멈추기 위해 필요한 사유
세상 모든 만물은 달리기만 할 수 없다. 더구나 문명을 일군 인간이 그저 달리기만 했기 때문에 지구도 과열 상태이고 온갖 후유증을 앓고 있다. 성능 좋은 기계도 달리기만 한다면 곧 멈출 것이다. 그렇다면 지금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인간은 사유의 존재이다. 쉼 없이 달리기만을 강요해 왔던 철학과 이데올로기에서 멈추고 싶다면 브레이크를 걸 수 있는 사유가 필요하다. 스스로 이해하고 받아들여야 진정한 힘이 생기기 때문이다.
장자의 철학에 깊이 젖어 있던 저자는 오랫동안 도시에서 고군분투하면서 열심히 살았다. 하지만 코로나 시기를 겪으면서 하던 일을 모두 놓을 수밖에 없었고, 결국은 서울을 떠나 가파도로 터전을 옮겼다. 그에게는 엄청난 시련의 시간이었지만 그곳에서 장자의 철학을 제대로, 다시 만나게 되었다.
“어두움에서 벗어나려 그림자와 경주했던 제 모습이 보입니다. 그림자와의 경주는 결코 이길 수 없습니다. 그림자가 바로 제 모습이기 때문입니다. 그늘에 들어가야 그림자도 저도 쉴 수 있었습니다. 장자의 이야기를 연재하다가 ‘그림자의 비유’를 읽고 가슴이 먹먹해졌습니다. 나도 모르는 사이에 어두운 나에게서 벗어나려고 애면글면하던 내 과거의 모습이 떠올랐습니다. 내가 나를 해치고 있었던 것입니다.”
시련의 삶에서 다시 만난 장자의 철학은 그를 오롯이 쉬게 만들었고, 그리하여 그는 더 깊고 단단해졌다. 저자는 자신의 이야기와 함께 그가 만난 장자 이야기를 누구든지 쉽게 읽을 수 있도록 편안하게 풀어내게 되었다.
장자는 지금 우리에게도 유효하다
《장자》는 오래된 고전이다. 누구나 한 번쯤 장자 이름을 들었을 것이고, 읽어 보고 싶다는 생각을 품었을 수 있다. 하지만 그 이름에 짓눌려 다가가기가 쉽지 않다. 책의 무게도 만만치 않고. 시작만 하고 끝을 맺지 못한 독자들이 많을 수 있다. 혹은 2,500년 전에 살았던 중국 사람의 철학을 왜 읽어야 하나, 의문을 품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맞는 말이기도 하다. 지금 읽어야 할 책과 세상 이야기도 많은데, 그렇게 오래된 고전이라니! 하지만 인간의 삶은 겉모습은 많이 변했지만 살아가는 속살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고 말할 수 있다. 장자가 살았던 시대는 중국 역사에서 혼란의 시기였다. 전쟁이 끊이지 않았고, 사회가 혼란스러운 만큼 내로라하는 사상가들이 넘쳐 나던 때다. 벼슬 한자리 얻기 위해 끊임없이 ‘쓸모 있음’을 주장했던 많은 사상가 중에서 장자는 ‘쓸모없음’을 말했던 사람이다.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은 어떠한가? 이제 우리는 AI(인공지능)와 경쟁하면서 자신의 쓸모 있음을 내세워야 한다. 하지만 사회의 기준에서 말하는 경제적인 효용 가치로만 따진다면 무슨 수로 어마어마한 정보를 지닌 무적의 AI를 이길 수 있단 말인가! AI와 경쟁해서 계속 달려야만 할까? 그게 가능한 일이기나 할까? 인간이기에 할 수 있는 일, 스스로 멈추어 사유해야 할 때가 아닐까? 변화의 시기에 떠돌지 않고 뿌리를 내리고 살려면 무엇이 필요할까? 정보의 ‘양’이 문제가 아니라 ‘질’적인 변화가 필요한 때이다.
스스로를 위해서 천천히 산책하듯, 저자의 안내를 따라 장자를 만나 보기를. 그리하여 자신의 길을 갈 수 있기를, 무엇보다 스스로 즐길 수 있는 길을 찾을 수 있기를!
‘쓸모 있음’에서 놓여나 ‘쓸모없음’을 노래하길, 장자와 함께!
우리는 불행히도 태어나 자라면서 쓸모없음에 대한 이야기를 들은 적도, 한 적도 없다. 살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쓸모 있어야 했다. 열심히 공부했고, 직장을 구해서도 더 쓸모 있기 위해 쉬지 않고 무언가를 해야만 했고, 지금도 하고 있다. 물론 더 안정된 일자리와 삶을 위해서는 노력할 수도 있다. 하지만 사회의 시선과 기준으로 24시간 내내, 온 삶을 쓸모 있게만 살아야 할까? 모든 일을 쓸모 있는 ‘가치’로만 따진다면 한가롭게 산책하는 일도, 사랑하는 사람과 눈 맞추고 이야기하는 일도 할 수 없고, 해서도 안 된다.
우리 삶에서 쓸모 있는 일만 남겨 놓고 나머지는 모두 제한다고 상상해 보라. 그런 삶을 지탱할 수 있을까? 실제 우리는 꽤 쓸모없는 일을 하며 산다. 그런데 그럴 때마다 슬그머니 죄책감이 들고, 스스로 게으르다고 탓한다. 이제, 우리 스스로에게 숨을 쉴 수 있는 시간을 주자. 쓸모는 없지만 스스로 즐길 수 있는 시간을 허용하자. 그래도 불안하다고? 이럴 때 인간에게는 스스로를 설득할 수 있는 철학적 사유가 필요하다.
《장자》는 오래된 고전이다. ‘장자’의 이름을 적어도 한 번쯤은 들어 봤을 것이다. 하지만 그 이름에 짓눌려, 책의 무게에 짓눌려 다가가기가 힘들다. 오랜 시간 장자의 철학에 흠뻑 젖어 사유하고 글을 쓴 저자는 도시의 삶에서 벗어나 가파도에서 머물며 진짜 ‘장자’를 만났다. 장자가 말하는 쓸모없음에 대하여 깊이 끄덕이며 자신의 그림자와 함께 쉬는 길을 찾았다. 천천히 산책하듯 저자가 안내하는 길을 따라 장자와 함께 걸어 본다면 스스로 쉴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