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허함은 영원하지만 너는 그렇지 않아.
이게 죽음보다 더 깊은 너의 진실이야.”
삶의 의미조차 삼킨 현실의 지독한 허무를 극복하고
꿈의 세계 무르시블을 구하는 한 소녀의 이야기
이 책은 우리가 사는 세상이 현실과 꿈의 세계 무르시블로 이루어졌다고 말한다. 무르시블에는 원래부터 이 땅에서 태어나고 자란 ‘백성’과 잠자는 동안에만 무르시블에 오는 ‘드리머’, 그리고 현실 세계에서 죽은 드리머인 ‘시민’이 함께 살아간다. 무르시블을 다스리는 황제는 대대로 잠자는 동안 꿈의 세계에 머무는 드리머였다.
외톨이 소녀는 어느 날부터 현실보다 더 생생한 꿈을 꾸기 시작한다. 그 꿈에서 소녀는 꿈의 세계 무르시블을 다스리는 황제다. 황제는 자신의 이름과 동일한 무르시블을 구원할 운명을 가지고 태어난다. 하지만 황제는 오랫동안 무르시블은 무너지리라는 악마의 목소리에 시달리면서 지치고 피폐해진 상태다. 악마는 백성들을 살리고 싶으면 무모한 전쟁을 포기하고 홀로 자신을 찾아오라고 속삭인다. 결국 황제는 모든 영광을 뒤로 한 채 악마를 만나기 위해 홀로 버려진 땅으로 향한다.
소녀는 꿈에서 황제를 찾아나선 대사제를 만나 학교에 자신과 동일한 꿈을 꾸는 소년을 알게 된다. 하지만 동일한 꿈을 꾸는 사람을 만났다는 기쁨도 잠시, 관계에 서툰 소녀는 소년과 친구가 되지 못하고 서로에게 깊은 상처만 남긴다. 소녀는 아무 의미도 없고 상처뿐인 현실이 꿈이길, 자신이 사랑하는 대사제가 있는 무르시블이 현실이 되길 간절히 바란다. 그 바람대로 소녀는 꿈의 세계에서 눈을 뜨지만, 꿈의 세계 무르시블을 구하기 위해서는 고통스런 현실을 반드시 살아 내야 한다는 뼈 아픈 진실과 마주한다.
소설은 수많은 사람들이 견디지 못한 ‘거부된 꿈’이 바로 ‘현실’이라고 말한다. 어떤 현실은 너무 고통스러운 나머지 꿈으로조차 겪고 싶지 않다. 살아 있다는 것만큼 벅찬 일은 없으며, 자신의 영혼만으로 서야 할 때가 있다는 것 역시 얼마나 외롭고 두려운 일인가. 하지만 인간에게 주어진 단 한 번뿐인 삶은 꿈에서만 가능한 안전한 세계가 아닌 고통을 그대로 느껴야 하는 현실에 속해 있다. 잠에서 오랫동안 깨어나지 않을 만큼 자신의 삶을 고통스러워하던 소녀는 매일 반복되는 일상을 살아 내면서 마침내 자신에 대한 예언을 이루어 낸다. 자신을 작고 초라하게만 여기던 소녀가 반드시 살아 내야 하는 순간을 지나며 꿈의 세계를 구해 내듯 이 땅의 모든 ‘드리머’들이 반드시 살아 내야 하는 순간을 무사히 지나고 자신만의 세계를 꽃피우게 되길. 이것이 소설이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이다.
마음이 문득 초라해지는 어느 날, 『무르시블의 소녀』가 그날의 고단함을 달래는 작은 온기가 되기를 바란다. 사막에서 길을 잃고 지쳐 스스로를 의심하는 황제에게 ‘폐하는 자신의 고귀함을 증명할 필요가 없다’고 단언한 헤브론의 위로가, 나이와 상관없이 꿈을 꾸고 자라느라 애쓰는 모든 드리머들의 매일을 감싸 주기를. 작가의 말 중에서
두 개의 땅과 두 개의 시간에서
완벽하게 같은 꿈을 꾼 소년과 소녀
사랑으로 서로를 구원하다
소년은 맞벌이를 하는 부모를 대신해 동생을 돌보다가 동생이 음주 운전 차량에 치여 죽는 사고를 목격한다. 동생의 죽음에 대한 죄책감으로 소년은 꿈의 세계에서조차 우울의 늪에 고개를 처박고 죽고 싶다는 생각만 한다. 그런 소년에게 한 소녀가 나타나 마음속 얼음을 없애 주겠다며 손을 잡아 끈다. 소녀를 따라간 곳은 무르시블의 황제가 머무는 성전으로, 소녀는 이 세계의 가장 존귀한 별 황제 무르시블이다. 소년은 무르시블에서 고통 없이 행복하게 사는 동생을 만난 뒤 황제를 호위하는 사제가 되기로 결심한다. 어느덧 황제를 가장 가까운 자리에서 호위하는 대사제가 된 소년은 자신의 마음속 얼음을 녹여 준 무르시블을 깊이 사랑하게 된다.
