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분황원효불교사상사

분황원효불교사상사

  • 고영섭
  • |
  • 운주사
  • |
  • 2024-12-30 출간
  • |
  • 832페이지
  • |
  • 152 X 224mm
  • |
  • ISBN 9788957468623
판매가

50,000원

즉시할인가

45,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45,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한국사상사에서 가장 유명한 스님의 한 사람인 분황 원효(617~686)는 불교의 전 기반 위에서도 특히 대승불교의 주요 교학인 유식학과 기신학과 화엄학과 선법학을 아우르면서 일심의 철학을 구축하였다. 원효는 『대승기신론』의 일심, 이문, 삼대의 이론체계와 사신, 오행, 육자법문의 실천체계를 중심으로 전 불교를 재구성하였다. 그 결과 그는 ‘한국의 붓다’라는 이름으로 불리어 왔고 그의 철학사상은 오늘날 세계성을 획득해 가고 있다.
원효의 법호인 ‘분황(芬皇)’은 ‘연꽃 중의 황제’를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분황의 법명인 ‘원효(元曉)’ 또한 하루의 시작을 알리는 ‘첫새벽’을 가리킨다. 그는 ‘연꽃 중의 연꽃’을 통해 한국철학의 새벽을 일구었고 ‘새벽 중의 새벽’을 통해 한국사상의 연꽃을 일구었다. 그리하여 원효는 붓다의 중도연기를 일심, 일(본)각 내지 중도일심의 지형으로 펼쳐나갔다.
이 책은 동아시아 불교사상사 전체를 조망함에 있어 원효를 구심에 두고 동아시아사상가와 한국사상가를 원심에 두어 대비함으로써 동아시아불교와 한국불교의 지위와 위상을 성찰해 보고자 한 것이다.

2.
전체 4부 14장으로 구성된 이 책의 주요 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제1부는 ‘분황 원효와 불교사상’이란 주제로, 제1장 「동아시아 불교의 보편성과 특수성」에서는, 아뢰야식으로서 일심, 기신의 적멸/여래장으로서 일심, 화엄의 진심으로서 일심, 선법의 본법으로서 일심 이해를 통해 원효의 철학적 전환 과정과 사상적 성숙 과정을 고찰한다. 제2장 「한국불교의 전통과 원효 불학의 고유성」에서는, 원효는 ‘다양한 주장’에 대한 해명(이해)의 과정을 거쳐 다시 ‘경문의 회석(會釋)’에 대한 융화 회통의 과정으로 나아갔음을 밝힌다.
제2부는 ‘분황 원효와 동아시아 불교사상’이란 주제로, 제3장 「분황 원효와 진제 삼장의 섭론학 이해」에서는, 원효가 『금강삼매경론』에서 본각의 결정성이자 법신불의 입장에서 제시한 아마라식을 수용하고 있는 것은 구역 유식인 섭론학의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고 본다. 제4장 「분황 원효와 자은 현장의 인명학 이해」에서는, 원효는 『판비량론』에서 대승 불설에 대한 승군과 현장의 교증(敎證)을 비판하고 자신이 고안한 이증(理證)의 논증식을 제시하였음을 살펴본다. 제5장 「분황 원효와 문아 원측의 유식학 이해」에서는, 원측과 원효는 불설(佛說)의 핵심인 중도(中道)의 다른 표현인 일승(一乘)과 일심(一心)의 관점 아래 회석(會釋)하고 화회하였다고 본다. 제6장의 「분황 원효와 현수 법장의 기신학 이해」에서는, 원효는 적멸로서 일심과 여래장으로서 일심을 아우른 ‘본법으로서 일심’을 시설함으로써 완성된 인간상인 붓다상을 제시하였다고 본다.
제3부는 ‘분황 원효와 고려ㆍ조선 불교사상’이란 주제로, 제7장 「분황 원효와 인각 일연의 화엄학과 선학 이해」에서는, 원효와 일연의 화엄학과 선학 이해를 통해 두 사람의 살림살이와 사고방식을 구명하였다. 제8장 「분황 원효와 경허 성우의 구도 정신」에서는, 원효와 경허의 구도 정신은 부처와 중생, 홍법(弘法)과 화생(化生), 청산과 세속, 열반과 생사가 둘이 없는 무이(無二)의 중도(中道) 세계로 표출되었으며 그것은 요익중생과 이류중행으로 드러났다. 제9장 「분황 원효와 만해 봉완의 깨침과 나눔」에서는, 이들은 ‘세간적 삶’을 벗어나 ‘출세간의 삶’에 들어서 깨침과 깨달음을 얻은 이후 다시 ‘출출세간의 삶’, 즉 ‘입세간의 삶’을 통해 일심법과 유심법, 화회론과 혁신론, 무애행과 심우행을 중심으로 철학적 삶과 종교적 삶의 소통을 모색하였으며, 그들의 일심이문(진여/생멸)과 유심이문(일공/만유)의 철학적 구조를 종교적 실천으로 연결시켰다고 보았다. 제10장의 「춘원 이광수의 분황 원효 인식」에서는, 「신라의 발견」의 프로젝트를 주도하고 있는 엮은이와 그의 의견에 동참한 이들의 자기 정체성의 부정과 자기 역사의 타자화로 일관된 논구들은 모두 일제가 만들어낸 담론의 재승인이라고 할 수밖에 없다고 저자는 보았다.
제4부는 ‘분황 원효와 대한 불교사상’이란 주제로, 제11장 「분황 원효의 중도일심과 퇴옹 성철의 중도무심」에서는, 원효의 ‘중도일심’과 성철의 ‘중도무심’ 개념의 연속과 불연속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12장 「분황 원효의 일심과 묘공 대행의 한마음」에서는, 원효의 일심학이 일심지원과 일심, 일(각)미와 일심, 본각과 진여 등의 구도로 이루어지듯이 대행선의 가풍도 한마음 주인공과 한마음으로 이루어지는 일원상으로 구체화된다고 보았다. 제13장 「분황 원효의 염불관과 무주 청화의 염불선」에서는, 원효가 『아미타경소』와 『무량수경종요』 등에서 제시한 타력(他力)에 의한 왕생인(往生因)과 청화의 일상(一相)삼매와 일행(一行)삼매의 실천을 통한 ‘순선안심(純禪安心)’을 비교하고 있다. 그리고 마지막 제14장 「분황 원효 연구 논저 목록」에서는 지난 100여 년 동안의 원효 저술의 편서 및 역서, 원효 관련 단행본, 논문, 박사논문, 석사논문 순으로 정리하였다. 이들 논저 목록을 일별해 보면 분황 원효에 대한 연구사 자체가 곧 새로운 불교철학사를 써 가는 과정임을 체감할 수 있다.

