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금강경 강해 (큰글자책)

금강경 강해 (큰글자책)

  • 구마라습
  • |
  • 지식을만드는지식
  • |
  • 2025-02-28 출간
  • |
  • 287페이지
  • |
  • 210 X 290 X 15mm
  • |
  • ISBN 9791173078569
판매가

37,000원

즉시할인가

33,3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3,3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금강과 같이 견고해 능히 일체 번뇌를 끊어 없애는 진리의 말씀
《금강경(金剛經)》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널리 유통되고 있는 경전으로 대장경(大藏經) 가운데 반야부(般若部)에 속해 있는 경이다. 대반야 600부 가운데 577권에 해당하는 경인데, 본 제목 《금강반야바라밀다경(金剛般若波羅蜜多經)》을 약칭해 《금강경》 혹은 《반야경》이라 부른다. 한역의 번역본에 따라서 ‘능단(能斷)’이나 ‘능할(能割)’ 또는 ‘불설(佛說)’ 등의 말이 붙어 있는 제목도 있다. 범어로 된 원래 제목은 《바즈라체디카 프라즈나 파라미타 수트라(Vajracchedika prajǹā pāramitā sūtra)》다. 지금까지 범본이 남아 있다. ‘금강과 같이 견고해 능히 일체 번뇌를 끊어 없애는 진리의 말씀’이라는 뜻이다. 옛날부터 중국에서 이 경을 판석(判釋)해 대승시교(大乘始敎)의 경이라고 했다. 이 말은 이 경이 대승의 법을 설하기 시작한 가르침이란 말이다.

선종의 필독서
불립 문자를 표방하는 선가에서도 중요하게 여겨 온 경으로 선행(禪行)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특히 중국 선종의 5조 홍인(弘忍) 스님과 6조 혜능(惠能) 스님 이래로 선종에서도 필독서로 여겼다. 6조 스님은 이 경을 듣고 발심해서 출가했다고 알려져 있다. 그리하여 선종의 법맥을 계승한 조계종에서는 유독 이 경의 이름 하나만 종헌에 넣어 소의 경전으로 지목해 놓았다. 이 경이 우리나라에 전래된 것은 삼국 시대 초기였으며, 역사적으로 볼 때 불경 가운데서 가장 많이 독송되어 온 경이라 할 수 있다. 고려 시대 보조 국사가 불교를 배우고자 하는 이들에게 이 경의 독송을 널리 권장해 온 이후로 특히 많이 유통되었다. 이 경이 한역(漢譯)된 것에는 구마라습(鳩摩羅什, 343∼413), 보리유지(菩提流支), 진제(眞諦, 499∼569), 급다(笈多, ?∼619), 현장(玄奘, 602∼664), 의정(義淨, 635∼713)이 각각 번역한 여섯 가지가 있는데, 이 중 진나라 때(402) 구마라습이 번역한 본이 널리 유통되었다.

32분 18주 27단의
《금강경》의 경문 내용을 살펴보면 우선 소명 태자의 32분 분류대로 전문을 나누었다. 〈법화인유분〉에서 〈응화비진분〉에 이르기까지 부처님과 수보리의 문답 형식의 대화로 전개되는데, 1분에서 16분까지가 전반이 되고 17분부터 32분까지가 후반이 된다. 이렇게 전·후반을 나누는 것은 수보리의 질문이 전반에 나온 것이 후반에 다시 나오므로 편의상 전후로 나누어 보는 것이다. 금강경 해석에는 4∼5세기 북인도 건타라국의 무착(無着, Asaṅga)과 그 아우 세친(世親, Vasubandu]이 각각 지은 두 《금강반야바라밀경론》이 표준이 되었는데 두 논의 특징을 살펴보면, 무착은 경 전문을 수행의 지위에 배대 18주를 세워 설명하고, 세친은 27단의를 세워 설명한다. 18주는 수행의 지위 점차를 따라 경문에서 설한 뜻을 연관 지어 수행의 지위, 곧 머무는 자리를 18가지로 나누어 말한 것이고, 27단의는 부처님과 수보리의 대화 속에 들어 있는 속뜻에 의심을 일으키고 끊어 주는 문답을 전개해 전문에 걸쳐 27번의 의심을 끊어 준 것으로 해석하는 것이다.

진정한 전문가가 쓴 책
《금강경》을 수십 년간 연구 강의해 온 전문가이자, 조계종 승가대학원장, 반야불교문화연구원 원장인 지안 스님이 우리말로 옮기고 풀어 설명한다. 서문을 쓴 호진 스님은 지안 스님만큼 《금강경》에 대해 이처럼 오랜 세월에 걸쳐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가르치고 독송한 사람이 몇 사람이나 있겠느냐며, 《금강경 강해》는 학문적으로, 신앙적으로 진정한 전문가가 쓴 책이라고 서슴없이 말할 수 있다고 추천했다. 《금강경》은 그다지 긴 경이 아니다. 짧게는 네 줄, 길게는 10여 줄씩의 길이로 모두 32단락으로 구분되어 있다. 지안 스님은 단락마다 쉽고 반듯하게 번역을 하고, 계속해서 ‘해설’란에서 자세하고도 친절하게 그 내용을 설명했다. 그리고 그것도 부족하다고 생각해서 ‘이야기’난을 두어 내용과 관계있는 경전, 논서, 설화, 일화 등을 동원했고, 초기 불교에서 대승 불교, 선불교, 한국 불교를 넘나들면서 해박하고도 재미있게 설명했다. 읽다 보면 깊고 어렵고 딱딱한 내용들이 어느 결에 이해가 되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

목차

서문
자서

금강경
1. 법회인유분(法會因由分)
2. 선현기청분(善現起請分)
3. 대승정종분(大乘正宗分)
4. 묘행무주분(妙行無住分)
5. 여리실견분(如理實見分)
6. 정신희유분(正信稀有分)
7. 무득무설분(無得無說分)
8. 의법출생분(依法出生分)
9. 일상무상분(一相無相分)
10. 장엄정토분(莊嚴淨土分)
11. 무위복승분(無爲福勝分)
12. 존중정교분(尊重正敎分)
13. 여법수지분(如法受持分)
14. 이상적멸분(離相寂滅分)
15. 지경공덕분(持經功德分)
16. 능정업장분(能淨業障分)
17. 구경무아분(究竟無我分)
18. 일체동관분(一體同觀分)
19. 법계통화분(法界通化分)
20. 이색이상분(離色離相分)
21. 비설소설분(非說所說分)
22. 무법가득분(無法可得分)
23. 정심행선분(淨心行善分)
24. 복지무비분(福智無比分)
25. 화무소화분(化無所化分)
26. 법신비상분(法身非相分)
27. 무단무멸분(無斷無滅分)
28. 불수불탐분(不受不貪分)
29. 위의적정분(威儀寂靜分)
30. 일합이상분(一合理相分)
31. 지견불생분(知見不生分)
32. 응화비진분(應化非眞分)

부록
천친(天親)의 27단의(斷疑)
무착(無着)의 18주(住)
미륵(彌勒) 80행 게(八十行 偈)

해설
한역자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