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년 아마존 베스트셀러, 에디터스 픽 선정
★ ≪가디언≫ ≪애틸랜틱≫ ≪파이낸셜 타임스≫ 추천 도서
★ 베스트셀러 『권력의 심리학』 저자 신간
“왜 우리는 ‘틀린 확실성’을 믿는 오류를 범하는가”
역사, 정치학, 철학, 경제학, 진화생물학, 지리학…
다양한 학문에서 길어 올린 우연이라는 세계
미국의 원자폭탄 ‘리틀 보이’가 군수공장이 들어선 교토가 아닌 히로시마에 떨어진 것은 미군 장교 부부의 애착 도시라는 이유였을 뿐이고, 기상 예보를 연구하던 학자는 하위 집합에서 벌어지는 작은 변화를 통해 얼결에 카오스 이론을 탄생시켰다. 사냥터에서 아슬아슬하게 죽음을 피한 오스트리아-헝가리 대공은 결국 암살당해 제1차 세계대전의 시발점이 되었고 IMF는 불황을 예측하는 데 번번이 실패했다.
역사에 쓰인 분명한 원인과는 다르게 세상은 이토록 우발적인 사건으로 얽혀 있다. 하지만 우리는 “모든 일에는 다 이유가 있다”라고 믿는다. 왜일까? 인간은 ‘혼돈의 가장자리’에 존재하고 세상은 복잡계로 정의된다는 사실을 충분히 알면서도 과학 발전과 혁신이 세상의 작동 메커니즘을 충분히 알려주고 있다는 착각에 단단히 빠져 있기 때문이다. 세상은 생각보다 더 난폭하고 제멋대로며, 작은 변화 하나만으로도 큰 파장이 몰아친다.
이 책은 사회과학과 카오스 이론, 역사, 진화생물학, 철학, 지리학 등 다양한 학문을 바탕으로 우리가 외면해온 돌발적인 세계를 새로운 관점으로 설명한다. 오늘날 과학과 통계, 확률은 확실성과 예측 가능성에 잘못된 신뢰를 주고 있다. 인간의 뇌는 확률과 혼돈을 외면하도록 진화해서 우발적이거나 임의로 벌어졌다는 설명은 받아들이지 않는다. 사회과학은 매해 잘못된 통계를 끝없이 연구하고 통제할 수 없는 불확실성은 해결할 수 있는 위험인 양 취급한다. 미국의 노예와 영국의 식민지 문제는 인종의 우열 문제가 아닌 그저 지형이 그 운명을 갈랐을 뿐이다.
“우리는 그 무엇도 통제할 수 없지만 모든 것에 영향을 미친다”
서로 엮여 있는 우리가 힘을 빼고
이 경이롭고 미치도록 복잡한 세계를 탐험해야 하는 이유
우연과 우발성의 세계는 거대한 사건에만 놓여 있지 않다. 그리스 해변에서 관광객이 바다로 떠내려갔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서둘러 수색했지만 별 소득은 없었다. 하지만 그는 열여덟 시간 후 발견돼 기적적으로 살았다. 바닷물에 떠 있는 작은 축구공 하나가 그의 생과 사를 가른 것이다. 관광객의 생존기가 티브이에 보도되자 누군가는 놀라고 말았다. 자기 아이들이 실수로 바다에 빠뜨렸고 건지기를 포기한 축구공이었기 때문이다. 결코 중요하지 않은 선택은 예상치 못한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이야기는 어떠한가. 오래전 작은 농가에서 자기 아이를 죽이고 시체를 깨끗이 닦아 침대에 눕힌 뒤 스스로 목숨을 끊은 여자가 있다. 여자의 남편은 재혼을 했고 다시 아이를 낳았다. 이 끔찍한 범죄를 마주한 남편은 바로 이 책의 저자 브라이언 클라스의 증조할아버지다. 만약 사건이 벌어지지 않았다면 저자는 이 세상에 존재조차 못 했을 것이다. 이 책이 나오기까지 굉장히 큰 우연이 얽히고설켜 발생한 셈이다.
하지만 개인적 사건과 얽힌 역사를 돌아보며 이 책이 강조하는 건 우연이 아니다. 시간과 공간을 넘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세상에서는 우리가 하는 모든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이다. 이제는 우리의 세계가 어떻게 작동하고 자신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지 그 관점을 조정하고 “우리는 그 무엇도 통제할 수 없지만 모든 것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깨달아야 할 때다. 이 책이 안내하는 지적 여정을 통해 이 불확실하고 복잡한 미지의 세상을 자유롭게 탐험해보자.
“우리는 서로에게 엮여 있으며, 이는 엄청난 선물을 안겨준다. 즉, 우리가 하는 모든 것은 중요하다. 지금 하기로 결심한 것이 무엇이든 중요하다. 이 책을 덮고, 우리가 집이라 부르는 이 경이롭고 미칠 것만 같으며 무한히 복잡한 세계를 탐험하러 나가자.”
-본문에서
카오스 이론이 증명하듯, 얽힌 시스템은 예상치 못한 결과를 낳고 역사는 종종 겉보기에 중요하지 않은 순간에 의해 만들어진다. 이 책은 중대한 사건에는 분명한 원인이 있다고 믿고 싶어 하는 우리의 관점을 완벽히 뒤집는다.
- ≪가디언≫
모든 것들의 본질을 꿰뚫는 흥미로운 주제를 담았다. 이 복잡계가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관한 친절한 설명서!
- ≪커커스 리뷰≫
“눈을 뗄 수 없다! 현대 인간 사회가 그저 새로운 환경에 적응해 나가는 ‘복잡적응계’라는 사실을 흥미롭게 일깨워준다.”
- ≪파이낸셜타임스≫
이 책의 핵심 전제는 세상이 우리가 믿고 싶어 하는 것보다 훨씬 더 불확실하다는 것이다. 보다 건강하고 나은 삶을 원한다면 무작위로 펼쳐지는 우연을 없앨 수 있다고 가정해야 한다. 우리의 모든 행동이 상호 연결되어 있고 이 우연을 인정하는 것은 아주 고무적인 일이다. 개인의 모든 순간이 세상을 바꾼다고 믿을 수 있기 때문이다.
- ≪뉴스테이츠먼≫
도발적이다. 그러면서 설득 가능한 이야기로 가득하다. 질서와 혼돈 사이, 그 복잡한 관계를 생생하게 서술했다.
- ≪뉴사이언티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