3.
이처럼 이 책은 분황 원효의 사상적 지형을 기반으로 하여 동아시아 불교사상가 및 한국사상가를 통시적으로 조명함으로써 원효에 의해 새롭게 드러나는 동아시아불교와 한국불교의 지위와 위상을 재정립하고자 시도한 것이다. 이를 통해 원효가 구축한 불교사상이 얼마나 광대하고도 깊은 것이었는가를 새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책머리에ㆍ5
일러두기ㆍ19

제1부 분황 원효와 불교사상 27
제1장 동아시아 불교의 보편성과 특수성 29
1. 보편과 특수ㆍ29
2. 유식학: 아뢰야식으로서 일심ㆍ31
3. 기신학: 적멸/여래장으로서 일심ㆍ38
4. 화엄학: 진심으로서 일심ㆍ49
5. 선법학: 본법(本法)으로서 일심ㆍ55
6. 공통성과 독특성ㆍ64

제2장 한국불교의 전통과 원효 불학의 고유성 70
1. 전통과 근대ㆍ70
2. 인도ㆍ중국불교의 주체적 수용ㆍ73
3. 통일성과 개체성의 화쟁ㆍ78
4. 공통성과 유사성의 회통ㆍ98
5. 초종파성과 통합불교 지향ㆍ102
6. 물리적 비빔의 발효와 화학적 달임의 숙성ㆍ106

제2부 분황 원효와 동아시아 불교사상 111
제3장 분황 원효와 진제 삼장의 섭론학 이해 113
1. 객진번뇌염과 자성청정심ㆍ113
2. 유식학의 아리야식과 섭론학의 아마라식ㆍ117
3. 진제의 삼무성론과 아마라식관ㆍ122
4. 원효의 삼무성관과 아마라식관ㆍ134
5. 진제와 원효의 연속과 불연속ㆍ148
6. 본각의 결정성과 일심의 신해성ㆍ157

제4장 분황 원효와 자은 현장의 인명학 이해 163
1. ‘대승불설 논증’과 ‘유식비량 논증’ㆍ163
2. 현장과 원효의 접점과 『판비량론』ㆍ167
3. 승군과 현장의 비량 인식ㆍ174
4. 승군과 현장의 비량非量 인식에 대한 원효의 비판ㆍ182
5. 원효 인명론의 독자성ㆍ191
6. 리증의 논증식으로 교증의 논증식 비판ㆍ195

