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욕타임스⟩ 베스트셀러
★ ⟨워싱턴포스트⟩지, ⟨타임⟩지 2023 가장 기대되는 책!
★ ⟨가디언⟩, ⟨하퍼스 바자⟩, ⟨에스콰이어⟩, ⟨일렉트릭 리터러처⟩ ‘올해의 책’!
이 책은 시간에 대한 우리의 근본적인 관념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기존의 자본주의적 시간관에서 벗어나 삶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구하도록 이끈다. 단순한 시간 관리 기술이 아닌 개인의 자유와 공동체, 생태적 지속 가능성을 아우르는 '시간의 다양성(Chronodiversity)'이라는 혁신적인 개념을 통해 더 풍요로운 삶의 방향을 제시한다.
시간의 본질과 자본주의적 시간관에 대한 비판으로 시작해 ‘시간의 다양성’ 개념 소개, 이를 바탕으로 삶의 방식과 관점을 재구성하는 실천적 제안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금 가늠할 수 없을 정도로 빠른 삶의 속도와 압박에 지쳤다면, 그래서 더 나은 삶의 방향을 찾고 있다면, 이 책은 당신에게 새로운 영감과 실질적인 해법을 제공할 것이다.
삶을 바꾸고 싶다면, 시간에 대한 관점부터 바꿔라
“우리를 지배하는 시간 시스템의 은밀한 이야기”
표준화되고, 상품화된 시간을 거부하는 전복적이고 혁명적인 책!
과연 우리는 ‘시간’을 어떻게 보고 있을까? 누구에게나 똑같이 주어진 하루 24시간을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성공의 여부가 달려 있다고 말한다. 세계적인 기업인 마이크로소프트 공동 창립자인 빌 게이츠는 “시간은 돈이다. 그것을 현명하게 사용하라.”라고 말하며, 미국의 유명 토크쇼 진행자인 오프라 윈프리는 “시간을 낭비하고 정말 중요하지 않은 것들에 걱정했던 것이 나이 들면서 가장 후회된다.”(LifeHack)라고 말한다. 기본적으로 시간이 양이 유한한 재화인 것처럼 말하며, 시간을 아껴 쓰고, 잘 써야 한다고 말한다. 이렇게 시간이 부족하고, 시간을 허투루 쓰지 말아야 하며, 낭비하지 말아야 한다고 말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런 걱정들은 모두 시간이라는 대상을 ‘유한한 상품(finite commodity)’, 즉 생산성과 금전적인 가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는 관념에서 비롯되고 있다.
한국은 주 52시간으로 업무 시간이 조정되며 일하지 않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늘어난 것처럼 보이지만, 앞서 언급된 두 가치로 인해 우리에게 주어진 진짜 ‘자유 시간’은 경험하기 어렵다. 이 책을 통해, 저자는 이러한 불안이 단순히 개인의 관심사를 넘어, 우리 자본주의 사회가 만든 ‘시간 시스템’으로 자리 잡았는지 보여준다. 독자가 이런 상품화된 시간을 잘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속에 담긴 이상한 점까지 알 수 있도록 만든 이 책은 ‘시간 시스템이’ 우리를 압박하여 시간 관리의 달인이 되기 이전에, ‘시간이 곧 돈이다.’에 담긴 뿌리 깊은 역사를 추적한다.
또한 이러한 시간 시스템에 매여 사는 것은 개인과 집단 모두의 건강에도 악영향을 미친다고 역설하며, ‘자본주의 시간’에 맞설 수 있는 단기, 장기적인 전략을 세운다. 생태적인 시간, 기후적인 시간을 포함한 다양한 시간 속으로 독자들을 초대하는 저자는 ‘시간의 다양성(Chronodiversity)’이 우리가 무엇을 할 수 있을지에 대한 시야뿐만이 아니라 우리의 삶 자체도 더욱 넓고 깊게 만들 수 있다는 사실을 조명한다.
현실에서 우리는 가장 기본적인 자원인 시간의 본질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살아가는 경우가 많다. 이 책은 단순히 시간을 관리하고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넘어, 우리가 시간에 대해 가지고 있는 근본적인 생각과 관념을 비판적으로 바라보게 한다. 시간을 상품으로 간주하는 자본주의적 시각이 어떻게 우리의 일상과 선택을 지배해 왔는지 알게 되면, 우리는 새로운 관점에서 삶을 바라보고 스스로를 재정의할 기회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현대 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요구되는 생산성과 효율성의 압박 속에서, 저자가 제안하는 ‘시간의 다양성’이라는 개념은 우리에게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준다. 시간에 대한 기존 관념을 넘어서, 개인의 자유와 공동체의 건강, 그리고 생태적 지속 가능성을 아우르는 더 넓고 풍요로운 삶의 방향을 모색할 수 있다.
이 책은 단순히 시간 관리 기술을 알려주는 또 다른 자기계발서가 아니다. 우리가 시간과의 관계를 재구성하고, 더 나아가 삶의 근본적인 의미를 다시 질문하도록 돕는 안내서다. 만약 당신이 현재의 시간관에 지치고, 삶의 속도와 압박에서 벗어나 더 나은 방향을 찾고자 한다면, 이 책을 꼭 읽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