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아이, 서울대만 보내면 다 되는 줄 알았습니다.”
국내 종합 베스트 1위!
《왜 아이에게 그런 말을 했을까》 저자의 신작
“이겨도 겸손하고, 져도 당당하렴.”
“올바르고 현실적인 욕심은 좋은 거란다.”
“누구나 틀릴 수 있지, 너도 예외는 아니야.”
육아를 끝내고 난 후 비로소 떠오른 말들
부모라면 누구나 내 아이에게 좋은 것만 주고 싶다. 좋은 말, 좋은 태도, 좋은 인생까지. 그러나 육아를 하다 보면 정신적 여유는 사라지고, 잘못인 줄도 모른 채 잘못된 말을 쏟아낸다. 그 말들은 아이 마음에 상처만을 남긴다. 아이와 멀어지고 나면 그땐 늦다. 저자도 그랬다. 작가이기 이전에 한 아이의 아빠인 그는 보통의 부모처럼 아이의 자존감을 깎아내리는 말을 더 많이 해버렸다. 흔히 거리를 둔 사람에게만 보이는 것들이 있다고 한다. 저자는 육아가 끝나고서야 비로소 아이를 살리는 말들이 떠올랐다. 이를테면 “남이 너를 대하길 바라는 대로 남을 대해 줘라” 같은….
다들 아이를 잘 키우려는 마음으로, 내 아이가 잘되었으면 하는 마음으로 실수를 한다. 육아에는 부모가 아이를 키운다는 의미가 담겼지만, 사실 부모와 아이는 함께 성장하며 또한 아이는 부모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성장한다. “19세기 교실에서 20세기 교사가 21세기 아이들을 가르친다”는 말이 괜히 있는 게 아니다. 아이를 말로 통제하려 든다면 관계만 악화되어 갈 뿐이다.
“사랑한다면서 여전히 후회할 말들을 하고 있나요?”
오늘부터 시작하는 다정하고 지혜로운 ‘부모 언어’ 수업
옛날 중국 황제 부부에게 늦둥이 황태자가 생겼다. 부부는 황태자를 애지중지해 어떤 시련도 겪지 않기를 바랐다. 배가 고파서 울음을 터뜨리면 계속 먹이고, 걸음마를 하다 넘어져서 울면 걷기를 중단시키고, 글공부하다 어렵다고 울면 글을 읽히지 말라고 했다. 세월이 흘러 십대 후반이 된 황태자는 거대한 하마 같은 몸에 걷지도 못하고, 생각하는 힘도 없는 무기력한 존재가 됐다. 황제 부부가 세상을 떠난 후에는 깊은 숲속 작은 집에 홀로 누워 먹기만 하며 여생을 보냈다. 이처럼 누구나, ‘그릇된 사랑의 이름’으로 사람을 망칠 수 있다.
저자는 말한다. ‘아픔을 겪어야만 아름다운 존재가 된다는 진실’을 몇 문장으로 아이에게 납득시키는 것은 어렵다고. 그러니 위와 같은 ‘이야기’로 각인시켜 보자고. 이야기를 들려준 다음에는 아이와 의미 있는 대화를 나눌 수도 있다. 이를테면 “황제 부부는 황태자를 행복하게 했을까 불행하게 했을까?” 같은 질문을 던지는 식으로 말이다. 이처럼 책에는 아이와 함께 대화할 만한 주제와 질문들, 흥미로운 추천 동화책이 가득하다. 가치 있게 사는 법을 모르는 부모는 없을 테지만, 그에 따른 ‘효과적인 방법’을 모르는 부모들은 많을 것이다. 이 책은 가장 완성도 높은 ‘부모의 말’을 제시하며 부모와 아이를 한 단계 성장시킬 것이다.