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2025 한국군 무기연감

2025 한국군 무기연감

  • 안승범
  • |
  • 디펜스타임즈
  • |
  • 2025-12-23 출간
  • |
  • 506페이지
  • |
  • 170 X 220 X 21mm
  • |
  • ISBN 9788998155070
판매가

39,500원

즉시할인가

35,55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5,55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무기 운용 트렌드’를 급변시킨 우크라이나전쟁

2024년 12월 《한국군 무기연감》이 어느덧 출간 아홉 번째를 맞이했습니다. 2010년 11월 23일, 북한의 연평도 포격 당일 인쇄한 《2011 한국군 무기연감》이 처음으로 나온 지 햇수로 만 13년이 지났습니다. 《한국군 무기연감》이 한국을 대표하는 무기연감을 넘어 자랑스러운 K-방산무기체계의 ‘바이블’로 자리 잡게 된 것은 오로지 독자 여러분들의 관심 덕분이라고 생각합니다.

2025년 벽두에도 한반도의 안보 상황은 여전히 불안정합니다. 지난 20년간의 대테러전쟁에 이어 우크라이나 전쟁과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하마스 간 전쟁의 여파로 무기체계의 운용 트렌드가 급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우리 군에도 그대로 반영되고 있어, 이번 《2025 한국군 무기연감》부터는 기존의 격년 발행에서 매년 발행으로 전환해 한국군 무기체계의 변화상을 실시간 반영하기로 했습니다.

《2025 한국군 무기연감》은 고도화하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최근 우크라이나 전쟁과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의 무기체계 패러다임의 변화를 전력 발전에 반영하려는 우리 군의 노력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기 위해 지면을 대폭 쇄신했습니다. 《2025 한국군 무기연감》은 2024년 11월 30일 현재 우리 군이 보유하고 있는 총 419개의 무기체계를 538장의 컬러사진과 함께 실었습니다.

또 K-2 전차, K-9 자주포, 천궁-Ⅱ 중거리 지대공 미사일, K-239 천무 다연장로켓, 2.75인치 유도로켓 비궁, FA-50 경전투기 등 현재 수출이 이뤄지고 있는 K-방산의 명품 무기들과 해군의 이지스 구축함 정조대왕함, 공군의 국산 전투기 KF-21 보라매 등 해ㆍ공군을 대표하는 무기체계들을 영문으로 소개해 해외 마케팅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2024-2025 한국군 무기연감》에 수록한 무기체계가 436개였고, 지난해와 달리 도태된 무기체계와 장비는 미미하고, 신규로 편성된 무기체계들이 많습니다. 도태된 무기라면 국토부 연구개발 과제로 개발한 KC-100을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공군 사관생도용 비행실습용으로 개량해 쓰고 있던 KT-100 훈련기 정도입니다.

육군편은 206개에 달하는 무기체계를 정리했습니다. 육군 편은 우리 군이 보유하고 있는 무기체계를 소총부터 미사일까지 일목요연하게 간추렸습니다. 육군의 신규 무기체계를 보면, ‘괴물 미사일’로 불리는 현무-5가 강력한 보복력을 챙기고 있습니다. 2023년 공개된 현무-4는 탄두 중량이 2t이지만, 올해 국군의 날 선보인 현무-5는 탄두 중량이 8t에 달합니다. 현무-5는 북한 지휘부가 은신한 지하 벙커를 파괴하는 미사일로, 한국형 3축 체계 중 하나인 대량응징보복수단입니다.

그다음으로 ‘드론 킬러’로 알려진 ‘레이저 대공무기 블록-Ⅰ(천광)’이 등장했습니다. ‘천광’은 하늘 천(天) 자와 레이저를 상징하는 빛 광(光) 자를 합성한 이름으로, 전기만 공급되면 운용할 수 있고, 1발당 소요 비용도 2000원에 불과합니다. 따라서 북한의 조악한 무인기에 대응하기 위해 고비용의 20㎜ 벌컨, 30㎜ 차륜형 대공포, 휴대용 지대공 유도무기 ‘신궁’, 중거리 지대공 유도무기 ‘천궁’을 투입할 필요가 없는 획기적 무기체계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육군이 천둥과 같이 적을 타격한다는 의미에서 ‘우레’라도 명명한 전술지대지 유도무기(KTSSM)도 본격적으로 양산배치를 시작했습니다. 그러니까 보복력과 방어력을 육군이 강화하고 있는 겁니다. 그다음에 LAH 경공격헬기가 도입을 시작했습니다. LAH는 전력배치와 더불어 용을 뜻하는 ‘미르’, 100을 뜻하는 ‘온’을 합쳐 ‘미르온’이라는 명칭을 부여받았습니다.

