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전립선 건강을 지키고 각종 전립선 질환의 위협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이들에게 믿을 수 있는 지침과 구체적인 해답을 제공하는 전립선 건강 지침서이다. 서울아산병원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이대서울병원에서 비뇨의학과 교수를 역임하고 현재 SNU건전비뇨의학과 대표원장으로 있는 저자가 다년간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쉬우면서도 깊이 있게, 자세하면서도 포괄적으로 다양한 궁금증들에 대한 답을 정확하고 명쾌하게 풀어냈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전립선비대증에서 전립선암까지, 전립선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기본 생활수칙부터 로봇수술, 고강도 초음파 집속술(HIFU), 중입자 치료, 다중 ADP-리보스 중합효소(PARP) 길항제, 루테시움 표적치료와 같은 최신 치료법까지 전립선에 대한 모든 정보를 망라해 자세하게 안내하고 설명한다.
특히 이 책에서 소개하는 전립선비대증, 전립선암, 기타 전립선 관련 질환들에 대한 총체적이고 실질적인 85가지의 조언과 해결책은 환자와 가족은 물론, 타 분야 의료진이나 비뇨의학과 전공의들에게도 유용한 정보가 될 것이다. 전립선과 관련된 다양한 질환을 이해하고, 진단ㆍ치료하며, 악성 암으로의 진행을 예방하는 데 필요한 포괄적인 지식을 제공하는 이 책이 모든 남성에게 실용적인 전립선 건강 가이드이자 고령화 시대의 필수적인 지침서가 되어줄 것이다.
▣ 책에 대한 찬사
환자들이 자주 하는 질문들에 대한 답을 엮어 만든 이 책은 전립선에 관심이 있는 일반인이라면 누구나 이해하기 쉬운 내용으로 쓰였으며, 전립선의 A부터 Z까지 환자들이 궁금해할 만한 내용의 답을 최신의 지식으로 총망라한다. 이 책이 전립선 문제로 고민하는 많은 이들에게 바이블이 될 것이라 확신한다.
- 이상은(前 대한전립선학회 회장)
초고령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대한민국의 현실에서 이 책은 매우 시의적절하다. 전립선의 해부학적 구조에서부터 전립선비대증, 전립선암의 최신 치료에 이르기까지 전립선에 대한 모든 것을 다루면서도 내용에 깊이가 있어 일반인뿐만 아니라 다른 과 의사 혹은 비뇨의학과 전공의들에게도 매우 유용한 책이 될 것이다.
- 서성일(現 대한비뇨의학회 회장)
새로운 전립선암 치료법들이 계속해서 제시되지만 치료에 대한 정보는 항상 부족한 전립선암 환자들에게, 이 책은 전립선암의 원인부터 진단과 치료 방법까지 최신의 내용을 풍부하게 제공한다. 특히 환자들이 많이 궁금해하는 최신 치료법들을 다루고 있어 전립선암 환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안한종(前 대한비뇨기종양학회 회장)
▣ 책 내용
이 책은 총 12장 85절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다룬다.
먼저 1장 ‘전립선 이해하기’에서는 전립선의 역할과 전립선에 생길 수 있는 문제의 유형, 기본적인 전립선 관리 방법을 소개하며 전립선 건강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2~5장에서는 전립선비대증의 원인과 증상, 진단 방법과 함께 생활습관, 약물치료, 수술치료 등을 살펴본다. 구체적으로 2장 ‘전립선비대증 이해하기’에서는 전립선비대증의 기전과 진단, 발기부전과의 상관관계, 전립선암으로의 발전 가능성 등을 설명하고, 3장 ‘전립선비대증과 생활습관’에서는 생활습관 관리, 건강기능식품의 효과와 부작용, 한방치료의 가능성을 짚는다. 4장 ‘전립선비대증의 약물치료’에서는 약물치료의 방법과 효과, 부작용의 문제를, 5장 ‘전립선비대증의 수술치료’에서는 전립선비대증 수술의 적응증, 일반적인 수술 방법, 병원 선택, 최신의 치료법과 수술법 등에 대해 심층적으로 소개한다.
6~11장에서는 전립선암의 원인과 초기 증상, 진단 과정부터 치료와 예후 관리, 생활습관 등의 내용을 다룬다. 6장 ‘전립선암 이해하기’에서는 전립선암의 발생 원인과 예방 방법을, 7장 ‘전립선암의 진단’에서는 PSA 검사, 조직검사 등의 진단 절차를, 8장 ‘전립선암 치료 계획 정하기’에서는 암의 진행 단계별 치료 계획을 설명한다. 9장 ‘국소 전립선암의 치료와 예후’는 초기 전립선암의 다양한 치료법으로서 로봇수술, 방사선 치료, 고강도 초음파 집속술(HIFU), 중입자 치료 등과 치료 후의 예후를 논하며, 10장 ‘진행성 전립선암의 치료와 예후’ 역시 전이성 전립선암의 다양한 치료법인 다중 ADP-리보스 중합효소(PARP) 길항제, 루테시움 표적치료 등과 다양한 신약 개발 현황을 다룬다. 11장 ‘전립선암과 생활습관’에서는 치료 중에 섭취하면 좋은 음식과 영양 섭취, 회복을 돕는 생활습관을 안내한다.
마지막으로 12장 ‘기타 전립선 질환’은 전립선염과 관련된 증상, 진단, 치료, 재발 문제를 포함해 전립선 결석, 정액 이상 등 드물게 발생하는 전립선 문제들까지 포괄적으로 짚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