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사람들은 과연 어떻게 살았을까? 우리에게 ‘조선’이라고 하면 떠오르는 것은 보통 양반이나 선비의 모습이다. 그러나 조선에는 양반과 선비뿐만 아니라 상인이나 농민 등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살았다. 그러니까 조선 사람들이 어떻게 살았는지를 알기 위해서는 양반들의 삶뿐만 아니라, 상인과 농민들의 삶도 함께 바라봐야만 한다. 또 양반들의 삶 역시도, 중앙정치에서의 활동만으로는 충분히 이야기될 수 없음이 분명하다. 그런데 실록이나, 『승정원일기』처럼 국가가 편찬한 관찬 기록에서는 이들의 일상 모습을 찾아보기 어렵다. 다행히도 개인의 일기나 서간집 등 다양한 사적 기록이 발굴됨에 따라 우리는 이들의 모습을 짐작할 수 있게 되었다. 물론 그 일기나 서간집을 남긴 사람들이 주로 식자층에 속하기 때문에 일정 부분 한계는 있지만, 그러한 식자층이 자신의 이야기를 남기면서 주변의 이야기도 남겨 왔기에, 우리는 그동안 알기 어려웠던 주변의 삶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통생활사총서는 이처럼 조선시대를 살아간 사람들의 삶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 책들을 따라서 읽어 나가다 보면 우리가 몰랐던 조선 사람들의 삶을 짐작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조선시대 외국어 교육과 시험 제도를 중심으로 국가와 사회가 언어를 통해 구축한 구조적 틀을 깊이 탐구한 역작이다. 저자는 사역원과 4학 체제에서 시작해 관립 외국어학교로의 이행 과정을 생생하게 그려 내며, 언어 학습이 단순히 지식의 영역을 넘어 국가적 필요와 정치적 환경 속에서 어떤 방식으로 자리 잡아 왔는지를 보여 준다. 특히 언어별 학습 과정, 교재의 특징, 시험 제도의 구체적 내용은 조선시대 외국어 교육의 실체를 생동감 있게 전달하며, 당시 외교와 문화 교류에서 외국어가 어떤 역할을 했는지 실질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한다. 더불어 역관들의 활동과 그들의 삶을 통해 외국어 교육이 개인과 사회를 변화시키는 힘을 갖고 있었음을 설득력 있게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