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척추변형학

척추변형학

  • 대한척추변형연구회
  • |
  • 메디안북
  • |
  • 2024-09-05 출간
  • |
  • 336페이지
  • |
  • 216 X 286mm
  • |
  • ISBN 9791190450980
판매가

100,000원

즉시할인가

99,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99,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Contents
Chapter 1 대한척추변형연구회의 역사
창립 과정 및 현황
학술 활동

Chapter 2 척추변형 치료의 역사
1. 서론
2. 고대
3. 르네상스
4. 1800년대
5. 1900년대
6. 현대

Chapter 3 척추변형의 영상의학적 평가
1. 개요(General Concept)
2. 척추변형과 관계된 표준 용어(Nomenclature)
3. 영상학적 검사 방법
1) 영상학적 검사 종류
2) 척추변형에 대한 영상학적 검사의 고려 사항
4. 시상면 변형의 영상학적 평가
1) 전역 매개변수(Global parameter)
2) 지역 매개변수(Regional parameter)
3) 척추골반 매개변수(Spinopelvic parameter)
4) 수술적 목표와 관련된 척추정렬 매개변수의 해석
5. 관상면 변형의 영상학적 평가
1) 관상면 균형 평가 항목
2) 관상면 불균형 질환에 따른 평가
6. 경추부 변형의 영상학적 평가
1) 경추전만각(Cervical lordosis, CL)
2) 경추 시상수직축(Cervical sagittal vertical axis, cSVA)
3) 턱-눈썹 수직 각도(Chin-brow-vertical-angle, CBVA)
4) 제1흉추경사(T1 slope, T1S)
5) 흉추 입구 각도(Thoracic inlet angle, TIA)와 목 기울기(Neck tilt, NT)
6) 제2경추 골반각(C2 pelvic angle, CPA)과 제2경추-제1흉추 골반각(C2-T1 pelvic angle, CTPA)
7. 기타 고려사항
1) 수술 중 영상보조(Intraop image guidance)
2) 하운스필드 유닛(Hounsfield unit, HU)
3) 근감소증(Sarcopenia)

Chapter 4 척추변형의 분류
1. Roussouly 분류
1) 개론
2) 분류
3) 고찰
2. SRS-Schwab 분류
1) 개론
2) 분류
3) 고찰
3. Global Alignment and Proportion(GAP) 점수
1) 개론
2) 분류
3) 고찰

Chapter 5 척추변형 환자의 수술 전 평가
1. Introduction
2. 병력청취(History taking)
3. 일반적 건강상태 평가
4. 이학적 검사(Physical examination)
5. 설문에 의한 임상증상의 평가
1) Scoliosis Research Society questionnaire-22(SRS-22)
2) Short Form-36(SF-36)
3) Short Form-12(SF-12)
6. 척추교정 수술을 위한 수술 전 점검 항목

Chapter 6 척추변형 환자의 보상기전과 균형
1. 정상 시상 균형
1) 전체 균형
2) 골반뼈
3) 골반과 요추 전만
4) 흉추 후만
2. 척추 만곡의 변화
1) 인접 분절의 신전(Hyperextension of adjacent segments)
2) 요추 후방전위증(Lumbar retrolisthesis)
3) 골반 후방 회전(Pelvic retroversion)
4) 무릎 굴곡(Knee flessum)
5) 발목의 신전(Ankle extension)
6) 경추의 신전(Cervical extension)
3. 척추 시상면 평가 용어(Sagittal alignment parameters)
1) 척추 균형(Spine balance), 천추 골반 균형(Sacropelvic balance), 척추 골반 균형(Spinopelvic balance)
2) CAM-HA offset
3) SVA 80
4) 척추 경사(Spinal Tilt, ST)와 척추천추각(Spinosacral angle, SSA)
5) 경추 제7번 전위 비율(C7 translation ratio)
6) Spinopelvic angle
7) T1 pelvic angle, TPA
8) Global Alignment and Proportion(GAP)
4. 시상면 불균형과 보상기전의 평가
5. 요통과 시상면 보상기전
6. 편평등증후군(Flatback syndrome)
7. 고정 시상면 변형(Fixed sagittal deformity)
8. 외상 후 시상면 불균형(Post-traumatic sagittal imbalance)

Chapter 7 성공적인 변형수술을 위한 취약인덱스와 위험층별화
1. 11-item modified Frailty Index(mFI-11) & 5-item modified Frailty Index(mFI-5)
2. Adult spinal deformity Frailty Index(ASD-FI)
3. Modified Adult spinal deformity Frailty Index(mASD-FI)
4. Risk Analysis Index(RAI)

