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에 있어서 사회보장은 전체 국민에 대한 보편적 개념으로써 복지증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에 대한 각 제도의 분석과 문제점을 밝히고 발전방향 및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적 위험에 의한 빈곤에 대한 예방ㆍ보호를 위한 각종 제도의 분석이 필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이 과목을 통해 사회복지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사회보장제도가 담고 있는 개념을 이해하고 방향을 제시하였다. 그 방향성에 따라 재정ㆍ운영ㆍ급여체계 등의 이해를 높이고, 정부가 시행하는 중ㆍ장기 발전 방향과 추진 계획, 그리고 전략 등을 제시하기 위하여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보장정책을 학문적인 관점에서 전반적인 내용을 연구할 수 있게 하였다.
따라서 사회보장의 형성 및 변화과정과 사회보장과 관련된 각종 제도들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살펴보고 발전 방향을 논하였다. 이를 통해 사회보장제도에 대한 분석능력을 제고하고, 궁극적으로는 사회복지 발전에 기여하고자 이 과목을 저술하였다.
본 교재는 총 12장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장마다 마무리에 핵심적인 키포인트를 선정하여 비교ㆍ설명함으로써 학습에 필요한 요점들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저술하였다.
본 교재는 사회복지학과에서 사회복지를 공부하는 학생, 사회복지현장의 실천가,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은 물론 사회복지와 관련된 모든 분들에게 도움이 되도록 하는 동시에, 사회보장정책을 관장하는 전문가들의 정책입안에도 기여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