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과 로봇의 상호 작용: 사회성, 화법 및 의사소통의 진화
인간과 로봇의 상호 작용(HRI) 연구는 로봇이 인간의 의도를 이해하고 예측하는 능력을 중심으로 발전해왔다. 초기에는 로봇이 명령을 수동적으로 수행하는 형태였으나, 자율적 판단과 감지가 가능해지며, 로봇의 사회성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로봇이 사회적 상호 작용을 위해서는 인간의 감정과 사회적 맥락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로봇은 설득, 참여, 준수 사항 등 다양한 사회적 요소를 포함한 의사소통 방식을 적용해야 한다.
이러한 사회성은 챗봇이나 AI 시스템에서 인간과 자연스럽게 소통하는데 필수적인 요소로, 대화 상황과 청자의 상황을 고려한 피드백과 답변을 제공해야 한다. 또한, 인간-로봇 상호 작용은 단순한 명령 수행을 넘어, 교육, 오락, 의학 등 사회적 맥락에서 로봇의 역할이 확대되면서 의사소통의 중요성이 커졌다. 로봇과의 상호 작용을 위한 효과적인 화법을 적용하려면 작업의 목표, 환경 분석, 상호 이해를 기반으로 한 훈련이 필수적이다.
최근 AI와 로봇의 사회적 영향력 확대는 일자리 대체, 자율성 침해, 윤리적 우려 등 여러 문제를 불러일으켰다. 이는 인간 존재의 근원적인 두려움과 연결되며, 로봇과의 상호 작용에서 명확한 목표와 윤리적 기준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이를 위해 AI 의사소통 교육과 정책이 필요하다.
이 책은 인간과 로봇의 의사소통 방식을 화법을 통해 분석하고, AI 면접과 같은 실제 사례를 기반으로 인간-AI 상호 작용의 특징을 설명하며, AI와의 공존을 위한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