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부학에 대해
가장 체계적으로 정리한 입문서
예수님께서 사도들에게 복음 선포의 사명을 부여하시고 승천하신 후, 사도들은 온 힘을 다해 세계 곳곳에 주님의 기쁜 소식을 전했다. 이 사도들의 뜻을 이어받은 이들이 바로 ‘교부’들이다. 교부는 글자 그대로 ‘교회의 아버지’(敎父)로, 그들은 자신들이 전해 받은 성경과 전승을 통해 그리스도교를 전파하고 교회의 체계를 세웠다. 따라서 신학을 공부하는 이라면 교부들에 대해 반드시 알아야 한다. 그러나 교부와 관련된 내용을 공부하는 것은 만만치 않다. 생소한 이름이나 작품들이 많고, 그들이 쓴 저서는 원어가 그리스어나 라틴어로 되어 있어 접근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신학을 공부하는 이들이 부담 없이 읽을 수 있는 교부학 도서가 나왔다. 바로 《교부학 입문》이다. 이 책은 대전가톨릭대학교에서 20년 넘게 교부학을 가르쳐 온 이상규 신부가 쓴 것으로, 교부들에 대한 모든 내용을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신학생은 물론, 교부들에 대해 알고 싶어 하는 이들이 쉽게 읽을 수 있도록 쓴 첫 번째 책이기에 교부들에게 거리감을 느낀 사람들도 이 책을 통해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계시 헌장〉에서는 교부들에 대해 이렇게 언급한다. “교부들의 말씀은 믿고 기도하는 교회의 일상 가운데 풍부히 흐르며, 전승이 생생하게 살아 있음을 보여 준다.” 따라서 교회의 전승에 중요한 몫을 차지하는 교부들과 그들의 문헌을 아는 것은 하느님의 계시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다.
- ‘머리말’ 중에서
교회의 기초를 닦은 교부들을
한눈에 만날 수 있는 책
《교부학 입문》은 총 3부로 이루어져 있다. 제1부에서는 교부의 정의와 교부학의 중요한 내용을 배우기 전에 반드시 알아야 할 기본적인 사항을 알려 준다. 제2부는 가장 핵심적인 내용으로, 사도 교부부터 시작하여 중세 스콜라 시대에 들어서기 전인 교부 말기까지, 각 시대별 주요 교부들의 생애, 저서, 가르침을 다룬다. 특히 영지주의 이단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여 이단으로 단죄받은 인물들에 대해서도 언급하여 보다 균형 잡힌 시각을 제공한다. 그리고 각 장의 마지막에는 ‘신학적 반성’ 부분을 통해 내용을 정리할 수 있도록 돕는다. 마지막 제3부에서는 교부들의 문헌 양식에 따라 순교 문헌, 수도 생활 문헌, 시문학 등을 살펴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교부학’이라고 하면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다. 하지만 이 책은 국내 독자들을 위해 오랜 시간 저자가 준비해 온 최적의 입문서다. 따라서 신학을 공부하는 이라면 이 책에서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교부들이 복잡한 시대 속에서 어떤 고민을 품고 글을 쓰고 사상을 펼쳐 나갔는지 탐구하다 보면, ‘교부학’을 배우는 차원을 넘어, 우리가 믿는 종교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것이다.
교부들은 진정한 가톨릭 전승(Traditio)을 증언하고 보증해 주는 분들로서 우리 시대의 신학적 문제에도 그들의 지대한 영향력은 계속되며, 권위 또한 계속 발휘된다.
- 본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