ㆍ 국내외 평론가들이 톺아보는 문화콘텐츠 여섯 개 분야 ㆍ
[영화] 파묘
1. 우리는 무엇을 물리치려 한 것일까 (안숭범) 입체적 캐릭터와 민족 정체감의 공유를 통해 한국형 오컬트 장르의 새로운 출구를 모색한 〈파묘〉의 성공 요인을 분석한다.
2. 역사 속 악령을 퇴치하다 (앨버트 리) 〈파묘〉는 해외에서도 큰 인기를 끌며 온라인상에서 관객과 상호작용 및 재해석을 활발하게 일으키고 있다. 영화의 역사적 배경, 등장인물, 서사구조 등을 짚어보며 그 원인을 파악해 보았다.
[드라마] 눈물의 여왕
1. 공공의 판타지, 〈눈물의 여왕〉 그 과잉의 미학 (조한기) 박지은 작가가 그동안 구축해 온 ‘과잉의 미학’이 〈눈물의 여왕〉에서 어떻게 드러나는지, 낭만적 사랑과 정서적 호소가 드라마의 성공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보여주고 있다.
2. 〈눈물의 여왕〉 속 친밀감과 로맨스 (파수트 라수카) 드라마 〈눈물의 여왕〉에서 나타나는 친밀감과 애정에 대한 독특한 접근 방식을 통해 기존 로맨스 장르의 변화 가능성을 탐색한다.
[K-팝] 뉴진스, 《Supernatural》
1. 글로벌 아이콘을 향한 여정 (김태룡) 초국가적ㆍ초시대적 정체성을 지닌 그룹 뉴진스가 글로벌 아이콘으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을 최근 싱글 《Supernatural》을 통해 분석해 본다.
2. 《Supernatural》이 만들어낸 글로벌 K-팝의 새로운 고지 (야마모토 조호) 오랫동안 물리적인 판매에 의존해 온 K-팝 산업의 변화를 선도하는 뉴진스의 행보를 《Supernatural》에 포커스를 두어 재구성했다.
[예능] 서진이네 2
1. 감당할 수 있는 메타-컬처의 환상 (김세익) ‘감당할 수 있는 환상’이라는 키워드로 대표될 수 있는 나영석식 예능의 변천 가운데 〈서진이네 2〉만이 지닌 차별점과 독특한 매력을 ‘문화 전파’라는 관점에서 살펴본다.
2. 이방인, 주체적 상상, 혼종성 (천원징) 전통에 뿌리를 두고 세계화된 한국 대중문화는 소프트파워를 통해 새로운 타자를 상상하고 자아를 구축한다. 한식으로 아이슬란드에 진출한 〈서진이네 2〉에서는 이러한 혼종성을 구체적으로 만날 수 있다.
[게임] 스텔라 블레이드
1. 한국 게임산업의 미래를 보여준 〈스텔라 블레이드〉 (이승제) 콘솔게임으로 성공을 거둔 〈스텔라 블레이드〉의 영상미, 공간 구성, 전투 액션의 매력을 요소별로 분석했다.
2. 한국 싱글 플레이어 게임의 보석 (리처드 시그레이브) 〈스텔라 블레이드〉를 소니의 PS 5의 대표작으로 평가하면서, 퍼즐과 플랫포밍 미션 등과 뛰어난 비주얼, 절묘한 사운드트랙, 흥미로운 스토리를 타 게임과 비교하여 설명한다.
[웹툰] 세이렌: 악당과 계약가족이 되었다
1. 구원에 의한, 구원을 위한 이야기 (한유희) 로맨스 판타지 장르의 웹툰 〈세이렌〉은 기존 장르 문법을 따르면서도 가족, 선, 의지, 구원을 통해 오히려 ‘지금-여기’의 가치를 새로이 재편하는 서사를 만들어낸다고 설명한다.
2. 자립적인 여성이 세계를 정복한다 (달마 칼로비치) 한국 웹툰이 일본과 미국 등 세계 시장을 사로잡은 전략을 분석하고, 특히 〈세이렌〉과 같이 강인하고 독립적인 새로운 형태의 여주인공을 내세운 최근 한국 로판 장르 웹툰 트렌드를 살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