헬기 전력과 더불어 우크라이나 전쟁의 전훈을 통해 전장의 대세인 드론 전력의 실전배치 차원에서 폴란드의 자폭 드론을 실전에 배치하고 있습니다. 우리 군은 폴란드산 자폭 드론 ‘워메이트’를 도입해 2024년 말 육군 작전부대와 드론작전사령부에 배치에 들어갔습니다. 워메이트는 우크라이나가 러시아를 상대로 운용하며 성능을 인정받은 공격용 드론입니다. 계약 물량은 200여 대 수준으로 알려졌습니다.

해군 편은 100개의 무기체계를 정리했습니다. 해군은 고도화하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한 대응능력을 확보하기 위해 ‘해상기반 한국형 3축 체계’ 구축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습니다. 얼마 전 북한이 ‘전술핵 공격 잠수함’이라 주장하는 잠수함을 진수하는 등 수중 위협이 증대되고 있어, ‘수중 킬체인’ 구축에도 심혈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해군의 신규로 도입되는 무기체계를 보면, 우선 ‘광개토-Ⅲ 사업’(Batch-Ⅱ)의 첫 번째 이지스구축함인 정조대왕함(DDG·8200t급)이 2024년 12월 취역했습니다. 정조대왕함의 배치로 우리의 이지스 구축함은 4척 체제가 됐습니다. 2025~2026년 Batch-Ⅱ의 나머지 두 척의 건조가 완료됩니다. 본격적인 이지스 구축함 체계를 갖춘 해군은 보조전력이라 할 수 있는 차기 호위함 3차선(FFG-Ⅲ) 충남함까지 2024년 12월 말 확보했습니다. 2026년부터는 나머지 5척의 차기 호위함이 해군에 인도될 예정입니다. 차기 호위함은 ‘미니 이지스함’으로, 현재 해군에서 운용 중인 구형 호위함(FF)과 초계함(PCC)을 대체하게 됩니다.

또 해군은 최강의 잠수함 킬러로 불리는 해상초계기 P-8 ‘포세이돈’ 6대를 2024년 7월 국내로 들여왔습니다. 앞으로 ‘해상기반 3축 체계’의 핵심 역할을 할 예정인데, 북한의 SLBM을 장착한 잠수함을 집중적으로 감시하면서 한반도 영해에 대한 장악력을 한층 높여갈 것으로 보입니다.

2024년 9월 해군은 미국 록히드마틴의 해상작전용 헬리콥터 ‘MH-60R(시호크)’ 1호기를 인도받은 데 이어, 2025년 1월 MH-60R 12대 체제를 완비하게 됩니다. 해군의 세종대왕급 이지스 구축함과 함께 강력한 대잠 작전 능력을 보유할 것으로 보입니다. 2021년 9월 도산안창호함은 국내 최초로 SLBM ‘현무 4-4’를 성공적으로 발사했습니다. 해군은 장보고3 잠수함 배치1 3척 체제를 완비하고, ‘잠수함의 SLBM 보복능력’까지 완비하게 됐습니다.

해병대 편에는 K1A2 흑표 전차, 해병대 상륙공격헬기, 강력한 타격력을 가진 다연장로켓 천무, 한국판 재블린으로 불리는 ‘전차 킬러’ 현궁 대전차 미사일 등 새로 보강된 무기체계 30개를 소개했습니다. 현재 KAAV-Ⅱ 차기상륙돌격장갑차, 상륙공격헬기 등의 수륙양용/공중전력을 개발, 확보하고 서북 도서용 UAV(무인기), AI(인공지능) 기반의 과학화 경계 체계 등 도서 방위용 전력 확보를 진행 중입니다.