소녀는 꿈속에서 만난 대사제를 사랑하게 된다. 아니 꿈속의 황제는 바로 소녀이기에 오랫동안 대사제를 사랑하고 있었음을 깨닫게 된다. 소녀는 대사제가 속한 세계가 위기에 처했다는 것을 알고 겁도 없이 꿈의 세계로 들어가 악마와 마주한다. 악마는 소녀에게 가장 소중한 것을 자신에게 바치면 다시 무르시블의 영원한 황제가 될 수 있다고 속삭인다. 그 순간 대사제가 자신의 목숨을 바치겠다고 나선다. 그제야 소녀는 대사제가 같은 학교에 다니고 있는 소년이었음을 깨닫게 된다. 소녀는 소년을 살리기 위해 가장 고통스러운 거부된 꿈을 받아들이기로 결심한다.
이 책은 소년과 소녀가 꿈의 세계에서는 사제와 황제로, 현실 세계에서는 같은 학교를 다니는 친구로 이어져 서로의 마음속에 든 차가운 얼음을 녹이는 이야기를 들려 준다. 소년과 소녀는 이제 막 돋아난 새순처럼 상처받기 쉬운 여린 영혼을 지녔지만 서로를 지켜야 하는 순간에 단연 무적이 된다. 꿈과 현실이라는 두 세계 두 시간을 초월해 이어지는 애틋한 마음으로 서로를 구원하는 이야기가 책을 읽는 내내 뭉클한 감동을 선사한다. 결국 우리를 구원하는 것은 사랑이다.
청소년 심사위원 추천사
★꿈과 현실을 드나들며 상처받은 사람들을 구해 주는 멋진 판타지. 강태완, 춘천중학교
★주인공이 외로움과 무관심의 상처를 이겨 내고 성장하는 모습이 멋졌다. 나도 내 상처를 이겨 내고 더 좋은 사람이 되고 싶어졌다. 김예린, 갈뫼중학교
★상처받은 청소년들에게 위로를 건네는 책. 김지우, 대구강동중학교
★무르시블이란 환상적인 세계를 통해 청소년에게 아픔을 극복할 힘을 주는 판타지. 김현진, 진산중학교
★삶에 대해 깊이 생각할 수 있게 하는 고마운 책. 그리고 아름다운 문장을 만날 수 있었던 책. 나하경, 거원중학교
★상처를 외면하지 않고 마주하면 언젠가 아픔이 사라진다는 것을 알려 준 책. 노주희, 신구중학교
★신비로운 꿈속 세계인 무르시블을 묘사한 문장들이 아름다웠고, 각자가 외면했던 외로움, 두려움, 슬픔 등의 상처를 마주하라는 메시지가 마음에 와 닿았다. 맹서현, 두일중학교
★현실의 상처를 외면하며 살아가는 사람들을 위한 놀라운 꿈속 이야기. 이건희, 홈스쿨링.
★탄탄한 세계관이 눈길을 끄는 책. 숨겨진 이야기에 놀랐고, 지금 청소년들에게 가장 필요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예인, 완산중학교
★꿈의 세계와 현실에서의 아픔과 상처를 이겨 내고 진정한 어른이 된 주인공을 통해 청소년들에게 상처를 대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해 주는 책. 이채윤, 난우중학교
★무르시블의 소녀가 계속 성장하며 변화하는 생각을 따라 읽는 게 즐거웠고, 나의 상처를 무시하지 않고 받아들이게 만든 책. 장채원, 속초해랑중학교
★굉장히 참신하고 재밌었다. 조연우, 대일서일고등학교
★현실의 내가 갖는 고통과 상처를 외면하지 말고 보듬어야 한다는 주제가 뇌리에 크게 박혔다.
한유준, 서울개운중학교
★판타지의 정석 같은 책. 한아현, 역곡중학교
★꿈이라는 소재와 예측할 수 없는 전개가 이 책의 가장 큰 매력이다. 홍수림, 흥덕중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