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 때문에 내가 혼난 거잖아! 난 정말 억울해!”
학교에서 민구는 별명이 많아요. 친구들은 민구를 투정 대마왕, 지각 대장, 짜증 대마왕이라고 부르며 놀리죠. 민구가 온갖 이유로 지각과 결석을 자주 하고, 준비물도 매일 빠뜨리기 때문이에요. 받아쓰기 시험을 보는 날에도 지우개를 놓고 온 민구는 선생님에게 혼났어요. 민구는 억울했어요. 전날 지우개를 챙겼지만, 엄마가 필통에서 지우개를 뺐기 때문이에요. 하지만 아무리 설명해도 선생님은 핑계 대지 말라고만 하셨죠. 집에 돌아와서 엄마에게 울면서 화를 냈어요.
며칠 뒤, 체육 시간이 되었어요. 이날은 체육 대신 수학 보충 수업을 하기로 했죠. 민구는 아무리 책상과 가방을 찾아보아도 수학책이 보이지 않는 거예요. 전날 분명 가방에 넣었기에 수학책이 보이지 않자 엄마가 뺐을 거라고 확신을 했죠. 선생님이 교과서를 놓고 민구를 꾸중하자, 민구는 엄마 때문이라고 했어요. 하지만 오히려 선생님은 민구 말에 표정이 점점 어두워지셨죠. 민구는 점점 더 억울해져 집에 들어오자마자 엄마 탓을 하며 엄마에게 소리까지 지르죠.
“학급 회장 하는 거 하나도 안 좋아.
아이들은 말도 안 듣고.”
매주 돌아가며 학급 회장을 하는 민구네 반에서 이번 주는 민구가 학급회장이 되었어요. 선생님은 민구에게 일주일 동안 반 아이들의 신청서를 걷으라고 임무를 주었죠. 민구는 반 아이들에게 열심히 이야기했지만 아무도 내지 않았어요. 결국 민구는 더는 신경 쓰지 말자고 마음을 먹었죠. 다음 주가 되어 신청서를 낸 사람이 세 명밖에 되지 않자 선생님은 학급 회장으로서 책임을 지지 않은 민구를 향해 한 마디하였죠. 민구는 억울하고 화나는 마음에 교실을 뛰쳐나가 버렸어요. 모든 일을 자신의 잘못이라고 하는 엄마와 선생님이 미워지고 학교도 갈수록 가기 싫어졌어요. 과연 민구 투정을 멈추고 책임감을 기르는 방법을 배울 수 있을까요?
자신의 실수를 마주하는 순간,
책임과 자립을 배우며 당당히 성장하는 방법
세상에 실수와 잘못을 하지 않는 사람은 없을 거예요. 사람들은 잘못에 대하여 다른 사람과 상황을 탓하기도 하고, 뜻대로 흘러가지 않는 상황에 포기하고 싶어지기도 하죠. 하지만 자신이 한 잘못에 ‘책임’을 두려워한다면, 우리는 제대로 성장할 수 있을까요? 잘못을 인정하고 책임감을 느끼고 나아갈 때 우리는 한 단계 실력을 키울 수 있을 거예요. 우리의 투정 대마왕 민구처럼 말이에요.
투정과 핑계 속에서 길을 잃은 김민구,
스스로 책임지는 아이로 성장할 수 있을까?
민구는 매일 학교 준비를 하면서 물건을 빠뜨리거나 지각을 일삼아 ‘투정 대마왕’, ‘지각 대장’, ‘짜증 대장’과 같은 별명을 얻었어요. 지우개, 필통, 교과서까지 매번 무엇인가 빠뜨리고, 친구들에게 놀림을 받거나 선생님께 꾸중을 듣는 일이 반복되었지요. 하지만 민구는 이런 상황을 “엄마가 제대로 챙겨주지 않아서”라며 남 탓으로 돌리기만 하고,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려 하지 않았죠.
어느 날, 체육 시간을 수학 시간으로 대체하기로 한 날이었어요. 민구는 집에 교과서를 두고 오고 말았죠. 하필이면 그날 교과서를 가지고 오지 않은 사람은 민구뿐이었어요. 민구는 화가 났어요. 전날에 분명 수학책을 책가방에 넣어두었거든요. 민구는 또다시 엄마 탓을 하며 자신은 억울하다고 하였지만, 선생님은 핑계를 댄다며 오히려 혼을 냈어요.
민구는 집에 가 엄마에게 왜 책가방에 수학책을 뺐냐며 울면서 화를 냈어요. 하지만 엄마는 민구에게 사과는커녕 투정을 부린다며 혼을 냈죠.
민구는 아무도 자신의 상황을 이해해주지 못하자 억울함과 답답함만 쌓이는데요. 이 어려움 속에서 스스로 돌아보고 책임감을 기를 수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