제5장 분황 원효와 문아 원측의 유식학 이해 200
1. 성불과 수행ㆍ200
2. 유식학에서 불성론과 종성론: 일승과 일심ㆍ203
3. 원측의 불성론과 종자론 이해: 일승과 불성의 회석ㆍ210
4. 원효의 불성론과 종성론 이해: 일심과 불성의 화회ㆍ224
5. 중도 구현, 성불론과 수행론의 지형ㆍ249
6. 일승의 불성 종성과 일심의 불성 종성ㆍ255

제6장 분황 원효와 현수 법장의 기신학 이해 258
1. 기신과 화엄의 긴장과 탄력ㆍ258
2. 교상판석을 보는 관점ㆍ261
3. 일심과 여래장 인식ㆍ275
4. 기신의 심식설과 삼세육추 배대ㆍ285
5. 인간 이해와 세계 인식ㆍ296
6. 일심과 여래장의 별위와 동위ㆍ301

제3부 분황 원효와 고려ㆍ조선 불교사상 305
제7장 분황 원효와 인각 일연의 화엄학과 선학 이해 307
1. 각승과 경초ㆍ307
2. 사상적 만남과 통로ㆍ312
3. 원효의 화엄과 선법ㆍ324
4. 일연의 화엄과 선법ㆍ337
5. 각승 가풍과 경초 선풍ㆍ358
6. 보살 선풍의 연속과 불연속ㆍ376

제8장 분황 원효와 경허 성우의 구도 정신 382
1. 일심과 조심ㆍ382
2. 구도 정신과 나눔 정신ㆍ385
3. 원효의 깨침과 경허의 깨달음ㆍ390
4. 경허의 조료심원(照了心源)과 원효의 일심지원(一心之源)ㆍ410
5. 원효의 요익중생과 경허의 이류중행ㆍ416
6. 구제의 사다리와 계율의 사다리ㆍ422

제9장 분황 원효와 만해 봉완의 깨침과 나눔 426
1. 거사 혹은 선생ㆍ426
2. 깨침과 깨달음 - ‘본래 마음’과 ‘본래 자리’ㆍ429
3. 일심법과 유심법ㆍ438
4. 화회론과 개혁론ㆍ447
5. 무애행와 심우행 - 대중교화론 대중불교론ㆍ464
6. 본래 마음과 본래 자리ㆍ470

제10장 춘원 이광수의 분황 원효 인식 472
1. 민족의 이익과 국가의 장래ㆍ472
2. 자기 정체성의 부정ㆍ473
3. 자기 역사의 무책임한 타자화ㆍ476
4. 이광수의 『원효대사』에 대한 일면적 해석ㆍ481
5. 고신도와 원효 불교의 왜곡된 인식ㆍ491
6. 신라의 역사와 신라 삼국통일의 역사ㆍ493

제4부 분황 원효와 대한 불교사상 495
제11장 분황 원효의 중도일심과 퇴옹 성철의 중도무심 497
1. 각자와 견자ㆍ497
2. 고타마 붓다의 깨침 - 중도연기ㆍ500
3. 분황 원효의 깨침 - 중도일심ㆍ514
4. 퇴옹 성철의 깨침 - 중도무심ㆍ535
5. 원효와 성철의 중도관ㆍ555
6. 중도일심과 중도무심ㆍ562

제12장 분황 원효의 일심과 묘공 대행의 한마음 567
1. 일심과 한마음ㆍ567
2. 일심과 한마음의 접점ㆍ569
3. 원효 일심의 지형과 구조ㆍ580
4. 대행 한마음의 지형과 구조ㆍ589
5. 일심과 한마음의 접점과 통로ㆍ604
6. 일심지원인 아마라식과 일심인 아리야식ㆍ612

제13장 분황 원효의 염불관과 무주 청화의 염불선 618
1. 염불관과 염불선ㆍ618
2. 염불 즉 선정ㆍ621
3. 원효의 염불관ㆍ626
4. 청화의 염불선ㆍ637
5. 원효와 청화의 통로ㆍ643
6. 유심의 정토와 순선의 정토ㆍ647

제14장 분황 원효 연구 논저 목록 650
원효 관련 단행본ㆍ658
원효 관련 학술 논문ㆍ674
원효 관련 학위 논문ㆍ797

찾아보기ㆍ814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