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마하반야바라밀다경 (摩訶般若波羅蜜多經) 10

마하반야바라밀다경 (摩訶般若波羅蜜多經) 10

  • 삼장법사 현장
  • |
  • 혜안
  • |
  • 2024-12-30 출간
  • |
  • 680페이지
  • |
  • 152 X 225mm
  • |
  • ISBN 9788984947306
판매가

45,000원

즉시할인가

40,5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40,5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마하반야바라밀다경」의 결집은 4처(處) 16회(會)로 구성되어 있는데, 제1회에서 제6회까지와 제15회는 왕사성의 영취산에서, 제7회에서 제9회까지와 제11회에서 제14회까지는 사위성의 기원정사에서, 제10회는 타화자재천 왕궁에서, 제16회는 왕사성의 죽림정사에서 이루어졌다. 이 경전은 「대반야경(大般若經)」, 「대품반야경(大品般若經)」, 6백부반야(六百部般若)라고도 불린다. 600권의 390품이고 약 4백6십만자의 한자로 결집되어 있으므로 현재 전하는 경장과 율장 및 논장의 가운데에서 가장 방대한 분량이다. 특히 제9회는 범어로 Vajracchedikāprajñāpāramitā sūtra, 제577권으로 결집되고 있는, 능단금강분(能斷金剛分)이다. 이역본으로 구마라집ㆍ보리유지ㆍ진제가 각각 번역한 「금강반야바라밀경」과 현장이 번역한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 의정(義淨)이 번역한 「불설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이 있다.
중국에서 반야경의 유통은 동한(東漢)의 지루가참(支婁迦懺)이 「도행반야경(道行般若經)」 10권을 번역하였던 것이 최초의 사례이다. 이후 삼국시대 오(吳)나라 지겸(支謙)은 「대명도무극경(大明度無極經)」 6권으로 중역(重譯)하여 완성하였으며, 축법호(竺法護)는 「광찬반야바라밀경(光贊般若波羅蜜經)」 10권을 번역하였고, 조위(曹魏)의 사문 주사행(朱士行)이 260년 우전국(于闐國)에서 이만송대품반야범본(二萬頌大品般若梵本)을 구하여 무라차(無羅叉)와 함께 「방광반야바라밀경(放光般若波羅蜜經)」 20권으로 번역하였으며, 구마라집(鳩摩羅什)은 404년 대품이만송(大品二萬頌)의 「마하반야바라밀경(摩訶般若波羅蜜經)」을 중역하였고, 408년 「마하반야바라밀경(摩訶般若波羅蜜經)」과 「금강반야경(金剛般若經)」 등을 역출(譯出)하였다. 특히 인도 용수보살의 「대지도론」은 이 「마하반야바라밀다경」 600권을 주석한 것으로, 현재는 구마라집이 한역한 100권만 남아 있다. 이 책은 소승불교의 교설을 인용하면서도 대승불교의 사상적 우위를 드러낸 것으로. 대승불교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인 반야와 공(空) 사상을 강조한다.
「마하반야바라밀다경」은 설법의 내용을 따라서 각각 다른 결집의 형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매우 방대하였던 까닭으로 반야계통의 경전인 「소품반야경」, 「금강반야경」, 「반야심경」 등과 비교하면 많이 연구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고려대장경의 처음에 이 「마하반야바라밀다경」을 배치하고 있는 것에서 볼 떄, 한국불교에서 「마하반야바라밀다경」의 사상적인 위치가 매우 중요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이렇게 중요하고도 방대한 「반야바라밀다경」을 왜 지금 현대의 한국어로 완역하고자 하는가?
역자 보운 스님은 “우리나라 사부대중들은 ‘반야’가 매우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고, 일반 대중들도 이 단어를 알지 못하는 사람들은 매우 적다. 그러나 반야가 무슨 가르침을 내포하고 있고, 이 가르침을 어떻게 추구해야 하는가의 관점에 대하여 깊이 논의하고 반야의 사상을 유통하는 사부대중은 매우 드물다.”면서 “법성(法性)을 찾아가는 수행의 과정에서 많은 시간을 할애하여 논장과 율장을 번역하였고 의궤를 찬집하면서 10년이 넘는 시간을 보냈으나, 출가하면서 아스라이 발원하였던 「마하반야바라밀다경」을 번역하겠다는 발원은 지금 생(生)의 과업으로 남아있다.”고 완역의 대장정에 용맹정진할 것을 다짐하고 있다.

목차

역자의 말

해제(解題)

초분 初分

마하반야바라밀다경 제271권
34. 난신해품(難信解品)(90)

마하반야바라밀다경 제272권
34. 난신해품(難信解品)(91)

마하반야바라밀다경 제273권
34. 난신해품(難信解品)(92)

마하반야바라밀다경 제274권
34. 난신해품(難信解品)(93)

마하반야바라밀다경 제275권
34. 난신해품(難信解品)(94)

마하반야바라밀다경 제276권
34. 난신해품(難信解品)(95)

마하반야바라밀다경 제277권
34. 난신해품(難信解品)(96)

마하반야바라밀다경 제278권
34. 난신해품(難信解品)(97)

마하반야바라밀다경 제279권
34. 난신해품(難信解品)(98)

마하반야바라밀다경 제280권
34. 난신해품(難信解品)(99)

마하반야바라밀다경 제281권
34. 난신해품(難信解品)(100)

마하반야바라밀다경 제282권
34. 난신해품(難信解品)(101)

마하반야바라밀다경 제283권
34. 난신해품(難信解品)(102)

마하반야바라밀다경 제284권
34. 난신해품(難信解品)(103)

마하반야바라밀다경 제285권
35. 찬청정품(讚淸淨品)(1)

마하반야바라밀다경 제286권
35. 찬청정품(讚淸淨品)(2)

마하반야바라밀다경 제287권
35. 찬청정품(讚淸淨品)(3)
36. 착불착상품(着不着相品)(1)

마하반야바라밀다경 제288권
36. 착불착상품(着不着相品)(2)

마하반야바라밀다경 제289권
36. 착불착상품(着不着相品)(3)

마하반야바라밀다경 제290권
36. 착불착상품(着不着相品)(4)

마하반야바라밀다경 제291권
36. 착불착상품(着不着相品)(5)

마하반야바라밀다경 제292권
36. 착불착상품(着不着相品)(6)
37. 설반야상품(說般若相品)(1)

마하반야바라밀다경 제293권
37. 설반야상품(說般若相品)(2)

마하반야바라밀다경 제294권
37. 설반야상품(說般若相品)(3)

마하반야바라밀다경 제295권
37. 설반야상품(說般若相品)(4)

마하반야바라밀다경 제296권
37. 설반야상품(說般若相品)(5)
38. 바라밀다품(波羅蜜多品)(1)

마하반야바라밀다경 제297권
38. 바라밀다품(波羅蜜多品)(2)
39. 난문공덕품(難聞功德品)(1)

마하반야바라밀다경 제298권
39. 난문공덕품(難聞功德品)(2)

마하반야바라밀다경 제299권
39. 난문공덕품(難聞功德品)(3)

마하반야바라밀다경 제300권
39. 난문공덕품(難聞功德品)(4)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