Chapter 8 성인 척추변형 치료의 실제
1. 성인 척추변형 환자의 정의와 시상면 불균형과의 관계, 그리고 임상적인 영향 92
1) 정의
2) 임상적 측면(Clinical Aspects)
3) 영상학적 측면(Radiologic Aspects)
2. 수술적인 적응증/비적응증
3. 수술 전 준비
1) 환자/가족 면담
2) 골다공증
3) 면역억제제 및 스테로이드 사용
4. 수술 계획하기-어떻게 할 것인가?
1) 시상 균형 분석(Sagittal Balance Analysis)
2) Roussouly Curve에서 기인한 영상(Imagine Original Roussouly Curve)
3) 흉추 정렬과 등 근육 조절(Thoracic Alignment and Muscle Control)
4) 이상적인 요추 전만각(Ideal lumbar lordosis)
5. 실제 환자 케이스

Chapter 9 척추 절골술
1. 서론
2. 척추 절골술(Spinal osteotomy)
1) 스미스-피터슨 절골술(Smith-Petersen osteotomy)
2) 폰테 절골술(Ponte osteotomy)
3) 척추경 제거 절골술(Pedicle subtraction osteotomy)
4) 척주절제술(Vertebral column resection)
3. 결론

Chapter 10 척추변형의 전후방교정술
1. Introduction
2. 환자평가(Patient evaluation)
3. 영상학적인 평가(Radiologic assessment)
4. 전후방교정술 적응증
5. 전후방교정술의 수술적인 치료
1) 스테이지 수술(Stage surgery)
2) 수술 기법
6. 전후방교정술의 효과와 제한점
7. 전후방교정술의 생체역학적 효과
8. 전후방교정술의 합병증
9. 결론

Chapter 11 척추변형의 최소침습적 수술
1. 역사적 관점
2. 서론
3. 최소침습수술의 다양한 결과
4. 최소침습 대 개방형 척추변형 교정, 알고리즘
5. 수술 기법
1) 측방 요추유합술 및 경피적 나사 고정술
2) 다 분절 최소침습적 신경공 경유 요추유합술(Multilevel MIS Transforaminal Lumbar Interbody Fusion: MISTLIF)
3) 미니 개방 척추경 절제 골절술(Mini-Open Pedicle Subtraction Osteotomy)
4) 시상 교정을 위한 전방 종방향 인대 해제 및 큰 전만각 케이지(Anterior longitudinal ligament release and hyperlordotic cages for sagittal correction)
5) 최소침습적 추체간 선택 알고리즘[The minimally invasive interbody selection algorithm(MIISA)]
6) 3차원 자동항법과 로봇시스템(3D navigation and robotics)

Chapter 12 척추변형 수술 후 합병증
1. 수술 합병증(Surgical complications)
1) 수술 중 합병증(Intraoperative events)
2) 수술 후 합병증(Postoperative events)
2. 내과적 합병증(Medical complication)

Chapter 13 척추변형의 재수술 전략
1. 변형 수술 후 합병증 및 수술 실패의 원인
2. 재수술 전 환자 평가
1) 과거 병력
2) 신경학적 검사
3) 영상의학적 평가
3. 척추변형 재수술
1) 재수술 시작
2) 원인별 수술 전략
4. 부작용
5. 요약

Chapter 14 경추변형의 평가
1. 개요
2. 방사선학적 평가지표
1) 경추의 국소 정렬 지표
2) 전체 정렬 지표(Global alignment parameter)
3) Compensatory mechanism: from global to cervical alignment
3. 경추변형의 분류
1) Ames 경추변형 분류
2) 유럽 경추연구학회(CSRS-Europe)
3) Kim-ISSG
4. 경추변형의 평가 척도
1) Pain outcome
2) Disability outcome
3) Quality-of-Life Outcome Metrics
5. 요약

Chapter 15 경추변형의 수술과 합병증
1. 경추변형의 방사선 검사 및 정의
1) 경추정렬을 평가하는 변수(Parameters of Cervical Alignment)
2) 정상 경추정렬 수치(Normal Cervical Alignment)
3) 흉요추부의 보상작용에 대한 고려(Consideration for compensation of thoracolumbar spine)
4) 경추변형의 정의
5) 경추 유연성(Cervical flexibility)에 대한 분류
6) 변형의 위치 파악(결정) (Location of the Deformity)
2. 경추변형의 원인 및 분류
1) 원인
2) 분류
3. 수술적 치료
1) 경추변형 수술시 수술 분절의 선택(Fusion Level Selection in Cervical Deformity)
2) 수술 방법
4. 수술의 합병증과 예후
1) 합병증
5. 내과적 합병증

