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만 부 판매 돌파! 「새싹 인물전」
최초 출간! 꼭 기억해야 할 독립운동가 간호사 박자혜
* 초등 1학년 우리 아이가 정말 엄청 좋아하는 대박 책 「새싹 인물전」! - talo***
* 만화로 된 인물전은 이제 그만! 새싹 인물전이 그 대안! - youki**
* 국내외 고대부터 현대까지 정치, 사회, 과학, 예술인이 폭넓게 들어 있는 시리즈. - virid***
“만세를 외치다 죽고 다친 사람들을 잊고 산다면, 부끄럽지 않겠습니까!”
간호사를 이끌며 “대한 독립 만세!”를 외친 박자혜!
박자혜는 조선 총독부 의원에서 간호사로 일하면서 전문적인 직업인의 꿈을 이루었다. 하지만 자혜가 본 병원의 현실은 너무나 참담했다. 의원에서는 아무리 위급한 한국인 환자가 있어도 일본인을 먼저 치료했다. 제때 치료받지 못한 한국인들이 목숨을 잃을 때면, 자혜의 마음은 무너져 내렸다.
1919년 삼일 운동이 서울부터 제주까지 번져 나가자 박자혜는 더 이상 참지 않았다. 3월 6일 오후 6시 병원 옥상으로 한국인 간호사들을 불러모았다.
“우리는 독립 만세를 외치다 피투성이가 된 몸을 만진 사람들입니다. 두 눈으로 똑똑히 일본의 폭력을 보았습니다. 그들을 잊고 사면 몸은 편안할 겁니다. (…) 하지만 부끄럽지 않겠습니까? 독립 만세 운동에 함께합시다!”(26쪽)
결국 간호사 만세 운동의 주동자로 낙인찍힌 박자혜는 우리나라를 떠날 수밖에 없었다. 중국으로 간 박자혜는 존경받는 독립운동가 신채호를 만났다. 그리고 그와 부부가 되어 독립을 위해 싸우는 길을 용감하게 선택했다.
가난 속에 홀로 아이를 키우며 일제의 끊임없는 괴롭힘을 견뎠고, 독립운동 단체 의열단의 ‘동양 척식 회사’ 폭파 계획을 도왔으며, 형무소에 구속되었던 신채호가 한 줌의 재로 변해 버리자 그것을 안고 가눌 수 없는 슬픔을 삼킬 수밖에 없던 독립운동가 박자혜.
박자혜의 삶은 우리에게 ‘버릴 수 없는 단 하나의 가치’가 무엇인지 묻는다. 빼앗긴 나라를 되찾기 위해 살다 간 그 한결같은 모습에서, 우리에게는 당연한 대한민국이 수많은 사람들의 ‘단 하나의 가치’로서 지켜져 왔음을 다시금 떠올리게 한다.
책 말미 부록에는, 박자혜의 모습을 담은 동상 사진이 실려 있다. “가난한 삶을 살다 간 박자혜 여사에게 따뜻한 옷을 입혀 드리고” 싶어서 누비옷을 입은 동상으로 만들었다는 정창훈 조각가의 말씀이 가슴 깊은 울림을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