공군 편에는 총 83개의 무기체계를 실었습니다. 공군은 F-35A 20대를 추가 도입하는 F-X 2차 사업을 통해 ‘킬체인’ 능력을 강화하고, 또 다른 최첨단 전투기 전력인 F-15K 슬램이글 전투기 59대를 전자주사식 레이더 등을 장착하는 개량 사업을 동시에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공군은 2028년 이후 한반도 유사시 제공권 장악 직후 남아 있는 나머지 주요 목표물의 정밀타격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됐습니다.

이스라엘 하마스 전쟁에서 이스라엘공군은 F-16, F-15, F-35 세 기종으로 하마스와 헤즈볼라를 폭격해 전쟁의 의지를 초기에 꺾었고, 좁은 지역에서 ‘아이언돔’이라는 효율적 방공망으로 이란과 하마스의 미사일과 포탄을 막아냈습니다. 우리 공군은 이스라엘과 같은 3종 전투기 세트와 ‘GBU-12’와 같은 공대지 레이저 정밀 유도폭탄과 같은 무기체계를 확보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게 했습니다.

공군은 대탄도탄의 방어능력을 본격적으로 강화하고 있습니다. 육상 요격 장거리 지대공 미사일(L-SAM)의 체계 개발 완료 소식은 한국형 미사일방어체계(KAMD)의 사실상 ‘완성’을 알리는 낭보였습니다. L-SAM은 2023년 5월 전투용 적합판정을 받았고, 2024년 체계 개발을 완료하고 2025년 양산에 들어갑니다. 국방과학연구소(ADD)는 ‘한국형 사드(THAAD)’로 불리는 L-SAM은 고도 40~70㎞에서 날아오는 북한의 탄도미사일이나 항공기를 요격할 수 있습니다. 2020년대 후반쯤 L-SAM이 실전에 투입되면 현재 패트리엇(15~40㎞), 천궁Ⅱ(15~30㎞)와 주한미군의 사드(40~150㎞)와 결합해 KAMD는 사실상 ‘완성단계’에 들어섭니다.

2025년에는 전투기 전력과 수송기 전력은 큰 변화가 없습니다. 다만 방위사업청이 2005년에 배치된 주력전투기 F-15K 59대의 개량 사업 착수에 돌입했습니다. 능동전자식 위상배열(AESA) 레이더를 추가하고 능동ㆍ수동형 경고 및 생존성 체계(EPAWSS) 등을 갖춰 4.5세대 전투기로 만드는 게 목표입니다. E-7 조기경보통제기 4대 도입계약도 2025년 상반기에 계약이 이뤄질 전망이어서, 현재 총 4기의 E-7 공중조기경보통제기와 함께 8대 체제로 운용할 수 있게 됐다.

《2025 한국군 무기연감》은 부록으로 ‘2024~2028 국방중기 계획’을 비롯해 2006년 4월부터 2024년 12월까지 방위사업추진위원회가 의결한 ‘방위사업추진위원회 결의 사항일람’을 수록해 우리나라 무기 개발의 역사를 한눈에 파악하도록 했습니다. 《한국군 무기연감》 통권 9권 출간을 도와주신 국방부와 산하기관 관계자분들, 그리고 한국방위산업진흥회와 국내·외 방산업체에 깊이 감사드립니다. 모쪼록 이 연감이 독자 여러분들에게 변모하는 우리 군의 전력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지침서가 되기를 희망해 봅니다.

2024년 12월 15일

오동룡 월간조선 군사전문기자
안승범 디펜스타임즈 대표

목차

머리말 002
‘무기 운용 트렌드’ 급변시킨 우크라이나전쟁

대한민국 육군
Republic of Korea Army

북한 핵·미사일에 대응하기 위해 전략사령부 발족

육군 전력 일람 26

기동

주력 전차

K2 전차 28
K2A1 전차 34
K1A2 전차 35
K1/K1E1 전차 36

장갑차

K21 보병전투장갑차 38
K200/K200A1 보병전투장갑차 40
K277 지휘장갑차 40
레드백 차세대 보병전투장갑차 41
K806/K808 차륜형 장갑차 42
차륜형 지휘소 장갑차 45

기동 지원 장비

K600 장애물 개척전차 47
K1 교량전차 48
K1 구난전차 48
K21 경구난장갑차 49
K288A1 구난차량 49
KM9ACE 공병장갑차 50
리본부교 50
문교와 부교 51
KM138 한국형 지뢰 살포기 51
원격 무선폭파 세트 52
M3K자주도하장비 수룡 53
회로지령탄 53
KM180 액체폭약 도로대화구 54
KM481/KM482 테이프형 폭약 55
파괴통 55

