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베트 불교 수행의 정점인 족첸에서
무상·인과·죽음을 이해하는 가장 명료한 지혜와
이미 완벽한 자신과 마주하는 평생의 통찰을 배운다!
우리가 인생에서 진정으로 원하는 것은 무엇일까? 깨달음은 무엇을 포함하고, 이 깨달음이 바로 지금 우리 상황과 어떻게 연결될까? 깨달음이 삶과 밀접하다면, 우리는 인간일까 아니면 붓다일까? 깨달음은 말할 것도 없고, 붓다가 되는 것은 신비롭고 우리와 거리가 먼 이야기처럼 느껴진다. 티베트 불교 수행의 정점으로 알려진 족첸에서는 정반대이다. 깨달음과 붓다는 일상적이고 우리와 아주 가까운 이야기라고 말이다. 정말 그럴까? 『나는 어떻게 붓다가 되는가』는 그 물음에 관한 답을 찾는 여정이다.
저자가 소개하는 모든 족첸의 전통과 가르침은 ‘인간=붓다’라는 수식을 증명하고 경험하는 과정이다. 하지만 저자도 족첸을 처음 접할 땐 당황스러웠다. 현재 미국 라이스대학 종교학과 교수이자 티베트 불교 센터인 던 마운틴(Dawn Mountain)의 창립 교사인 저자는 1996년 티베트에서 우연히 아좀 페일로 린포체를 만나 족첸을 배웠으며, 10여 년 후 라마(스승)로서 자격을 인정받았다. 그 과정에서 단순한 이론이나 추측의 문제가 아니라는 것을 알아챘고, 불교에 대해 ‘안다고 생각하는 것’과 ‘실제로 느끼는 것’을 연결하기 시작했으며, 확신을 얻었다.
“족첸은 일반적인 마음의 가면을 직접 벗기는 것으로 유명하다. 우리 인간들은 붓다가 되기 위해 수행하는가? 아니면 붓다로 가장한 인간인가? 모든 인간 경험의 근거가 현실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단순히 인간’이라는 것이 과연 존재하는가? 사실, 나는 더 깊이 조사할수록 ‘나는 깨어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이 뒤집히기 시작한다. 강력한 순간에 나는 ‘어떻게 깨어나지 않을 수 있겠는가!’라고 생각하게 된다.”
‘우리에게 이미 내재된 본성’으로 깨어나는 패러다임의 전환
‘우리에게 이미 내재된 본성’으로 깨어나기 위한 패러다임의 전환이 『나는 어떻게 붓다가 되는가』의 시작과 끝이다. 저자는 족첸의 역사적 맥락과 수행법을 처음 겪는 이들도 쉽게 이해하도록 돕는다. 저자에 따르면 일상적인 마음은 평생 의지하는 강력한 습관, 즉 ‘자기 경향성’이라고 부를 수 있다. 맛보고 느끼며 배우는 모든 감정적 지식적 경험과 습관들이 마음을 규정하고 ‘나’라고 하는 허울 없는 강력한 실체를 만든다. 술이 좋아 자주 마셨으면, 그 경험이 쌓여 계속 술을 찾고, 술에 의지하는 경향성이 생길 가능성이 매우 크다. 그러면 이런 자기 경향성은 알코올 중독자라는 정체성을 만든다. 이런 종류의 자기 경향성들은 불성이라고 부르는 ‘참나’를 가리는 ‘가면’이다. 족첸 수행은 이런 자기 경향성 혹은 마음의 관성을 모르던 우리의 무지를 드러내고 습관을 재배치해서 삶을 바꿀 수 있다는 게 저자의 말이다.
“우리의 무지는 마음이 벗어날 수 있는 오류일 뿐이다. 그리고 족첸은 인간의 오류가 우리의 진정한 본성, 즉 불성을 결코 얼룩지게 하거나 만질 수 없음을 항상 상기시킨다.”
저자는 종교학자로서의 합리적인 이성과 족첸 수행 지도자로서 풍부한 경험을 토대로 족첸을 설명한다. 족첸 수행자들에게 기본 가르침인 무상, 행복의 우연성과 죽음의 여러 조건에 관한 성찰 등 족첸 스승인 롱첸파(1308~1364)의 일곱 가지 마음 훈련부터 직메 링파(1730~1798, 롱첸파의 환생)가 전수한 롱첸 닝틱 사이클의 마음 훈련을 다룬다. 여기에 족첸 전승을 잇는 아좀 페일로 린포체(1971~)의 족첸 해설까지 소개한다. 다시 말해 롱첸파의 일곱 가지 마음 훈련과 이를 정제한 직메 링파의 다섯 가지 핵심 수행 그리고 이 모두를 간략히 정리한 아좀 페일로 린포체의 설명이 이 책의 골자다.
무상함과 인과, 죽음에 관한 성찰 등 족첸은 오랜 시간 티베트 불교를 지탱해온 가장 명료한 삶의 지혜이자 마음 훈련이다. 수행이나 깨달음에 대해 한 번이라도 생각해 봤거나 붓다나 보살의 길에 한 번이라도 관심을 가졌던 사람이라면, 이 책에서 우리의 평범한 경험이 완전함(깨달음)으로 가는 문이 되는 지혜를 얻을 수 있다. 또 ‘불교를 안다고 생각했던’ 이들에게도 ‘실제로 느끼는 불교’로 전환하는 흔치 않은 기회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