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사 속 오래된 미래를 탐구하다
인간의 얼굴은 오랜 진화 과정에서 사회적, 개인적 정체성의 중요한 기초를 이루었다. 하지만 AI의 등장으로 인간 얼굴의 의미와 역할은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AI는 이제 인간의 얼굴을 넘어서, 사람의 정체성을 모방하거나 왜곡하는 능력을 갖추게 되었다. 이 책은 AI가 인간 얼굴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인간과 AI가 얽히는 경계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윤리적 문제들을 서사적 관점에서 풀어나간다. 여러 AI와 관련된 서사적 작품을 중심으로, 인간과 AI의 관계를 다양한 시각에서 탐구한다. 아이작 아시모프의 『아이, 로봇』 등을 통해 AI가 지능과 페르소나를 가진 존재로 등장한 초기의 모습을 살핀다. 인간이 상상한 인공지능의 원형을 살피고 우리가 AI를 어떻게 바라보았는지 돌아본다. 한국 SF 영화를 통해 AI가 사회와 가정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그리고 AI가 인간의 미래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을지를 살펴본다.
또한 이 책은 AI의 발전과 그로 인한 경제적, 사회적, 윤리적 문제들을 집중적으로 다룬다. 기술과 양극화, 차별의 문제를 제기하며 AI가 인간 사회에 미치는 영향과 그 해결책에 대해 논의한다. AI와 인간이 공존할 수 있는 미래 사회를 상상하며, 이 과정에서 필요한 사회적 변화와 인간 중심의 가치 재구성을 탐구한다. 이 책은 AI와 인간의 경계를 넘나드는 서사를 통해 우리가 AI와 함께 살아가는 미래를 어떻게 그려나갈 수 있을지에 대한 깊은 질문을 던진다. AI가 우리의 삶을 어떻게 변화시킬지, 그리고 인간으로서의 정체성을 어떻게 유지할지에 대한 고민을 서사적 관점에서 풀어 나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