차량

소형전술차량 58
중형전술차량 59
통제차량 60
소형전술차의 계열차량 61
전술지휘통제차량 64
K532 전술지원차량 64

화력

소화기

K1A 기관단총 66
K13 기관단총 67
K2 소총 69
K2C1 소총 70
K16E 기관총(공축형) 71
K16 기관총(기본형) 71
K16D 기관총(승무원형) 71
K3 경기관총 72
K15 기관총 72
K4 고속 유탄기관총 74
K201 유탄발사기 75
K5 권총 76
K6 중기관총 77
K7 소음기관단총 78
K12 기관총 78
K14 저격용소총 79

특수부대용 총기

FNH SCAR-L 소총 80
M107A1 대물 저격용 소총 80
M110 SASS 저격소총 81
AW50 저격소총 81
92FS 베레타 권총 81

예비군용 총기

M16A1 소총 82
M1911A1 콜트거버먼트 권총 82
38 스페셜 리볼버 권총 83
M60 기관총 83

박격포

KM181 60mm 박격포 84
KM187 81mm 박격포 85
KM114 81mm 박격포-II 85
KM30 4.2인치 박격포 86
K242A1/K281A1 박격포 탑재 장갑차 86
120mm자주박격포 87

야포

K9A1 155mm 자주포 90
K9A1 개량형 자주포 92
K9A2 155mm 자주포 94
K9A3 자주포 95
K55A1 155mm 자주포 96
K105A1 105mm 차륜형 자주포 98
KH179 155mm 곡사포 99
M101 105mm 곡사포 101
K10 탄약운반장갑차 101
K56 탄약운반장갑차 103
K77 사격지휘장갑차 103

포병지원장비

대포병탐지레이더2 천경 104
AN/TPQ-36/37 대포병레이더 105
아처 대포병 레이더 106
TAS-1K 포병 관측장비 106
레이저 거리측정기 107
사격제원계산기 107
이동형 기상관측 장비 107
동부지역 전자전 장비 107

로켓

K239 다연장로켓 천무 109
M270/M270A1 다연장로켓 발사시스템 111
KTSSMⅠ 전술 지대지 유도무기 112
KTSSMⅡ 113
KTSSMⅢ 113

대전차무기 중거리 보병 유도무기

중거리 보병용 유도무기 현궁 114
BGM-71 토우 대전차미사일 116
메티스-M 117
판저파우스트-III 117
M40A2 106mm 무반동총 118
M67 90mm 무반동총 118
M230 30mm 기관포 119
M197 20mm 기관포 120
20mm 국산 기관포 120
M134C 미니건 121
HMP250 50구경 기관총 포드 121

탄약 및 공격드론

155mm 사거리 연장탄 124
127mm 사거리연장탄 125
76mm 철갑고폭탄 125
탄약투하공격 소형드론 126
투하공격 모듈 126
다목적 전투드론-2 127
다목적 전투드론-7 127

수류탄 및 지뢰

M18A1 클레이모어 128
인마살상용 수류탄 128
대인용 지뢰 130
M19 대전차지뢰 130
NMD9, GDS-17K 지뢰탐지기 131
M58 지뢰지대 개척 선형폭약(미클릭) 131
포민스2 휴대용 대인지뢰 제거장비 132
PRS-20K 지뢰탐지기 132

유도

지대지미사일

현무2 지대지 탄도미사일 135
현무4 지대지 탄도미사일 137
현무3 지대지 순항미사일 138
현무5 지대지 탄도미사일 140
육군 전술유도탄 시스템(에이태킴스) 141

지대공미사일

천마 단거리 지대공미사일 142
신궁 휴대용 지대공미사일 143
미스트랄 지대공미사일 144

항공

헬리콥터

KUH-1 수리온 기동헬기 147
블랙호크 헬기 개량사업 148
UH-60 블랙호크 149
CH-47D/L 치누크 151
CH-47F 블록1 치누크 대형기동헬기 153
AH-64E 아파치 가디언 154
AH-1S 코브라 156
BO-105 CBS5 경전투 헬기 157
500MD 정찰형 헬기 158
LAH 소형무장헬기 161

