련성
6. 경영자의 이익조정동기
제2절 회계적 이익조정
1. 회계적 이익조정의 정의
2. 당기순이익과 CFO의 관계
3. 발생을 통한 이익조정
4. 재량적 발생 추정모형
5. 재량적 발생의 연구주제
6. 기타 발생액의 질 측정방법
7. 회계적 이익조정과 감사인의 역할
제3절 실제이익조정
1. 실제이익조정의 측정
2. 실제이익조정의 연구주제
3. 회계적 이익조정과 실제이익조정은 대체재인가?
4. 실제이익조정과 감사인의 역할
제4절 발생액 이상현상
1. 발생액 이상현상의 의의
2. 발생액 이상현상에 대한 반론
3. 발생액 이상현상의 소멸
4. 한국형 헤지펀드의 등장과 발생액 이상현상의 소멸
5. 발생액 이상현상의 재등장
제5절 회계이익의 범위
1. 가치평가기능 vs 계약기능
2. 다양한 업적측정치의 사례
3. 당기업적주의와 포괄주의
4. PER, PBR, EV/EBITDA
5. GAAP vs Non-GAAP vs Pro Forma Earnings
6. 영업이익 공시기준
제6절 공매도와 발생의 관계
제7절 이익의 질
1. 이익의 시계열적 속성
2. 이익, 발생, 현금흐름 간의 관계
3. 정보속성
4. 추정과 판단
5. 이익분포상의 불연속성
제8절 이익의 질:대용변수, 결정요인 및 파급효과
연습문제

제11장 주식기준보상
제1절 스톡옵션의 의의
1. 스톡옵션의 기능
2. 회계이슈
제2절 스톡옵션 회계처리 비교
1. 미국회계기준
2. 국제회계기준
제3절 미국의 스톡옵션 논쟁
1. 기업의 입장
2. FASB의 입장
제4절 IFRS의 스톡옵션 관련용어
제5절 옵션가격결정모형
1. 옵션가격결정모형의 종류
2. 옵션가격결정모형의 결정요소
제6절 스톡옵션 사례
1. 블랙-숄즈-머튼 모형에 의한 계산사례
2. 블랙-숄즈-머튼 모형에 의한 계산사례와 회계처리
3. SM엔터테인먼트의 계산사례
연습문제

PART Ⅴ 재무회계이론의 기타주제

제12장 회계정보의 질적 특성
제1절 자산ㆍ부채의 정의
1. 자산의 정의
2. 부채의 정의
3. 자산ㆍ부채의 정의와 인식의 임계치 차이
제2절 2010년 이전의 질적 특성
1. 목적적합성과 신뢰성의 구성요소
2. 상충관계
3. 표현충실성의 재조명
제3절 2010년 이후의 질적 특성
1. 바람직한 회계기준의 조건
2. 2010년 이후의 질적 특성
3. 비교가능성
4. 중립성
제4절 제약조건
1. 보수주의
2. 중요성
제5절 질적 특성과 회계기능
1. 가치평가기능과 적시성
2. 적시성과 보수주의
3. 보수주의와 계약기능
연습문제

제13장 통일성
제1절 규제기관 관점의 기준
제2절 통일성의 종류
1. 범위별 통일성 vs 획일적 통일성
2. 퇴행적 통일성
3. 통일성의 결정요인
4. 통일성의 사례
제3절 통일성의 종류별 실제 사례
1. 원가모형 vs 재평가모형
2. 전환사채의 전환권: 자본 vs 부채
3. 당기손익 vs 기타포괄손익의 구분
4. US GAAP vs IFRS의 재분류조정차이
5. 취득법 vs 지분풀링법
6. R&D
7. 금융상품
8. 수익인식
9. 리스회계
10. 보험회계
제4절 회계규제의 개념적 차원
1. 공시에 의한 유용성 확보
2. 절차에 의한 유용성 확보
제5절 통일성의 한계
1. 국가별 회계환경의 차이
2. 미국형 회계 vs 유럽형 회계
3. 사회제도적 차이
4. IFRS의 한계
제6절 IAS 39 Carve-Out
1. IAS 39 Carve-Out의 의미
2. IAS 39 Carve-Out의 예시
3. Macro Hedging
4. IAS 39 후속조치
5. IFRS 9 이후의 IAS 39 Carve-Out
제7절 조선업 회계처리이슈
1. 조선업 회계처리 전개과정
2. IASB의 움직임과 한국의 대응
연습문제

제14장 True and Fair View
제1절 규정중심 vs 원칙중심
1. 규정중심 회계기준의 폐해
2. 원칙중심 회계기준의 특징
제2절 True and Fair View
1. true and fair view의 역사
2. true and fair view의 의의
3. true and fair view override
4. true and fair view override에 대한 미국의 입장
5. true and fair view override의 사례
6. K-IFRS에서의 기술내용
7. 전문가의 성숙한/건전한 판단
8. 회계의 제도적 속성
9. 회계부정과 회계기준의 유형
제3절 회계에서 소송의 영향
1. 감사인과 전문가적 판단
2. 감사인에 대한 소송의 영향
3. 경영자에 대한 소송의 영향
연습문제

□ 부록:IAS 39 Carve-Out
□ 참고문헌
□ 찾아보기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