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령사회, 우리는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요?
퇴직 후 인생, 과연 어떻게 살아야 할까요?
부모님 돌봄, 은퇴 후 생활, 외로움…. 이제는 나의 이야기가 되었습니다.
인생 2막을 넘어, 무한한 가능성을 펼치고 싶으신가요?
시니어 시장에 진출하고 싶은데,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모르겠다면?
버스나 지하철에서 가장 많이 하는 고민, 시니어 트렌드 2025는 더 나은 삶의 방향의 단서를 제시해 드립니다.
초고령사회가 이미 현실이 되었습니다. 버스나 지하철에서 들리는 이야기는 ‘노화와 부모님 돌봄, 퇴직 후 일자리와 현금흐름, 은퇴 후 외로움과 여가’가 주를 이룹니다. 한 번도 경험해 보지 못한 세상이 펼쳐지고 있습니다. 60세쯤 은퇴하고 환갑잔치하고 삶을 마무리한다는 생각은 아예 사라졌습니다. 인생 2막을 이야기하더니 이제는 인생 n막을 준비하자는 세상입니다.
초고령사회는 비단 개인의 대응에만 그치지 않습니다. 기업 최고 경영진의 평균 수명이 60세에 달합니다. 당사자로서 나이 듦에 대한 이해가 깊어졌습니다. 창업주나 경영진의 관심과 함께 시니어 비즈니스 탐색도 커지고 있습니다. 몇 해 전만 해도 엄밀한 수익성 분석 잣대가 기업의 시니어 시프트를 막고는 했습니다. 점차 초고령사회 속 내외부 고객이 나이 들어가며 거대한 변화가 시작되고 있습니다.
시니어 비즈니스 종사자나 관심 있는 분들 또한 더 깊은 이해가 필요합니다. 고령화는 국내에 그치지 않는 글로벌 트렌드입니다. 전 세계적인 동향과 함께 국내 고령 친화 산업의 현실을 정확히 이해해야 합니다. 실버산업이 국내에 소개된 지도 20여 년이 넘었습니다. 그사이 수많은 시도와 실패가 있었습니다. 점차 시니어 삶에 대한 이해도 그 폭을 넓혀가고 있습니다. 퇴직이나 은퇴 후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길을 선구자들이 걷고 있습니다. 이제는 ‘글로벌 트렌드, 비즈니스 트렌드, 라이프 스타일’을 통해 더 나은 시니어 삶의 방향을 ‘종합적으로, 정확하게, 세밀하게’ 들여다봐야 합니다.
시니어 트렌드 2025를 통해, 퇴직이나 은퇴 후 삶을 설계하는 분이나, 기업이나 기관에서 신규사업이나 시니어 고객 정책이나 마케팅을 담당하는 분이나, 시니어 영역의 종사자나 관심 있는 모든 분께 더 나은 방향의 단서가 되길 소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