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담집은 『푸른사상』 2019년 봄호부터 2020년 가을호까지 ‘신동엽 시인 50주기 특별 대담’으로 다섯 차례 발표한 것을 정리해서 묶은 것이다. 대담집의 내용은 제1부 신동엽 시인의 생애, 제2부 시 세계, 제3부 장편서사시 「금강」 읽기, 제4부 산문 세계, 제5부 신동엽 시인의 아내이자 짚풀생활사박물관장인 인병선의 생애와 활동 등이다.
이 대담집은 이전에 나온 연구 논문이나 여타의 글들과는 차원이 다르게 신동엽의 삶과 작품 세계를 전체적이면서도 구체적으로 고찰하고 있다. 신좌섭은 신동엽의 아들로서 또 시인으로서 신동엽이 추구한 작품의 본질을 꿰뚫고 있다. 그 누구보다도 신동엽의 시 세계를 사랑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 대담집은 신동엽의 연구에 필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중략)
신동엽 시인에 대한 자료 발굴과 연구는 현재진행형이다. 이 대담집이 그 중 한 가지로 신동엽의 삶과 시의 이해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이 책은 한국 시문학사에 뚜렷한 발자취를 남긴 신동엽 시인의 삶과 문학을 조명한 대담집이다. 계간지 『푸른사상』 2019년 봄호부터 2020년 가을호까지 ‘신동엽 시인 50주기 특별 대담’으로 다섯 차례 발표한 글을 한 권으로 묶은 것이다. 신동엽 시인의 아들인 신좌섭과 맹문재 시인이 나눈 대담에는 신동엽이 추구한 작품의 본질이 담겨 있다. 이 책에는 시인의 생애와 작품 세계를 세밀하게 다루었고, 시인의 사진과 자료들도 풍성하게 실었다.
1부에는 신동엽 시인의 가족 관계 및 유년 시절부터 대학까지의 생활을 정리했다. 나아가 결혼과 가정생활, 직장과 문학 활동, 오페라와 가극 활동 등을 정리했다. 신좌섭의 제적 초본과 신동엽 아버지인 신연순의 친필 글씨, 신동엽의 어린 시절 사진 등을 공개했다. 2부에서는 신동엽의 대표작인 「껍데기는 가라」를 비롯해서 「종로5가」 「아니오」 등 시 작품을 정밀하게 읽었다. 3부에서는 한국문학사의 기념비적 작품인 장편서사시 「금강」을 집중적으로 살폈다. 시에 쓰인 시어, 창작 동기, 일화, 역사의식, 시문학사적 의의 등을 논했다. 4부에서는 신동엽 시인의 산문 세계를 조명했다. 5부에서는 시인의 아내이자 짚풀생활사박물관 관장인 인병선의 삶과 문학을 정리했다.
한국 현대사를 오롯이 겪어낸 시인의 외침과 진실이 오롯이 시에 녹아 있음을 이 책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시인이 보여준 언어들의 강렬함과 역사성에 대한 논의가 담긴 이 대담집은 신동엽 연구에 필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