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2월, NHK 드라마 방영 개시!
죽음을 앞둔 환자들이 마지막으로 향하는 곳, 호스피스 병동
각기 다른 이별의 순간을 지켜보며 ‘삶’의 의미를 묻다
회복할 가망이 없는 환자의 마지막 거처인 호스피스 병동. 모든 환자들이 죽음을 기다리고 있는 이곳은 병원 내에서는 속칭 ‘쓰레기 처리장’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하지만 체념과 슬픔만이 가득할 것 같은 이곳에서도 생의 마지막 순간이 오기 전까지 ‘삶’은 계속된다. 호스피스 병동에서 간호사로 일하는 헨미는 환자들의 생애 마지막 순간을 돌보며 ‘삶’의 의미를 하나씩 깨달아나간다.
누구도 죽음은 피할 수 없는 만큼, 이곳 호스피스 병동엔 다양한 인간군상이 모여든다. 평생 모은 재산이 아까워서 죽기 싫다고 울부짖는 부자 할머니, 범죄 세계 이야기를 떠벌리고 다니는 전직 조직 폭력배 남자, 음식에 집착하며 식단표를 모으는 요리사 출신 환자까지. 우울하고 정적일 것만 같은 호스피스 병동에서는 죽음을 앞둔 환자들의 희극과 비극이 쉴새 없이 펼쳐진다. 누구에게나 찾아오는 헤어짐의 순간을 현실적이고도 담담한 시선으로 그려낸 만화가, 오키타 밧카. 『이별의 병동』 4권에는 그가 선보이는 여섯 편의 이야기와 보너스 만화가 담겨 있다.
건강한 삶이 영원하리라 믿었던 우리들을 기다리는 죽음
백세인생을 사는 우리들에겐 잘 사는 것도, 잘 죽는 것도 어렵다.
초고령 사회에 한 발 더 가까워지고 있는 한국이지만, 여전히 ‘잘 죽는 것’은 어렵기만 하다. 나이가 들수록 내 능력이라고 믿었던 것이 결국은 건강과 체력이었다는 것을 깨닫게 되고, 내 의지만으로 할 수 있는 일은 줄어만 간다. 가족과도 소원하고 친한 친구나 애인도 없이 살아가는 우리에게, 영화나 드라마 속 가족들의 사랑에 둘러싸여 임종을 맞이하는 이들의 모습은 때로는 요원하게만 느껴진다. 시대와 세대를 가로지르며 많은 이들을 고뇌케 하는 ‘삶’과 ‘죽음’의 의미. 백세인생이 당연해진 지금이라서 더욱, 『이별의 병동』은 우리의 마음에 파문을 일으키는 문제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