무인항공기

송골매 군단급 정찰용 무인항공기 162
헤론 정찰용 무인항공기 163
서처 무인정찰기 163
폴란드 자폭드론 3종 세트 164
RQ-120K 사단급 정찰용 무인항공기 166
리모아이 대대급 정찰용 무인항공기 166

방공

대공포 및 방공레이더

K-30 비호복합체계/K-3030mm 대공포비호 168
30mm 차륜형 대공포 170
KM167A3 20mm 발칸포 171
20mm 견인발칸포 172
TPS-830 저고도 방공레이더 173
국지방공레이더 173
근거리 감시레이더 173
LAMD 장사정포 요격체계 174

기본 군장 및 수색대 군장

7인승 고속보트 176
수중구명대/수중추진기/잠수복 177
전술용 낙하산 177
M7 대검 177
방탄조끼 178
방탄헬멧 178
군용 기능성 전투화 179

통신·화학

통신기 182
B2CS 지휘장치 182
ATCIS 지휘체계 183
TICN 전술정보 통신체계 183
전술이동항법장비 184
지휘통신장비 185
위치보고 접속장치 185
TS1 차량용 위성 단말장비 185
이동형 마이크로웨이브 장비 185
KAN/VRC-47, VRC-94K 무전기 186
MST 이동무선전화기 186
PRC-85K 무전기 186
PRC-96K 소부대 무전기 187
소부대용 전술교환기 187
TA-512K 전자식 전술전화기 187
TTC-95K 전술용 전자식 교환기 188
스파이더 전술통신체계 189
TAS-815K 열영상 감시장비 190
TAS-970K 열영상 감시장비 190
DCL120 K6 중기관총 도트사이트 191
KAN/PVS-4 개인화기 야간조준경 191
KAN/PVS-5 공용화기 야간조준경 191
GPNVG-18 야간투시경 192
KAN/PVS-7 개인화기 야간투시경 193
KITE 야간투시조준경 193
PVS-04K 야간투시경 193
PVS-05K 주야간조준경 195
PVS-98K 주야간 관측장비 195
PVS-11K 개인화기 주야조준경 195
TPS-224K 지상감시장비 196
UGO 주야간 겸용 투시경 196
소화기 야간표적 지시기 196
정수장비세트 197
생물독소감시기 197
방독면 198
화생방 장비 199
양압식 자동공기 호흡기 199
GASTAC 탐지기 201
KCAM2 화학탐지기 201
PDR-1K 방사능 측정기 201
K10 제독차 201
화생방정찰차2 202
방사능 탐지차량 203
M3A4 발연기 204
K221 발연 장갑차 204
K318/221 적외선 차폐 겸용 발연체계 204

무인지상차량

무인지상차량 205
무인지상차량 206
4족 보행로봇 비전 60 207

대한민국 해군
Republic of Korea Navy

2025년 ‘해상기반 한국형 3축 체계’ 구축 본격화

해군 전력 일람 214

함정

잠수함

장보고급 잠수함 222
손원일급 잠수함 223
도산안창호급 중잠수함(1차장보고-Ⅲ사업) 225
2차장보고-Ⅲ사업 226

구축함

세종대왕급 이지스구축함 228
정조대왕급 이지스구축함 230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 232
광개토대왕급 구축함 234

호위함

차기호위함Ⅰ 인천급 호위함 236
차기호위함Ⅱ 대구급 호위함 237
차기호위함Ⅲ 충남급 호위함 238
한국형 차기구축함(KDDX) 240
울산급호위함 242

초계함

포항급초계함 243

고속함정

윤영하급 유도탄고속함 244
참수리급 고속정 245
참수리-Ⅱ급 유도로켓 탑재 고속정(PKMR BATCH-Ⅰ, Ⅱ) 246

대형수송함

독도급 대형수송함 독도함(LPH1) 250
독도급 대형수송함 마라도함 251

상륙함

고준봉급 상륙함 252
천왕봉급 상륙함 253
고속상륙정 솔개 254
LCM-H 상륙정 254
LCU 상륙정 255
무레나 공기부양정 255

기뢰전함

양양급 기뢰탐색소해함 256
강경급 기뢰탐색함 257
기뢰부설함 남포함 258
기뢰부설함 원산함 259
특수함(AGS) 259

구조함

청해진급 잠수함 구조함 260
강화도급 잠수함 구조함-Ⅱ 261
통영급 수상함 구조함 262

군수지원함

천지급 군수지원함 263
소양급 군수지원함 264
한산도급 훈련함 265

해군 무인화 사업

대잠전용 무인잠수정(ASWUUV) 266
무인항공기 266
무인잠수정 266
수중자율기뢰탐색체 267
차세대 기뢰제거 처리기 267
에이코브 268
중고도 무인기(KUS-FS) 268
KNX-Ⅱ 268