Chapter 16 변형교정 수술 중 감시장치
1. Introduction
2. Surgical Indication
3. Surgery of Deformity
4. The role of intraoperative neurophysiology
5. Intraoperative neurophysiologic monitoring
1) Positioning the patient and taking SSEP and tcmMEP baselines
2) Opening and exposure of the spine
3) Instrumentation of the spine
4) Corrective maneuver
5) Specifics of kyphosis correction
6) Management of neurophysiologic monitoring
7) Summary

Chapter 17 척추변형 교정을 위한 기구 고정의 생체역학
1. 척추변형과 기구 고정의 목적
2. 기구 고정 장치의 생체역학적 설계 원리
1) 캔틸레버(Cantilever)
2) 척추 고정기기에서의 캔틸레버
3) 골-나사못 캔틸레버
3. 기구 고정 장치의 종류와 특성
1) 사용되는 주요 기구 고정 장치들의 종류 및 각 장치의 특성
2) 기구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4. 결론

Chapter 18 장분절 골유합술을 위한 골이식 전략
1. 골유합에 대한 생물학
2. 골 이식재의 종류
1) 자가골(Autograft)
2) 동종골(Allograft)
3) Demineralized bone matrix(DBM)
4) 이종골(Xenograft)
5) Ceramics
6) Bone morphogenetic protein(BMP)
3. 장분절 고정술에서의 골유합 전략
4. 결론

Chapter 19 청소년 특발성 측만증과 소아 척추변형
1. 서론
2. 소아청소년의 척추변형 환자의 병력청취 및 신체 검진
3. 소아청소년기 척추변형 환자의 영상의학적 접근
1) 일반 방사선 사진
2) 자기공명영상
3) 컴퓨터 전산화 단층 촬영
4) 초음파
4. 소아청소년기 척추변형 환자의 병인 및 분류
5. 영아기 특발성 척추측만증
6. 연소성 특발성 척추측만증
7. 청소년 특발성 척추측만증
8. 신경근육성 척추측만증
9. 선천성 척추측만증
10. Scheuermann 후만증
11. 성장하는 척추의 치료
12. 척추분리증과 척추전방전위증
1) 척추분리증
2) 척추전방전위증
13. 결론

Chapter 20 청소년 측만증 교정 수술 후 합병증
1. 서론
2. 수술 중 합병증
1) 신경학적 손상
2) 경막 손상
3) 안과 및 기타 체위 관련 합병증
3. 수술 후 합병증
1) 지연된 신경학적 손상
2) 수술 부위 감염
3) 가관절증
4) 만곡의 진행
5) 크랭크축 현상(Crankshaft Phenomenon)
6) 편평등 변형(Flatback deformity)
7) 근위 접합부 후만증(Proximal junctional kyphosis)
8) 정맥 혈전색전증
9) 폐 합병증
10) 수혈
11) 임플란트 관련 합병증
12) 위장관 합병증
4. 결론

Chapter 21 선천성 척추변형의 치료
서론
1. 원인
2. 발병기전(Embryology)
3. 동반 기형
4. 분류
1) 형성 실패
2) 분절 실패
3) 전측방 융합과 반대편 후측방 1/4 추체
4) 분류 불가능
5. 자연사
6. 척추의 성장
7. 예후
1) 추체 기형의 종류와 이에 따른 성장 불균형의 정도
2) 기형의 위치
3) 진단 나이
8. 진단
1) 병력
2) 진찰
3) 영상 검사
4) 폐기능 검사
9. 치료
1) 조기 진단
2) 진행 예측
3) 악화 예방
10. 비수술 치료-시간 벌기 전략
11. 수술
원칙
1) 후방 현상태 유합술(Posterior In-situ Fusion)
2) 반측 골단유합술(Convex Hemiepiphysiodesis)
3) 반척추 제거술(Hemivertebra excision)
4) 교정 및 후방유합술
5) 절골술(Reconstructive Osteotomy)
6) 척주 절제술(Vertebral Column Resection)
7) 성장 봉(Growing Rods)
8) 확장 흉곽성형술과 VEPTR(Vertebral Expandable Prosthetic Titanium Rib)
요약

Chapter 22 척추변형 수술 전 알아야할 심사평가원 고시
척추변형에 척추관절고정(기기, 기구사용 고정 포함): Arthrodesis for spinal deformity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