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윤 시인의 시화집『그대 땅끝에 오시려거든』(문학들)에는 ‘세 개의 눈으로 보는 땅끝 해남’이라는 부제가 있다. 세 개의 눈은 다름 아닌 ‘눈과 마음과 렌즈’다. ‘마음’을 ‘시’로 바꾸어도 좋다. 땅끝 해남을 노래한 저자의 시 57편에 해남의 풍광을 담은 고금렬, 김총수, 민경, 박흥남의 컬러사진 73컷을 엮었다. 해남 여행길에 옆구리에 끼고 도반으로 삼을 만하다.
그대 땅끝에 오시려거든/일상의 남루 죄다 벗어버리고/빈 몸 빈 마음으로 오시게나/행여 시간에 쫓기더라도 지름길일랑 찾지 말고/그저 서해로 기우는 저문 해를 이정표 삼아/산다랑치 논에 소를 몰 듯 그렇게 고삐를 늦추고 오시게나(「그대 땅끝에 오시려거든」 부분)
저자에게 고향 해남은 삶의 터전이자 시의 원천이다. 첫 시집 『아름다운 사람의 마을에서 살고 싶다』이후 『신발의 행자』, 『바람의 사원』, 『슬픔의 바닥』, 『무덤가에 술패랭이만 붉었네』에 이르기까지 해남은 그의 시의 무대이자 사유의 텃밭이 되었다. 해남에서 나고 자란 그는 군과 대학 시절을 제외한 생의 대부분을 이곳에서 아이들을 가르치며 살아왔다. 땅끝문학회와 김남주시인기념사업회를 이끌며 ‘땅끝시인’으로도 이름났다. 이 책이 흔히 보는 ‘해남 땅끝’ 여행서들과 다른 이유이기도 하다.
천 리나 먼 길/서울의 불빛 그리워한 적 없는/나는 땅끝 시인/마음도 몸도 중심을 버린 지 오래/오로지 오지에서 피고 지는 저 들꽃들과/스스로 제 이름을 부르며 우는 텃새들/골목마다 푸른 바람을 거느린 대나무숲과/한겨울에도 눈 속에 붉은 동백꽃들이 나의 오랜 벗이네(「나는 땅끝 시인」 부분)
군부독재와 광주항쟁을 겪고 전교조 해직교사로서 교육운동에 투신하기도 했던 시인은 이 땅의 모순된 현실을 직시하고 이를 극복하려는 의지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이후 점차 불교적 세계와의 접목을 통해 시적 사유와 감각의 깊이를 더해왔다. “이 세상에 와서 한평생을/누군가의 바닥으로 살아온 신발들/그 거룩한 생애에 경배하는/나는 신발의 행자다”(「신발에 대한 경배」 부분)
김 시인은 1957년 생으로 1989년 무크지 『민족현실과 문학운동』을 통해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1989년 전교조 활동으로 해직되었고 1994년 복직하여 고향인 해남에서 교사와 시인으로서 살면서 김남주, 고정희 시인 추모사업과 고산문학축전 등 지역문화운동에 힘써왔다. 시집으로 『아름다운 사람의 마을에서 살고 싶다』, 『신발의 행자』, 『바람의 사원』, 『슬픔의 바닥』, 『무덤가에 술패랭이만 붉었네』 등이 있으며, 시해설서 『선생님과 함께 읽는 김남주』 등을 펴냈다. 땅끝문학회회장, 광주전남작가회의 회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김남주기념사업회 회장, 고정희기념사업회 이사, 고산문학축전 사무국장, 한국작가회의 부이사장으로 활동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