항공기

해상초계기

P-8A 포세이돈 해상초계기 271
P-3C/P-3CK 오리온 해상초계기 272

헬리콥터

AW-159 와일드캣 276
MH-60R 해상작전헬기 277
WG-13 링스/슈퍼링스 280
B-505 기초비행훈련 헬기 281
UH-60P 블랙호크 기동헬기 282
S-100 무인헬기 282
F406 캐러밴 다목적 항공기(CARV-Ⅱ) 282

함포

5인치/62KMk45Mod4 함포 284
127mm/54 오토멜라라함포 285
76mm함포 285
76mm/62함포 286
Type 520R 40mm 오토멜라라 기관포 286
40mm 오토멜라라 쌍열포 287
40mm 쌍열 기관포 노봉 288
CIWSⅡ 288
20mm 기관포 시발칸 290
30mm 골키퍼 290
20mm 팔랑스 291
12.7mm 원격사격 통제체계 291
음파탐지부표 291

유도무기

함(잠)대지미사일

해성-II 함대지/해성-III 잠대지 순항미사일 294
해룡 전술 함대지 미사일 296

함대공미사일

스탠더드미사일(SM-II) 298
RIM-7P 시스패로 미사일 299
RIM-116 램 대공미사일 299
해궁 대함유도탄 방어유도탄 300
SM-6 미사일 301

함대함미사일

해성 함대함 미사일 302
AGM-84 하푼 미사일 303

공대함미사일

시스쿠아 공대함 미사일 304
스파이크 N-LOS 공대함 미사일 305

수중 유도무기

경어뢰 청상어 306
중어뢰 백상어 307
중어뢰 SUT mod2 307
중어뢰 SUT 흑상어 308
대잠유도무기 홍상어 309
130mm 유도로켓 310
K744 대잠어뢰 310
3연장 대잠어뢰 310
기뢰 311
자항기뢰 311
폭뢰 311
KH740 폭뢰 312
Mk9 폭뢰 312
Mk80 계열 일반목적 폭탄 312

생존장비

SLQ-200K 소나타 전자전시스템 314
SLQ-261K 어뢰기만기탄 315
함정용 소형전자장비 315
해안복합감시체계 319
KNCCS+KNTD 지휘통합체계 319
다가이 기만탄Ⅱ 320
SQR-220K계열 흑룡 예인소나 TASS 322
MK36 SRBOC 기만탄 322
MASS 대유도탄 기만체계 323

해군특수부대용 총기
해군 특수전단용 HK416D 소총 324
대한민국 해병대
Republic of Korea Marine

MAH-1 상륙공격헬기의 탄생으로 해병항공단 완성

해병대 전력 일람 332

기동

장갑차

한국형 상륙돌격장갑차 KAAV 334
한국형 상륙돌격장갑차 KAAV-Ⅱ 335
K808 차륜형 장갑차 336
K242A1 4.2인치 박격포 탑재용 장갑차 336

주력전차

K1A2 전차 337
K1E1 전차 337

헬리콥터

MUH-1 해병대 상륙기동헬기 338
MUH-1 해병대 상륙공격헬기 339

상륙장비

KM914 지뢰지대 통로개척 장비 340
해병대 전투용 고속단정 341
차량형 위성통신 341
TRC-521K 무선단말세트 342
PRC-999K 휴대용 무전기 342

화력

야포

K9A1 자주포 344
K55A1 자주포 345
KH179 155mm 견인포 345
천무 다연장 로켓 346

대전차무기·중거리 보병유도무기

KM67 90mm 무반동총 347
비궁 70mm(2.75인치) 유도로켓 348
현궁 대전차미사일 350
대전차미사일 스파이크 350

대공무기

30mm 차륜형 대공포 352
KM167 20mm 견인발칸포 353
미스트랄 대공미사일 353

해병대 미래 상륙작전 유무인체계 6대 중점 전력

고속전투주정 354
위그선 355
MCD-7 다목적 전투 드론 355
대테러용 다족보행로봇 356
상륙형 120mm 박격포 체계 357
지능형 40mm 무인방공시스템 357

대한민국 공군
Republic of Korea Airforce

KF-21 보라매 전투기 양산돌입 하는 공군

공군 전력 일람 364

항공기

전투기

F-35A라이트닝II 368
F-15K 슬램이글 370
F-16 PBU 전투기 374
KF-16 전투기 375
KF-16U 전투기 376
KF-21 전투기 378
KF-21 전투기 4대 시스템 382
F-5E/F 제공호 전투기 382
FA-50 파이팅이글 384
FA-50 블록20 전투기 385
TA-50 BlockⅡ 전술입문기 385
KA-1 전술통제기 386
하피 무인기 387

수송기

C-130J-30 슈퍼허큘리스 수송기 388
C-130H-30/C-130H 허큘리스 수송기 389
CN-235M 다목적 전술수송기 390
MC-130K 침투수송기 391
C-390 수송기 392
대통령 전용기 394

훈련기

KT-1 웅비 기본훈련기 396
T-50 골든이글 고등훈련기 398
TA-50 전술입문기 399

항공통제기·정찰자산·공중급유기

E-737 항공통제기 400
KC-330 시그너스 공중급유기 402
425 정찰위성 405
RQ-4 글로벌호크 406
MUAV 중고도 무인정찰기 407
팰컨2000 피신트 408
RC-800 금강/백두정찰기 410
RF-16 전술정찰기 411
주요 전술기의 전자전 장비 412

헬기

HH-47D 탐색구조 헬기 417
HH60P/VH-60 탐색구조 헬기 418
UH/HH-60 성능개량 419
V-92 대통령 전용헬기 420

유도무기

지대공미사일

L-SAM-Ⅰ/Ⅱ 장거리 지대공미사일 시스템 422
천궁Ⅱ/Ⅲ 중거리 지대공미사일 424
천궁 중거리 지대공미사일 425
PAC-3 CRI 패트리엇 426
PAC-3 MSE 패트리엇 428
PAC-2 GEM+ 패트리엇 429

공대지미사일

타우러스 원거리 정밀타격 공대지미사일 430
타우러스 KEPD 350K-2 431
장거리 공대지 미사일2차 432
AGM-88 함 대레이더 미사일 433
SLAM-ER 공대지미사일 433
AGM-65 매버릭 434
극초음속 공대지 미사일 435
AGM-84H 하푼 공대함미사일 436
AIM-92 스팅어 미사일 437
헬파이어 공대지(대전차) 미사일 438
천검 공대지미사일 440
JDAM 합동직격탄 441
KGGB 유도폭탄 442
스파이스2000 정밀유도폭탄 443
GBU-56 LJDAM 정밀 유도폭탄 444
GBU-10/12/24 레이저 유도폭탄 445
GBU-28 레이저 유도폭탄 446
GBU-39/53 정밀유도폭탄 447
CBU-105 확산탄 448
BLU-109B 관통폭탄 448
CBU-58 클러스터 폭탄 449
Mk20 로크아이2 클러스터폭탄 450
Mk82/83/84 범용폭탄 450
로켓탄 포드 451
K-610 조명탄 451

공대공미사일

AIM-9 사이드와인더 454
미티어 공대공 미사일 455
AIM-120암람(AMRAAM) 456
IRIS-T 유도미사일 457

레이더 및 포드

EL/M-2080S 슈퍼그린파인레이더 블록A/B 458
AN/APG-82(v)1 AESA 레이더 459
ESR-500A AESA 레이더 459
팬텀 스트라이크 레이더 460
EL/M-2032 레이더 460
AN/APG-81 레이더 461
AN/APG-83 레이더 461
ALQ-88AK 전자전 포드 462
스나이퍼시스템 462
타이거아이 열영상 감시장비 463
AN/FPS-117 레이더 464
AN/TPS-77 조기경보 레이더 465

공군의 우주전력 건설 계획 466

위성영상 데이터 AI분석 스타트업 SIA 474

[부록]

2024~2028 국방중기계획 478
2006~2024 방위사업추진위원회결의사항일람 488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